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의 여름을 기억한다. 군대에 간 남자 친구의 공백을 잊어 보겠다고 동아리 3개, 아르바이트 4개를 하면서 바쁘게 지내던 어느 날이었다. 대학로의 한 카페에서 카운터를 보고 있었다.
“에스프레소 한 잔이랑요…”
“아, 저, 에스프레소는 안 되는데…”
“에스프레소가 왜 안 돼요?”
카페 사장의 가족은 양봉업을 했다. 가족에게 직접 조달받은 꿀을 베이스로 다양한 음료를 만드는 가게였다. 커피류는 가루를 타서 만드는 라떼와 수제로 내린 원두커피뿐이었다. 커피 음료를 만드는 베이스가 되는 원액 음료 에스프레소가 안 된다는 게 김지운 감독으로선 황당했겠지만, 아르바이트생이었던 기자 역시 당황스럽긴 마찬가지였다.
그 후로 이어진 대화에서 김지운 감독은 무척 격양돼 있었다. 아, 선후가 잘못됐는데, 처음엔 김지운 감독인지 알아보지 못 했고, 대화를 들으며 그 격양된 남성의 정체가 김지운 감독이었다는 걸 알아냈다고 해야겠다. 김지운 감독은 상대와 영화에 대한 어떤 잘못된 이해를 들은 듯 “도대체 누아르가 뭔지나 알고 하는 말이냐”며 소리를 높였다.
“제가 뭐라고 했다고요? 그게 평상시의 저는 아니에요. 저는 욕 같은 것도 잘 안 하는 편이거든요.”
신작 ‘거미집’ 개봉을 앞둔 21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김지운 감독은 “대학생 때 감독님 한 번 뵌 일이 있다”고 하자 이 같이 말했다. 약간 멋쩍은 웃음이 곁들여졌다.
김지운 감독이 조용한 사람이라는 건 영화 기자로 일을 하며 몇 차례 들었던 바다. 아마도 2008년 그 여름날엔 그런 김 감독의 마음을 크게 흔든 일이 있었던가 보다. 감독과 마주보며 같이 웃었다.
김지운 감독의 신작 ‘거미집’의 주인공은 김열(송강호) 감독이다. 검열이 삼엄하던 1970년대, 결말만 조금 바꾸면 영화가 걸작이 되리라 믿는 김열 감독이 비협조적인 배우들과 현장 상황 속에서 촬영을 강행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김열 감독은 데뷔작 이후 평단으로부터 크게 인정 받은 작품이 없는 인물. 그는 “평론가들은 영화감독이 되고 싶지만 되지 못 한 사람들”이라고 외친다. 어쩐지 2008년의 그날이 떠올랐다.
“그 대사는 저의 복수죠. 평론가들에 대한 감독의 복수. (웃음)”
그러면서도 김지운 감독은 평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고 평론에 대한 시각도 변했다. “이제는 평론이 필요한 시대”라고 김 감독은 말했다.
“요즘은 평론이 점점 사라지는 추세여서요… 작품에 대한 평이 점점 소중하고 귀해지는, 그래서 더 필요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것 같아요. 단순히 작품의 흥행을 위해서가 아니라 평론이 다시 한 번 힘을 받고 영향을 줄 수 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