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이 11월 극장가 흥행을 견인했다. 전년 동월 대비 극장 매출액이 98억원 가량 증가했다.
14일 영진위 영화산업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 11월 한국영화 극장 매출액은 411억원, 관객수는 432만명을 넘었다. 이 중 절반이 ‘서울의 봄’ 기록이었다. ‘서울의 봄’은 11월22일 개봉 이후 열흘 만에 매출액 277억원, 관객수 295만명을 돌파했다.
11월 극장 전체 매출액은 732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4%(98 억원) 증가했고, 지난10월의 매출액(674 억원)과 비교해서도 8.6%(58억원 )가 늘어났다.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7~2019 년 11월 전체 매출액 평균(1347억원 )의 54.3% 수준이기도 하다. 11 월 전체 관객 수는 764만명이었으며 전년 동월 대비 19.9%(127만명 ) 증가했고, 2017~2019년 11 월 전체 관객 수 평균(1630만명)의 46.9% 수준을 나타냈다.
‘서울의 봄’은 열흘 간 성적으로 11월 전체 흥행 1위에 올랐다. 이 같은 흐름은 2023년 흥행 1위인 ‘범죄도시3’보다는 완만한 속도지만, 올여름 1위인 ‘밀수’보다는 빠른 추세라 기대를 모은다.
‘서울의 봄’은 개봉 3주가 지난 시점인 12월 12 일 기준 누적 매출액은 690억원, 누적 관객 수는 716 만명으로 오는 20일 ‘노량:죽음의 바다’가 개봉할 때까지 뚜렷한 경쟁작이 없어 올해 두 번째 천만영화가 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의 봄’ 흥행에 힘입어 2023년 11월 한국영화 매출액은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서도 어느 정도의 회복세를 보였다. 11월 한국영화 매출액 411 억원은 2017~2019년 11월 한국영화 매출액 평균(586 억원)의 70.2%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대비로 봤을 때도 22.5%(75억원) 늘어난 수치이다. 11 월 한국영화의 관객 수는 432만명이었고, 이는 2017~2019 년 11월 한국영화 관객 수 평균(717만명) 의 60.2% 수준이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4.2%(84 만명) 증가했다.
마블영화 ‘더 마블스’가 개봉하며 11월 외국영화 매출액, 관객수가 소폭 증가했지만 팬데믹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더 마블스’가 매출액 68억원 , 관객 수 69만명이라는 예상외의 저조한 흥행 성적을 거둔 탓이다. MCU 영화의 개봉 일정에 맞춰 극장으로 향하던 탄탄한 팬덤 기반의 관람 문화가, 더 이상 보편적인 흥행 법칙으로 적용되지 않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더 마블스 ‘는 국내 개봉한 MCU 영화 중 ‘퍼스트 어벤져’ ‘인크레더블 헐크’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낮은 매출액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