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수 SK이노베이션 E&S 신임 사장. SK 제공
올해 대기업의 임원 인사 키워드는 ‘안정과 기술 투자’ 중심 흐름 속에서 1970년대생 임원들이 전진 배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1980년대생 등용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24일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대기업 인사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칠전팔기’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칠전팔기’는 70년대생 고위 임원 전진 배치, 80년대생 임원 기용 확대를 줄인 말이다.
현재 100대 기업 임원의 약 70%는 1970년대생으로 이미 재계의 중추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올해 말·내년 초 인사에서 1970~1976년생 중 부사장·사장 등 고위 임원 승진자 명단에 대폭 확대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올해 3분기 기준 삼성전자에서 1970년대생 사장은 용석우(1970년)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최원준(1970년) MX사업부 COO(최고운영책임자), 마우로 포르치니(1975년) CDO(최고디자인책임자) 3명이다. 부사장 320여명 중에서도 1970년대생 비중은 61% 수준으로, 그중 7%는 1975년 이후 출생자였다.
김정규 SK스퀘어 신임 사장. SK 제공
SK그룹은 최근 인사에서 이종수(1971년) SK이노베이션 E&S 사장과 김정규(1976년) SK스퀘어 사장, 김완종(1973년) SK(주) AX 사장 등 1970년대생 사장을 5명 배출했다.
LG전자의 경우 부사장급 중 1970년대생 비중은 현재 20% 내외다. 내년에는 30%대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자동차는 부사장 중 1970년대생 비중은 올해 3분기 32%에서 내년 40%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1982∼1989년생인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 젊은 임원 발탁도 확대되는 추세다. 현재 국내 100대 기업에서 해당 연령대 임원은 약 100명이 활동 중으로 내년에는 이들 임원 층이 한층 두터워질 전망이다.
올해 다른 그룹보다 임원 인사가 빨랐던 신세계그룹의 경우 1985년생인 제임스 장 지마켓 대표와 이승민 신세계인터내셔날코스메틱 2부문 대표가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CJ그룹은 최근 임원 인사에서 모두 5명의 30대 신임 경영리더(상무)를 배출했다. 여기에 올해 신임 경영리더 승진자 40명 중 45%가 80년대생 이후의 출생자들로 채워졌다.
제임스 장 지마켓 대표. 신세계그룹 제공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