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라희 전 리움 관장. 연합뉴스 대기업 오너일가가 주식담보로 대출받은 금액이 7조6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9일 82개 대기업집단 중 총수가 있는 72개 그룹 오너일가의 주식담보 현황(4일 기준)을 조사한 결과, 36개 그룹 136명이 보유 주식을 담보로 한 대출을 확인했다. 이들은 보유한 계열사 주식의 37.1%를 담보로 제공하고, 총 7조6558억원을 대출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담보 비중은 29.6%에서 7.5%나 증가했다. 담보대출 금액도 1년 전(5조4196억원)보다 2조2362억원(41.3%)이나 증가했다. 오너일가가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것은 경영자금 확보나 상속·증여세 등 세금을 납부하기 위해서로 풀이된다.
1년 새 오너일가의 대출금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은 삼성이었다. 삼성가 세 모녀는 계열사 보유지분의 40.4%를 담보로 제공하고 4조781억원을 대출받았다. 1년 전(20.2%·1조8871억원)과 비교하면 담보 비중은 2배로, 대출금액은 2배 이상으로 늘었다. 대출 규모는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2조25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1조1167억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이 6611억원을 대출 중이다.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한국방문의해위원회 제공 삼성 다음으로 주식담보 대출이 많이 늘어난 곳은 LG였다. LG그룹 오너일가 5명의 주식담보 대출은 1년 전 1288억원에서 올해 2747억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올해 2월과 6월에 각각 230억원과 1180억원을 추가로 대출하면서 총대출금액은 1770억원이 됐다.
SK그룹에서는 오너일가 10명이 주식의 51.8%를 담보로 5575억원을 대출 중이었다. 1년 새 대출금액은 608억원 늘었다.
한솔그룹의 경우 오너일가 5명의 주식담보 대출금액은 1년 새 170억원에서 603억원으로 증가했다. 대부분 조동혁 한솔케미칼 회장이 대출한 것으로 증여세 납부를 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농심그룹 오너일가의 주식담보 대출금액도 200억원 이상 증가했다. 신동윤 율촌화학 회장이 상속세 납부를 위해 올해 142억원을 추가로 대출한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