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렇게 해외여행 가고, 놀면서 돈도 버는 연예인들은 얼마나 좋을까. 엔데믹을 맞아 예능프로그램들이 일제히 해외로 나가고 있다. 나영석 사단이 ‘서진이네’를 들고 멕시코의 바칼라르로 날아갔고, ‘텐트 밖은 유럽’은 스위스, 이탈리아에 이어, 시즌2로 스페인을 다녀와서 또 시즌3로 노르웨이를 간다고 한다. 김태호 PD의 ‘지구마블 세계여행’은 주사위를 던져 세계여행을 하고 있고, ‘아주 사적인 동남아’는 캄보디아에 이어 태국을 여행했다. 이밖에도 백종원의 ‘장사천재 백사장’, ‘뭉뜬리턴즈’, ‘걸어서 환장속으로’, ‘난생처음 우리끼리’ 등등. 봇물 터지듯이 해외로 나가는 예능 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니 여행도 즐기고 돈도 버는 연예인들이 부럽다는 소리가 절로 나올 수밖에.
하지만 tvN ‘부산촌놈 in 시드니’(이하 ‘부산촌놈’)가 보여주는 해외 배경 예능프로그램의 풍경은 사뭇 다르다. 일하면서 여행도 한다는 이른바 ‘워킹 홀리데이’를 콘셉트로 가져온 이 예능프로그램은 부산 사투리가 입에 붙어 있는 토종 부산촌놈 4인방이 시드니에 뚝 떨어져 저마다 선택한 일을 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허성태는 하루 방문객이 700명이라는 도심의 카페에서, 안보현과 곽튜브는 노동 강도가 만만찮은 농장에서 그리고 이시언은 기름때부터 벌레들까지 처리해야 하는 청소업체에서 일하게 됐다.
시드니 공항에 내린 4인방은 차를 타고 도시로 이동하면서 보이는 이국적인 풍광에 설렘을 갖지만, 그건 당장 눈앞에 펼쳐진 노동의 시간 속에서 금세 잊혀져 간다. 허성태는 노동 강도로는 그나마 약하다고 볼 수 있는 카페에서 일하게 됐지만, 알아듣기도 어려운 영어로 손님들과 응대해야 하고 갖가지 취향에 따른 주문들을 받아 처리해야 하는 멘붕 상황을 경험한다. 정신적인 피로감이 시청자들에게도 전해질 정도다.
안보현과 곽튜브는 허성태의 카페와는 정반대로 사람이라고는 농장주인 리타와 그 곳에 일해온 숙련된 노동자들인 애나, 샤오마가 전부인 농장에서 ‘오디오’가 빌 정도로 고된 일만 해야 하는 상황을 맞는다.
한편 한국인 젊은 사장이어서 소통 문제에 한 시름을 덜었다고 생각한 이시언은 의외로 끝없이 이어지는 건물청소의 노동강도에 놀라고, 심지어 파리알과 구더기들까지 처리해야 하는 고역을 겪는다. 놀면서 돈 버는 연예인? 그래서 부럽다고? 글쎄. ‘부산촌놈’은 사실 누가 보내준다고 해도 선뜻 내키지 않는 ‘해외 노동’을 찐으로 먼저 보여준다.
‘여행인 줄 알았더니 노동이더라’라는 콘셉트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종종 써왔던 코드지만, ‘부산촌놈’은 이것을 인위적인 미션으로 담는 게 아니라, 실제 호주에 있는 워킹 홀리데이를 통해 풀어낸다는 점이 다르다. 지난 7일 방송한 3회 마지막에 에필로그로 들어가 있는 것처럼 워킹 홀리데이로 호주에 왔던 청년들은 처음 일을 하고는 그 만만찮은 노동강도에 너무 힘들어 눈물도 흘렸다고 토로했다. 그 실제 노동의 현장을 ‘부산촌놈’은 연예인들을 통해 가감 없이 보여준다.
그렇다고 ‘부산촌놈’이 해외에 나가 일만 하는 ‘본격 노동 예능’은 아니다. 첫날 고된 신고식을 치른 4인방이 초주검이 돼 귀가해 태국 음식점에서 배불리 먹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 하루치 일당이 들어왔다는 소리가 핸드폰에서 울려 퍼진다. 일한 만큼 번 보수가 주는 뿌듯한 보람이 피곤했던 이들의 얼굴을 반색하게 만든다. 돈이 들어오자 주변 환경도 달리 보인다. 조금의 여유가 생긴다고나 할까. 노동의 힘겨움이 전제돼 있어 굳이 오페라하우스 앞에 가지 않아도 잠시 쉬며 거리를 걷는 이들의 소회는 더 깊어진다. 물론 다음 날이 되면 또 일을 해야 하겠지만, 그러면서 익숙해지고 또 성장해가는 과정들이 생길 터다.
‘부산촌놈’은 ‘어쩌다 사장’과 ‘서울촌놈’을 연출했던 류호진 PD가 메가폰을 잡았다. 그래서 ‘어쩌다 사장’의 노동과 ‘서울촌놈’의 여행이 적절한 균형을 이룬다. 시드니까지 갔지만 그곳이 시드니가 맞는가 싶을 정도로 진한 부산 사투리를 쓰는 촌놈들이 보이고, 해외로 나가 여행의 설렘이 있지만 독한 노동 속에서 그 곳이 해외가 맞는가 싶은 느낌을 준다. 로컬과 글로벌, 여행과 노동 사이에서 기묘한 줄타기를 함으로써 양측의 묘미를 더 선명하게 보여주는 예능. 놀면서 돈을 버는 게 아니라, 돈을 벌어 노는 이 예능의 맛이 색다르게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