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이하 아모레)의 리브랜딩 작업이 K뷰티 업계 관심을 받고 있다. 오너 기업인 아모레는 지난해부터 대대적인 변화를 시작했다. 한국과 아시아권에서 거둔 안정적인 성과를 뛰어넘어 북미와 유럽까지 보폭을 넓히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모레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 현지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시늉만 내는 수준이 아니다. 할리우드 배우인 틸다 스윈튼을 '설화수'의 글로벌 앰배서더로 발탁했다. 올해 초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설화수 나이트 앳 더 메트' 행사를 개최했다. 예상을 뛰어넘는 대규모 행사에 국내는 물론 현지 패션·뷰티업계 관계자들도 적잖이 놀랐다는 후문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도심 주요 면세점과 공항에는 아모레의 설화수 메인 모델인 로제가 등장한 대형 광고판을 끝없이 만날 수 있다. "설화수는 반드시 잘 돼야 한다. 회사의 미래가 걸렸다"는 말이 내부에서 나올 정도로 정성을 쏟는 분위기다.
투자하면 단기적인 영업이익은 떨어지게 마련이다. 실제로 IB업계는 아모레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이 500억원 미만으로, 직전 분기 대비 20%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리뉴얼 관련 마케팅비가 대거 집행된 탓이 컸다. 아모레의 과감한 도전을 바라보는 평가가 엇갈리는 배경이다.
화장품 기업인 A 사 관계자는 "그동안 중국에서 대박을 터뜨린 K뷰티 제품들은 사실 20년 전부터 들어가 오랜 시간 물밑 작업 끝에 거둬들인 것"이라고 했다. 다른 지역에서 톱 수준까지 성장하는데 수십 년의 세월이 걸린다는 의미다.
설상가상 북미와 유럽은 같은 아시아권이 아니다. 이 관계자는 "인종 구성은 물론 문화까지 완전히 다른 지역에서 중국처럼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감수한다고 해서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다"고 했다.
그러나 어렵고 힘들다고만 해서 현재에 멈춰 설 수는 없다. K뷰티 업계는 그동안 중국 시장에서 거둬들이는 수익에 취해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한 봉쇄와 중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기업 전체 실적이 롤러코스터를 타게 된 배경이다.
"미국에서 한국 것은 안돼" "유럽에서 K뷰티는 안먹혀"라는 생각으로 일관하면 미래가 없다. K뷰티를 선도하는 기업이라면 다른 생각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한국에서 과감한 도전을 밀고 갈 수 있는 기업은 오너 경영을 하고 있는 아모레 정도다. 경영진도 북미와 유럽으로 진격하는 길이 불확실한 가시밭길이라는 것을 모르지 않는다. 그런데도 나아가는 이유는 10년, 20년 뒤 아모레를 성장시키기 위해서다. 당장의 실적과 영업이익 보다는 더 나은 미래를 선택한 아모레를 지지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