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슈퍼스타만 팀 승리를 이끄는 건 아니다. 중요한 순간 때려내는 장타로 긴 기다림에 부응하는 선수들도 있다. 사진=KIA·키움·KT 제공 KIA 타이거즈 내야수 변우혁(23)는 지난 24일 한화 이글스전 5회 초 두 번째 타석에서 0-0 균형을 깨는 좌월 솔로 홈런을 치며 소속팀의 4-2 승리를 이끌었다. 김종국 KIA 감독은 “(변)우혁이가 좋은 타이밍에 홈런을 때려냈다. 이런 모습을 바라고 영입한 선수다. 그가 홈런을 친 경기에서 우리가 다 이겼더라”며 웃었다.
2019 1차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의 지명을 받은 변우혁은 지난 시즌까지 팀 내부 경쟁에 밀리며 50경기(1군 기준)밖에 뛰지 못했다. 오른손 거포가 필요했던 KIA는 지난해 11월, 투수 한승혁을 보내고 변우혁을 영입했다. 아직 발휘하지 못한 변우혁의 잠재력을 믿은 것.
변우혁은 지난주까지 타율 0.187에 그쳤다. 하지만 그가 때려낸 홈런 4개 모두 중요한 순간 나왔다. 선취점을 내거나 팽팽한 흐름에 균형을 깼다. 김종국 감독이 그를 ‘승리를 부르는 선수’로 인정할 만했다. 변우혁은 현재 황대인과의 주전 1루수 경쟁에서 한발 앞서 있다. ‘만년 유망주’ 딱지를 뗄 수 있는 호기를 만들었다.
올 시즌 장타력으로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는 ‘왕년의 유망주’가 꽤 많다.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 임지열(28)이 대표적이다. 그는 지난 28일 출전한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소속팀이 3-5로 지고 있던 8회 말 1사 만루에서 상대 투수 윤명준으로부터 중월 역전 만루 홈런을 치며 7-5 역전승을 이끌었다. 임지열은 지난 12일 홈(서울 고척돔) NC 다이노스전 4-4 동점에서 끝내기 스리런홈런을 치기도 했다.
임지열은 2014년 2차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전체 22순위)에서 키움의 지명을 받은 선수다. 3라운더였던 현재 메이저리거 김하성(샌디에이고 파드리스)보다 먼저 이름을 불린 유망주였다.
임지열은 2021시즌까지 31경기(1군 기준)밖에 나서지 못했다. 경찰 야구단 소속이었던 2018시즌 퓨처스(2군)리그에서 홈런 22개를 치며 장타력을 증명했지만, '리그 대표 홈런 타자' 박병호(현 KT 위즈)가 1루수를 지키고 있는 1군에 그의 자리는 없었다.
임지열은 결국 자신의 경쟁력을 증명했다. 지난해 8월부터 꾸준히 지명타자로 출전했고, 포스트시즌에서만 경기 흐름을 바꾸는 홈런 3개를 치며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올 시즌도 승부처에서 강한 면모를 보여주며 입지를 다지고 있다.
KT 문상철(32)도 다시 빛나고 있다. 2014년 특별 지명으로 ‘신생팀’ KT에 입단한 그는 대학(고려대) 시절 4번 타자로 뛰며 장타력을 인정받았지만, 프로 무대에선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KBO리그 대표 타격 기계로 인정받는 김태균의 타격 폼을 똑같이 따라 하며 효과를 본 2020시즌 후반기에 잠시 주목받았지만, 이내 팀 내 경쟁에서 밀렸다.
그런 문상철이 주축 선수들이 연달아 부상으로 이탈하며 전력이 떨어진 KT에 단비 같은 역할을 해줬다. 29일 기준으로 출전한 33경기서 타율 0.317·4홈런·15타점을 기록했다. 12일 롯데전에선 팀의 6연패를 끊는 끝내기 홈런을 치기도 했다.
세 선수 모두 여전히 주전 안착을 장담할 수 없다. 하지만 팀을 승리를 이끄는 장타로 자신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유망주'라는 수식어도 점차 지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