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본사. 각사
4대 금융지주가 지난해에도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자 수익만 66조원으로, 전년 대비 30%가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이자 수익은 65조9566억원이다. 이는 재작년 50조6973억원보다 30.1% 증가한 수치다. 2021년에는 전년보다 2.4% 늘어나는 데 그쳤는데, 작년에는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이자 수익이 대폭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에만 기준금리를 총 2.25%포인트 올리면서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도 상승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초 1.714%였던 은행채 1년물은 지난 연말 4.374%까지 올랐다. 코픽스도 지난해 11월 기준 4.34%를 기록, 공시 이후 처음으로 4%대에 진입했다.
이자 수익은 KB금융지주가 19조142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금융지주 18조245억원, 하나금융지주 14조8166억원, 우리금융지주 13조9733억원 순이다.
이에 따른 당기순이익 컨센서스는 16조551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14조5426억원보다 13.8% 증가한 규모로, 또 '역대 최대'다.
지난해에는 신한금융이 3년 만에 KB금융을 제치고 '리딩뱅크'를 탈환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연중 엎치락뒤치락 하던 하나·우리금융 간 경쟁은 결국 하나금융이 순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지주별 당기순이익 컨센서스는 신한 4조9635억원, KB 4조7814억원, 하나 3조6711억원, 우리 3조1353억원 순이다.
작년 성적표를 받아든 금융지주는 '이자 장사'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다. 금융지주의 핵심 계열사인 은행들이 대출 금리는 빠르게 올리면서 예금 금리는 더디게 인상했다는 목소리는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주요 금융지주들이 최대 실적을 써내려가면서 주주환원책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신한금융은 최근 자본 비율 12% 초과분에 대해 전액 주주 환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불을 지폈다. 다른 금융지주들 역시 다양한 주주환원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비은행 계열사 포트폴리오 구축 중인 우리금융을 제외하면 KB금융과 하나금융도 높은 자본 비율을 유지하고 있어 신한금융과 같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