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진행된 대한축구협회 이사회 모습. 사진=대한축구협 대한축구협회(KFA)가 이사회를 통해 ‘승부 조작’으로 제명 징계를 받았던 이들에게 대거 면죄부를 줘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축구에 영원히 씻지 못할 치욕적인 오명을 남긴 이들의 축구계 복귀길을 KFA 스스로 열어준 셈이다. 이사회 과정에서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반대 목소리도 분명하게 나왔으나, 애초에 찬반으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 그대로 의결된 것으로 전해졌다.
KFA는 28일 서울월드컵경기장 회의실에서 이사회를 열고 2011년 프로축구 승부조작으로 제명 징계를 받았던 48명을 포함해 100명에 대해 사면 조치를 의결했다고 발표했다. 승부조작 범죄를 저지른 이들이 12년 만에 축구계로 다시 돌아와 지도자 등 축구와 관련된 일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KFA는 "지난해 달성한 월드컵 10회 연속 진출과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을 자축하고, 축구계의 화합과 새 출발을 위해 사면을 건의한 일선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라며 "오랜 기간 자숙하며 충분히 반성했다고 판단되는 축구인들에게 다시 한번 기회를 부여하는 취지도 있다"고 사면 배경을 밝혔다.
납득하기 어려운 사면 배경은 물론 프로스포츠 최악의 병폐로 꼽히는 승부조작을 저지른 이들이 사면된다는 점, 그리고 A매치를 앞둔 직전에 기습적으로 발표가 이루어졌다는 점 등 논란에 논란이 더해졌다.
이사회 참석자들에 따르면 이날 진행된 이사회에서도 분명한 ‘반대 목소리’도 있었다.
KFA 이사 자격으로 이사회에 참석한 조연상 한국프로축구연맹 사무총장도 “승부조작 연루 선수들에게는 ‘무관용 원칙’이 유지되는 게 좋을 것 같다. K리그가 아직도 승부조작으로부터 ”’안전지대‘라고는 확신이 안 선다”며 “그런 의구심이 있는 가운데 사면이 이뤄지면 오히려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승부조작 세력들이 준동할 수 있는 여지가 만들어질 소지가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고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애초에 찬성과 반대를 투표해 결정하는 안건이 아니었다. 일부 반대 목소리는 이미 사면 명단까지 모두 확정된 채 이사회에 오른 안건 통과를 막지 못했다. 그저 “KFA가 승부조작을 용인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관리·감독을 더 철저하게 해야 한다”는 당부 의견 정도만 반영되는 정도였다.
결국 한국축구를 벼랑 끝으로 내몰았던 48명의 승부조작 가담자들을 비롯해 징계를 받고 있던 100명은 축구계로 당당히 복귀할 수 있게 됐다. "국내 모든 경기에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과 감독을 철저히 할 예정이다". 승부조작을 저지른 이들을 복귀시켜 놓고 KFA가 내놓은 유일한 대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