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희봉 IS포토 영화계의 큰 별이 졌다. 원로배우 변희봉이 암 투병 끝에 18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81세.
변희봉은 5년 전 췌장암 진단을 받고 투병 끝에 완치 판정을 받았으나 암이 재발해 이날 세상을 떠났다. 앞서 변희봉은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출연을 앞둔 지난 2018년, 건강 검진을 받고 췌장암 진단을 받았다. 이 같은 사실을 이듬해 방송된 tvN 예능프로그램 ‘나이거참’에 출연해 고백하면서 많은 시청자들로부터 응원을 받았는데, 끝내 병마를 이기지 못했다.
변희봉은 지난 1966년 MBC 2기 공채 성우로 데뷔해 연기자로 발을 넓혔다. 성우 활동 중 극단에 입단해 연기를 시작했고 1970년부터 탤런트로 데뷔했다. 그러나 배우 생활은 녹록지 않았다. 단역이나 조연 위주로 출연하며 근근이 생활을 이어가야 했다. 당시 성우에서 배우로 영역을 넓힌 나문희, 김용림 등이 화려하게 비상하는 것을 옆에서 지켜봐야만 했다. 결국 배우의 꿈을 접고 전남의 한 시골마을로 낙향을 하기도 했으나, 운명처럼 1970~1980년대 큰 인기를 얻은 MBC 드라마 ‘수사반장’ 사이비 교주 역을 맡으며 서서히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변희봉은 사이비교주, 범인 등 드라마에서 주로 악역을 맡으면서도 밉지만은 않은 캐릭터들로 사랑 받았다. 특히 사극에서 남다른 존재감을 발산했는데 ‘조선왕조 500년’의 ‘설중매’ 편에서 유자광 역을, ‘찬란한 여명’에선 흥선대원군 역을, ‘허준’에선 창년 성대감 역할을 맡으며 안방극장을 사로잡았다. 고(故) 변희봉. (IS포토) 변희봉의 배우 인생은 봉준호 감독과의 인연 전후로 나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90년대는 한국영화 신르네상스를 맞으면서 상대적으로 나이 든 연기자들이 점점 설 곳을 잃는 분위기였다. 파도에 휩쓸리듯 배우를 그만두려 했던 변희봉의 배우 인생은 또 한번 뒤집힌다. 봉준호 감독의 장편 데뷔작인 ‘플란다스의 개’ 출연 후 전성기를 맞은 것.
당시 변희봉은 ‘플란다스의 개’ 출연 제안을 여러번 거절했으나, 봉준호 감독의 끈질긴 구애에 출연을 결정했다는 비화는 널리 알려졌다. 이후 변희봉은 ‘살인의 추억’, ‘괴물’, ‘옥자’ 등 봉준호 감독 영화 4편에 출연하면서 ‘봉준호의 페르소나’라 불리기도 했다. 변희봉은 다수의 인터뷰에서 “봉준호 감독은 나를 탄생시킨 은인”이라며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플란다스의 개’ 이후 묵직한 존재감과 독특한 음색 등이 또 한번 업계의 관심을 받았고 변희봉은 영화뿐 아니라 드라마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하얀거탑’, ‘솔약국집 아들들’, ‘공부의 신’, ‘피노키오’, ‘동네변호사 조들호2: 죄와벌’, ‘트랩’ 등 TV에서만 평균 매해 1~2작품에 출연하며 나이가 무색하게 왕성한 활동을 보여줬다.
그리고 일흔다섯이던 2017년. 노배우는 넷플릭스 영화 ‘옥자’로 생애 첫 칸국제영화제에 입성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해외까지 알렸다. 프랑스 칸에서 백발에 검은색 수트를 멋스럽게 차려 입고 취재진을 만났던 변희봉은 당시 “배우로 오래 일했지만 칸에 온다는 생각은 꿈도 못 꿔봤다. 꼭 벼락맞은 것 같다”며 “마치 70도 기운 고목나무에 꽃이 핀 기분”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또 “두고 봅시다. 이 다음에 뭐를 보여줄지. 죽는 날까지 연기하겠다”며 식지 않은 열정을 드러내 박수를 받았다.
고인은 대중문화 각계에서 활약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2020년 은관문화훈장을 받기도 했다. 당시 트레이드마크인 안경을 벗고 무대에 올라 눈길을 끌었는데 “내가, 이 변희봉에게 별별 일이 생긴다”며 “나 같이 조연을 많이 한 사람도, 세월이 가면 이런 큰 훈장을 받을 수 있겠다 싶더라. 대중문화를 사랑 해주는 분들에게 감사하다”고 지난했던 연기 인생에 대한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고인의 빈소는 삼성서울병원장례식장 17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오는 20일 낮 12시30분이다. 장지는 서울추모공원이며, 흑석동 달마사 봉안당에 봉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