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회사 전출 압박 논란이 일자 김영섭 대표가 직접 나서 구성원들을 다독였다. 고령 직원의 정년이 도래하기 전 미래 인재를 조기 확보해야 회사의 비전인 AICT(AI+ICT) 컴퍼니 도약이 가능하다고 설득했다.
김 대표는 4일 통신 인프라 자회사 KT OSP와 KT P&M의 설립 배경과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사내 특별 대담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설계했으나 언론에서 회자된 불미스러운 사례는 CEO로서 송구하게 생각한다"며 "강압적인 대규모 구조조정이 아니라 합리적인 구조의 혁신으로 공감해 달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 설명회에서 안창용 KT 엔터프라이즈 부문장이 신설 회사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굉장히 모멸감과 자괴감이 들고 힘들 것"이라는 발언을 해 노조의 반발을 산 바 있다.
KT의 구조조정이 성공하려면 통신시설 설계 업무를 맡는 KT OSP는 약 3400명, 국사 내 전원시설을 설계하는 KT P&M은 약 380명의 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하지만 전적 신청 인원이 양사 합쳐 1500명 수준으로 성과가 저조해 전출 신청 기한이 10월 28일에서 11월 4일로 한차례 연기됐다. 김 대표가 구조조정 막바지에 힘을 실은 셈이다.
자회사 인력을 채우지 못해도 KT는 계획대로 인력 효율화 작업을 지속한다. 이미 KT OSP와 KT P&M의 경력직 채용 공고를 올린 상태다.
김 대표는 "신설 법인은 KT 100% 자회사로 협력회사가 아니다. 외통수 단일화 방식의 강제 퇴직에서 벗어나 계속 같이 일하자는 제안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현장 인력의 70% 이상, 9200여명이 50대 이상, 이 인력의 정년 도래 후를 고려해야 한다"며 "지금까지는 선로 등 분야 시장 임금 체계와 우리 회사의 현격한 격차로 신입사원을 채용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KT에 남는 직원들에게는 AICT 컴퍼니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사업적 역량 교육을 뒷받침해 적절한 업무를 부여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와 관련해 소수 노조인 KT새노조는 논평에서 "잔류를 선택한 직원들을 어떤 업무에 배치할지 교육 계획 등을 명확하게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