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SSG 선수단에 자비로 유명 멕시코 요리 전문점 특식을 준비한 추신수. SSG 제공
은퇴 시즌을 앞둔 추신수(42·SSG 랜더스)가 남다른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추신수는 2024시즌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한다. 지난해 12월 예고 은퇴를 선언한 그는 최저 연봉(3000만원)에 계약한 뒤 전액 기부 의사를 밝힌 상태다. 2001년부터 시작한 선수 생활의 마침표를 찍는 마지막 시즌. 어느 해보다 심경이 복잡할 수 있지만 "팀에 공헌하고 싶다"는 계획을 실천에 옮기고 있다.
겨우내 후배들에게 집을 내줬다. 지난 1월 초부터 투수 박종훈과 포수 박대온, 외야수 하재훈이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추신수의 자택에서 합동 훈련을 했다. 추신수는 구단 단체 훈련이 금지된 비활동기간, 선수들이 빠르게 몸을 만들 수 있도록 메이저리그(MLB) 스트렝스·컨디셔닝 코치(호세 바스케스)까지 직접 섭외했다.
박종훈은 "MLB에서 오랜 경력을 가진 트레이닝 코치가 오셔서 웨이트 트레이닝과 몸 관리 방법 등을 다양하게 배울 수 있었다"며 "전지 훈련지(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와 가까운 곳에서 사전 훈련에 들어가 시차 적응에 용이했다. 신수 형이 야구선수가 가져야 할 마인드(프로의식)에 대해 조언해 주셨는데 감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하재훈은 "집에 모든 훈련 시설이 갖춰져 있어 부족함 없이 몸을 만들 수 있었다"며 "선후배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며 이번 시즌을 어떻게 치러야 할지 방향도 잡고 대비책도 만들 수 있는 유의미한 시간이었다"고 돌아봤다.
겨우내 추신수 자택에서 훈련한 하재훈(왼쪽부터)과 박대온, 박종훈. SSG 제공
이숭용 신임 SSG 감독은 추신수의 리더십을 두루 고려해 그에게 주장 중책을 맡겼다. SSG는 지난 시즌 뒤 프랜차이즈 스타 외야수 김강민과 포수 이재원(이상 한화 이글스)은 물론이고 내야수 최주환(키움 히어로즈) 등이 팀을 떠났다. 선수단 연령이 낮아지면서 추신수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졌다. 자칫 흔들릴 수 있는 선수단의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 추신수는 자신의 역할을 잘 이해한다. 지난 12일 스프링캠프 선수단 및 관계자를 위해 사비 300만원을 들여 유명 멕시코 요리 전문점의 특식을 준비한 것도 바로 이 이유다.
특별할 게 없는 '깜짝 이벤트'일 수 있지만 훈련에 지친 선수들이 분위기를 전환한 터닝 포인트가 됐다. 박대온은 "팀의 리더로 훈련장 안팎에서 선수들을 챙겨주시는 선배님께 감사드린다. 베테랑임에도 어린 후배들에게 먼저 다가와 주시고, 자비로 선수단을 지원해 주시는 점이 존경스럽다. 나도 고참이 되면 선배님처럼 베풀고 싶다"고 말했다. 포수 조형우는 "선수들을 위해 마음 써주신 만큼, 잘 먹고 충분히 휴식해 남은 캠프 동안 최선을 다해 훈련에 임하겠다"고 마음을 다잡았다. 추신수는 "벌써 캠프 절반이 지났다. 이번 캠프는 시작부터 선수들이 좋은 컨디션으로 훈련에 임하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체력적으로 조금은 힘들 수도 있는 시점에 잘 먹고 남은 일정을 마쳤으면 좋겠다"고 당부를 잊지 않았다.
스프링캠프에서 후배들과 호흡하면서 분위기를 이끄는 추신수(왼쪽). SSG 제공
구단 관계자는 "추신수는 주장을 맡기까지 고민을 많이 했다. 어설프게 하려면 하지 않으려는 성격인데 주장을 하기로 결정한 뒤에는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지 그 생각을 많이 한다"며 "기부 관련 계획도 직접 참여할 정도로 열정적이다. 선수단에 보이지 않는 영향력이 상당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