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빚내서 투자)'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등을 동반한 투자열풍으로 청년 1명당 8000만원이 넘는 부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년미래의 삶을 위한 자산 실태 및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19~39세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2021년 8455만원이었다. 이는 2012년 3405만원의 2.48배에 달하는 수치다.
부채는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융부채로, 평균값은 부채가 없는 청년을 포함해 계산됐다. 부채가 있는 청년만을 대상으로 하면 평균 부채액은 1억1511만원에 달했다. 2012년에는 5008만원 수준에 불과했다.
부채의 위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소득 대비 부채비(DTI)를 따져봤더니, 청년가구주 가구 중 300%가 넘는 경우가 21.75%나 됐다. 청년 4~5명 중 1명은 연소득 3배 이상의 빚을 지고 있다는 얘기다. 2012년 8.37%였던 것을 고려하면 10년새 2.60배 급증했다.
청년들의 빚이 늘어난 것은 집값 급등과 이로 인한 주택 마련의 어려움 심화, 부동산 투자 열풍 등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평균 부채액 8455만원 중 79%인 6649만원은 금융기관 담보대출이었고, 금융기관 신용대출(마이너스 통장 포함)은 1342만원이었다. 10년 사이 금융기관 담보대출이 2.6배, 금융기관 신용대출이 2.0배로 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주거 마련을 위한 부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주거 목적이 아닌 부동산이나 금융자산 투자를 위한 부채가 늘어나는 현상이 보인다"며 "영끌과 빚투로 금융자산과 부동산을 구매한 이들은 향후 자산 감소, 부채 증가 등으로 사회적 약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