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헬스장 땀 뻘뻘 (창원=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4일 오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한 피트니스센터(헬스장)에서 시민이 체력 단련을 하고 있다. 헬스장 관계자는 연초에는 헬스장을 방문하는 이가 평소보다 1.5 배가량 많다고 전했다. 2024.1.4 image@yna.co.kr/2024-01-04 16:09:48/ <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근력 운동’이라면 대체 어떤 운동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 막연하게만 느껴지는 ‘운동 초보자’들은 무엇부터 시작하면 좋을까.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근력 운동에 대한 조언을 김강 트레이너(제임스짐 코엑스점)에게 들어봤다.
김강 트레이너는 “헬스장에 처음 등록한다면서 찾아오시는 시니어층 회원이 생각보다 많다. 이런 분들은 그동안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해본 경험이 없고, 허리 등의 통증이 심해져서 ‘살기 위해 운동해야겠다’면서 오신 분들이 대부분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운동 경험이 거의 없고, 근력도 약한 회원들은 스트레칭부터 시작한다. 그동안 근육을 잘 쓰지 않아서 유연함과 탄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먼저 굳어 있는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어서 가동범위 내의 운동을 시작하는 게 순서다”라고 덧붙였다.
현실적으로 시니어 연령층은 운동을 통해 근성장을 이루기는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늦었다’거나 ‘이제 와서 하면 뭐 하나’라는 생각을 하는 건 금물이다.
시니어층이 아니더라도 지나친 다이어트로 인해 근력과 에너지가 크게 떨어진 20대 혹은 30대 여성, 지나치게 오랜 기간 앉아서 일하느라 근력이 크게 떨어진 직장인들도 하루빨리 스트레칭과 가벼운 활동을 시작하는 게 좋다.
김강 트레이너는 “운동이 전혀 익숙하지 않고, 오랜 시간 업무나 학업에 시달리면서 에너지 레벨이 떨어진 사람이라면 따로 시간을 내서 운동하는 게 너무 거창한 일이라고 엄두가 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분들은 일단 출퇴근 시간이나 점심시간에 짬을 내서 산책을 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는 등의 움직임을 점점 늘려가는 식으로 운동을 시작하면 좋다”고 조언했다.
김강 트레이너는 “근육이 빨리 붙지 않는 체질도 있고, 몇 달간 열심히 운동을 했는데도 인바디를 재보면 근육량이 거의 변화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근육을 쓰고 운동을 하는 자체로 근육은 발달한다. 기계로 재서 나오는 근육량 수치만 맹신하거나 수치가 좋아지지 않았다며 실망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했다.
또 처음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기구 사용법과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운동 방법에 대한 지도를 받는 게 좋다. 마치 수영장에 처음 간 수영 동호인이 물에 뜨는 법, 정확한 영법을 배워야 자연스럽게 수영을 즐길 수 있는 것과 같다고 이해하면 편하다.
김강 트레이너. 사진=본인 제공 김강 트레이너는 “헬스장에 가면서 ‘오늘 내가 어떤 운동을 어떤 순서로 얼마나 해야 겠다’는 계획이 머릿속에 세워지고 실행할 수 있다면, 그때부터는 별도의 강습 없이 혼자 운동을 해도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근력 운동의 최대 매력은 ‘누구라도 잘 할 수 있는 운동’이라고 강조했다. 김 트레이너는 “예를 들어 구기종목은 4~5년을 정말 열심히 훈련한다고 해도 뛰어난 기술을 익혀서 잘 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근력 운동은 4~5년간 꾸준하게 열심히 한다면 누구나 정말 잘 할 수 있다. 일정 기간 꾸준하게 하면, 내가 근육을 잘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몸이 변하는 게 눈으로 보인다. 근력 운동이야 말로 가장 ‘가성비’가 좋은 운동”이라고 힘주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