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씹을수록 깊어지는 영화의 탄생이다. 매 작품 인물의 감정선을 세밀하게 포착해 온 허진호 감독이 신작 ‘보통의 가족’을 통해 또 한 번 성찰적 질문을 던진다. 섬세한 연출력이 무기로, 오랜 공력을 자랑하는 배우들이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야기의 출발점은 도심 한복판에서 일어난 교통사고다. 정확히는 보복 운전으로 발발된 사건이다. 알만한 재벌 2세가 앞차 운전자와 말다툼을 벌이던 중 홧김에 사고를 낸다. 상대 운전자는 즉사하고, 그의 어린 딸은 크게 다쳐 병원에 실려 간다. 피해자 딸의 수술실에 들어간 의사는 재규(장동건), 그리고 재벌 2세의 담당 변호를 맡은 이는 재규의 형 재완(설경구)이다.
재완과 재규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중산층으로 비슷한 삶을 영위하는 듯 보이지만, 사는 곳도 일상의 패턴도 완전히 다르다. 신념의 차이가 만들어 낸 결과다. 형 재완이 물질적 욕망을 우선시하며 살인자의 변호도 마다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동생 재규는 원리 원칙과 도덕적 신념이 중요한 사람이다.
‘보통의 가족’은 재완, 재규 부부가 정기적으로 갖는 식사 자리를 챕터 삼아 진행된다. 네 사람은 러닝타임 동안 총 세 번의 저녁을 하는데 사건 전개에 따라 각기 다른 공기와 분위기를 띤다. 초반부 식사가 풍자성이 강한 블랙코미디 쪽이라면, 후반부로 갈수록 내재화된 인간 본성을 포착하는 부조리극에 가깝다. 허진호 감독은 네 사람의 관계 균열 정도에 따라 크고 작은 장치를 달리하고, 상이한 앵글을 충돌시키며 극의 리듬과 서스펜스를 만들어 낸다.
백미는 형제 부부의 식탁이 위태로워질수록 깊어지는 사색의 순간이다. 허 감독은 자식 문제 앞에서는 원칙도 이성도 잊는 부모의 모습을 통해 개인의 욕구가 사회, 윤리적 선택보다 중요해질 때 인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준다. 그렇게 들춰진 모순적이고 이중적인 인간의 민낯은 관객에게 ‘타인이 아닌 내게 이런 일이 닥쳤을 때도 과연 윤리가 선행될 수 있는지’ 묻는다. 이는 ‘신념, 양심, 정의 등의 관념이 정말 공상에 불과한가’라는 철학적 명제로도 연결된다.
장주연 기자 jang3@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