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는 이날까지 신제품 '아이폰15' 시리즈의 사전 예약을 받았다.
단말기 지원금에 인색한 애플이 이통 3사와 전과 달리 높은 수준의 혜택을 보장한 것이 눈에 띈다.
아이폰15 기본형의 이통 3사 공시지원금은 요금제에 따라 4만5100~45만원이다. 지난해 하반기 출시한 '아이폰14' 기본형 대비 87.5% 올랐다.
LG유플러스가 가장 많은 지원금을 뒷받침한다. 유통 채널에서 보장하는 추가지원금(공시지원금의 15%)을 더하면 최대 51만7500원의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아이폰15 기본형의 출고가는 125만원이다. 비싼 5G 상품에 가입할수록 단말기 할인보다 25% 요금 할인이 이득인 경우도 있다.
상위 라인업의 인기가 많아 재고가 부족한 상황에 대비해 기본형에 힘을 줬다는 분석이지만, 제조사 애플의 재원이 들어가는 공시지원금이 이례적으로 높게 책정됐다.
다만 아이폰15 플러스·프로·프로맥스의 공시지원금은 5만~24만원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애플은 지난 3월 삼성전자 텃밭인 강남에 다섯 번째 공식 매장을 연 데 이어 대세 아이돌 뉴진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캠페인을 펼치는 등 국내 젊은 소비자들에게 공격적으로 어필하고 나섰다.
그런데 이런 마케팅 활동으로 한국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데 역부족이라는 판단이 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해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역대 최장 수준인 43개월에 도달했으며, 올해도 40개월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주머니 사정이 팍팍해지면서 스마트폰 가격이 너무 높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강하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YMCA 시민중계실로부터 받은 '휴대전화 단말기 이용 관련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만 14~65세 1000명의 85%가 휴대전화 가격이 비싸다고 답했다. 가계통신비에 부담이 되는 수준이라는 응답이 절반 이상(54.2%)으로 집계됐다.
합리적인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 수준은 50만~80만원 미만이 32.2%로 가장 많았다. 30만~50만원 미만이 29.4%, 80만~100만원 미만이 18.1%로 뒤를 이었다.
변재일 의원은 "LG의 사업 철수 이후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경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국민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