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 신상항 마트에서 열린 한국 상품 판촉전.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소비자의 한국 제품 선호도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이하 무협)가 지난해 12월 10일부터 올해 1월 24일까지 중국 10개 주요 도시 소비자 1000명으로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 내 한국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비율은 43.1%로 전년(78.7%) 대비 35.6%포인트(p) 하락했다.
한국 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이라 답한 소비자는 54.5%, '보통'은 35.5%, '부정적'은 10%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조사 당시와 비교했을 때 긍정 평가는 5%p 감소한 반면, 부정 평가는 6.6%p 증가한 수치다.
연령별로는 20대(83.3→41.2%) 및 30대(84.8→40.4%) 응답자의 구매 경험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상하이(87→41.3%)와 베이징(87→40.2%) 등 1선 도시 거주 응답자의 구매가 대폭 감소했다.
최근 5년 동안 중국 소비자가 가장 많이 구매한 한국 상품은 미용 제품(58%), 식품(55.5%), 의류(45.2%)로, 주력 소비재 품목의 순위는 2020년과 비교해 바뀌지 않았으나, 구매 경험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영유아제품(29.2%), 주방용품(19.3%), 의료건강 제품(14.4%)의 구입은 증가했다.
무협 측은 코로나19 이후 중국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의료 및 건강제품 소비가 크게 증가했고, 코로나19 봉쇄 및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인해 자택 내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했다.
중국 소비자는 상품 구매 시 품질(24.7%)과 가성비(16.9%), 브랜드(16.2%)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품질 이외에 20·30·40대 소비자는 브랜드를 중시하고, 50대 소비자는 가성비를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무협은 코로나19 기간 중 중국의 소비 트렌드는 변화했으나, 중국에 진출한 한국 제품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상품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 상품 후기(35.9%)와 국가 이미지(34.6%), 경쟁력 부족(33.6%)을 가장 많이 꼽았다.
2020년과 비교하면 한국 제품의 경쟁력 부족과 번거로운 애프터서비스(A/S), 불합리한 가격 때문에 한국 제품을 구매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크게 늘었다.
한국 상품 대신 중국 상품을 선택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58.2%에 달했고, 한국 상품을 대체할 국가로는 유럽(17.3%), 미국(14%), 일본(10.5%)이 지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