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커뮤니티에 올라온 하림 ‘맛닭가슴살’ 체모 추정 이물질 사진.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제공
닭고기 전문 기업 하림이 판매하는 닭가슴살 제품에서 '체모'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나온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이하 소비자주권)는 "최근 하림의 닭가슴살 제품에서 체모 추정 물질이 발견됐다"며 "하림이 이물질 관리에 경각심을 갖고, 전 공정 철저한 관리를 통해 소비자 안전을 보장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소비자주권에 따르면 지난 1월 체모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나온 제품은 하림의 '맛닭가슴살'이다.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맛닭가슴살에서 이물질이 나온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며 "처음 발견한 제품에 대해 하림에서 분석한 결과 '사람털'로 답변을 받았다"고 알렸다.
해당 게시글을 본 다른 소비자 또한 "같은 것으로 보이는 이물질이 나왔다"고 밝히며 사진을 공유했다.
하림 맛닭가슴살은 전라북도 인산 생산 공장에서 생산된다. 이 공장은 하림 닭고기 종합처리센터로, 2019년 최신식 설비로 리모델링한 바 있다.
문제는 하림의 제품들에서 잇따라 이물질이 검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2023년 11월 '하림 동물복지 통닭'에서 다량의 벌레가 발견된 바 있다.
당시 식품의약품안저처는 조사 결과, 하림 정읍 생산공장에서는 이물질 점검 인력이 두 명뿐이고 기계에만 의존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하림은 “점검 인력은 2명에서 8명으로 늘리고, 사육부터 생산·포장 등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물질은 또 나왔다. 지난해 ‘용가리치킨’ 제품에서 ‘노끈’ 추정 물질이 나온 것. 하림 측은 “해당 상품을 수거해 이물질이 무엇인지 분석할 예정”이라 했으나, 이후 별다른 해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림 용가리치킨 생산 공장 역시 전북 익산시에 위치해 있다.
소비자주권은 "하림이 생산하는 닭고기는 2023년 기준 국내 닭고기 수요의 3분의 1에 달한다"며 "하지만 반복되는 식품 이물질 검출로 소비자들의 위생 및 먹거리 안전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림은 익산 공장의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 및 품질관리 체계를 개선해 식품 이물질 재발을 방지하고 소비자들의 위생·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하림은 “문제가 된 제품은 전량 회수했으며, 성분 분석 결과 ‘식물 조직 일부’라는 결과가 나왔다”며 "해당 제품은 완제품으로 나오는 것이라 공정 과정에서 들어갈 가능성이 없으며, 조리 과정에서 혼입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