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토일드라마 ‘졸업’이 기존 대치동 소재 작품들과 차별화된 매력으로 시청자를 사로잡았다. 로맨스의 외피를 두르고 있으나, 학원가의 현실을 짚어내며 교육의 의미를 다시 되새겼다는 평가다.
‘졸업’은 방영 전 ‘국어강사 서혜진(정려원)과 신입 강사로 나타난 발칙한 제자 이준호(위하준)의 설레는 연애담’으로 소개됐다. 실제 드라마는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봄밤’ 등의 안판석 감독이 연출을 맡아 특유의 무게감 있는 로맨스를 그리는 데 더해 ‘사교육 1번지’ 서울 대치동을 배경으로 ‘교육’의 의미까지 다층적으로 깊이 조명하며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기존 ‘SKY 캐슬’, ‘펜트하우스’, ‘일타스캔들’ 등 드라마들에서 대치동은 주로 학부모를 중심으로 ‘신분 상승의 사다리’, ‘성공의 열쇠’ 등 욕망이 점철된 곳으로 묘사됐다. 반면 ‘졸업’은 치열한 학원가 강사들에 초점을 맞췄다. 현실성도 높다. 강사들의 수업 준비부터 발성, 눈빛, 제스처 등 수업 과정은 실제 일타 강사들도 놀랄 만한 싱크로율을 보였다. 실제 정려원과 표상섭(김송일) 등 강사 역 배우들의 모습은 유튜브와 온라인 커뮤니티, SNS에서 ‘진짜인 줄 알았다’는 반응이 쏟아지기도 했다.
주인공들의 로맨스 또한 교육이라는 뼈대 위에서 이뤄졌다. 과거 제자였던 이준호가 큰 돈을 벌기 위해 대기업을 퇴사하고, 서혜진이 근무하는 대치체이스 학원에 입사하면서 본격 로맨스가 시작된다.
준호와 그의 학창시절 첫사랑이었던 혜진은 라이벌 학원인 최선국어의 강사이자 원장인 백발마녀 최형선(서정연)과 대결에서 학생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더 친밀해진다. 준호는 해당 전략에 실패했으나 단 한 명의 수강생 이시우(차강윤)를 위해 강의를 하겠다고 마음 먹는 혜진의 순수한 열정에 다시 반한다. 이후엔 교육 방식을 두고 혜진과 준호의 애정 전선도 삐걱거린다.
‘졸업’은 주요 인물들 간의 갈등을 통해 ‘좋은 교육’에 대한 답을 끊임없이 찾아간다. 혜진과 준호는 수업 방식에 대한 논의를 넘어 ‘공교육과 사교육의 이분법’이라는 우리 사회의 공통 인식도 건드린다. 서혜진은 학교 시험 문제 하나에 오류가 있다며 학교를 직접 찾아가 강하게 반발하고 출제 교사 표상섭을 향해 “낡았다”는 말을 쏟아낸다. 후에 형선이 혜진을 향해 “교사를 교무실 한복판에 목매달았다”고 한 표현이 지나치지 않을 정도다.
상섭도 지지 않는다. 강사인 혜진을 향해 “기생충”이라고 받아친다. 드라마는 공교육과 사교육 각각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단으로 끌고 가면서 드라마적 긴장감도 놓치지 않는다. 학원가를 조명하는 터라 자칫 사교육 옹호에 힘이 쏠리는 것 또한 경계한다. 사교육으로 인해 공교육 현장의 선생들이 겪는 고충을 적나라하게 비춘다. 하재근 대중문화평론가는 “공교육과 사교육을 대표하는 인물들의 갈등을 승자 없이 그리면서 실제 교육 현장을 어두운 면을 섬세하게 건드렸다”고 말했다.
하지만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대신 주요 캐릭터들이 성장하는 지점에 초점을 맞추며 깊은 여운을 자아낸다. 혜진의 캐릭터가 가장 대표적이다. ‘졸업’의 첫 회, 첫 장면은 혜진이 학부모와 모의 상담을 통해 후배 강사들을 향해 학부모들에게는 ‘공포’를 심어주고 “창의적인 주입식 교육과 훈련의 힘을 믿게 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모습으로 시작한다. 그런데 7회에서 혜진은 “지금까지 들었던 수업 중 가장 좋았다”는 시우의 말에 멈칫하고, 그동안 학생들의 마음보다 통장 잔고나 이익에 더 신경을 쓴 자신의 행동에 “창피하고 한심해서 죽고 싶다”며 부끄러워 한다. 학교를 떠나 학원가에 들어선 상섭 또한 가르치던 학생이 건넨 독서노트에 피드백을 해주며 배움과 가르침 그 자체에 다시 골몰하는 모습으로 ‘교육’의 의미를 곱씹게 한다.
김성수 대중문화평론가는 “‘졸업’은 공교육이든 사교육이든 학생을 사랑한다는 선생들의 공통점을 조명하며, 교육의 주체는 학생이라는 것을 강조한다”며 “드라마임에도 현실성을 높이면서 공감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교육의 의미를 색다르게 되짚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