연이은 전기차 화재로 인해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다.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차로의 전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화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배터리 안전 검사 기준을 높이고, 사고 시 대처법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에만 테슬라 화재 사고 2건이 발생했다.
지난 9일 세종시 소정면 운당리 국도 1호선을 달리던 테슬라 모델 Y에서 불이 나 1시간 16분 만에 꺼졌다. 사고 당시 운전자는 주변 도움으로 간신히 차량에서 탈출했다. 소방당국은 장비 17대, 인원 50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완료했다.
지난 7일에는 서울 성동구 테슬라 서비스센터에 입고된 테슬라 모델 X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발생 1시간 전 운행 도중 이상을 감지한 차주가 서비스 센터에 차를 입고했는데, 갑자기 세워둔 차에서 불이 나 소방관들이 출동했다. 당시 소방당국은 장비 27대와 인원 65명을 투입하고도 화재 진화까지 2시간 50분이나 걸렸다.
테슬라뿐 아니라 국내 완성차 업체에서 만든 전기차에서도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7일 경북 영주시에서는 건물 외벽을 들이받은 현대차 아이오닉5 택시에서 불이 나 70대 운전자가 사망했다. 같은 달 15일에는 제주 서귀포시 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쉐보레 볼트 EV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같은 해 6월에서는 부산 남해고속도로를 달리던 아이오닉5가 충격 흡수대를 들이받은 뒤 불이 나 2명이 숨졌고, 8월 제주 서귀포시에서 충전 중이던 아이오닉5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대부분은 전기차에 장착한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전기차 하부에는 손가락만 한 원통형 혹은 파우치형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겹겹이 쌓여있다.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내부의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는 분리 막이 손상되면 순식간에 온도가 800∼1000도 이상 올라 배터리 내부가 팽창하면서 폭발하는 것이다.
문제는 전기차 화재가 내연기관차보다 피해가 심각하다는 데 있다.
배터리는 빽빽한 배터리셀로 구성되어 있어 열이 급속도로 오르는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 화재 진화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조사이기는 하지만 최근 국내 전기차 화재 진압에 평균 30명 정도의 소방 인력과 2만L 이상의 소화수가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화재 진압에 걸리는 시간도 문제다. 불을 제압하는 데 보통 2~3시간은 기본이고 많게는 7~8시간까지 걸린다.
연이은 화재로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서울에 거주 중인 직장인 A 씨(38)는 "최근 불나는 사고도 많이 나고 안전성이 입증됐다고 해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입증이 안 된 것 같다"며 "당분간은 전기차 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자동차 업계는 진화에 나섰다.
현대차는 지난 12일 전기차 충돌 테스트 현장을 공개했다. 이날 안전 평가는 시속 64㎞를 달리는 차량 전면의 40%를 변형 벽에 충돌시켜 차량 내 승객의 충돌 안전성을 테스트했다.
테스트 결과, 차량 전면부가 찌그러졌지만 에어백이 인체 모형을 보호했고 배터리 화재도 없었다. 사고가 나면 잘 열리지 않는다던 문도 정상적으로 열렸다.
현대차 관계자는 "신차가 나오려면 100번의 실제 충돌 시험과 3000번의 컴퓨터 가상 충돌 시험을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스웨덴 완성차 업체 볼보도 안전센터 충돌연구소를 공개하며 안전성을 강조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업체들이 안전성 홍보에서 나아가 전기차 사고가 났을 때 대처법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 자동차 학부 교수는 "전기차 화재는 국민적 관심이 높은 사항인데 사고의 원인과 조사 경험이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며 "전기차 안전을 강화하고 관리하는 것만큼 정확한 조사와 함께 명확한 정보 공개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