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도이치텔레콤과의 LLM 공동 개발 협약식에서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글로벌 통신사 도이치텔레콤과 손잡고 거대언어모델(LLM) 공동 개발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도이치텔레콤과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통신사향 AI LLM을 만들기로 뜻을 모았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앤트로픽과 메타 등 AI 업체들과 협업해 독일어·영어·한국어 등 통신사 특화 다국어 LLM을 개발할 방침이다. 결과물은 내년 1분기에 공개한다.
통신사향 LLM은 범용 LLM보다 통신 서비스 관련 영역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이용자 의도를 파악해 AI 콜센터와 같은 대 고객 서비스 등에 적합하다.
이를 기반으로 유럽·아시아·중동 등 전 세계 통신사들이 각국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AI 에이전트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목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통신사들은 통신사 특화형 LLM으로 거대 플랫폼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AI 혁신으로 전통적인 통신 사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새로운 사업 기회 및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해외 통신사가 AI 콜센터를 생성형 AI 기반으로 구축하려고 할 때 더 빠르고 유연하게 통신사 환경에 맞는 AI 콜센터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인프라 모니터링이나 현장 운영 시 AI 기반으로 효율을 높이면 중장기적으로 비용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양사의 AI 기술력과 플랫폼, 인프라 등을 폭넓게 활용해 전 세계 고객들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