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가 하이브와의 소송 과정에서 “하이브 상장을 위한 소모품처럼 이용됐다”고 주장하며, 자신이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유퀴즈)에 출연하게 된 배경도 회사 측의 의도적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민 전 대표는 27일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31부 심리에서 “이 사건을 겪으며 느낀 것은 방시혁 의장이 필요할 때는 과도할 정도로 구애하지만, 필요 없다고 판단되면 아주 쉽게 사람을 버린다는 점”이라며 “그 구조 속에서 저는 하이브 상장을 위한 ‘재료’였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진술했다.
그는 “당시 하이브에는 BTS 한 팀뿐이라 상장을 추진하기에 ‘재료’가 부족했을 것”이라며 “상장 계획이 없다고 들었기 때문에 이런 구조를 예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회사가 상장하는 과정을 보며, 아티스트가 하나의 소모품처럼 취급될 수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시청한 드라마 ‘당신의 맛’을 언급하며 “대기업이 맛집 사장을 찾아다니며 프랜차이즈화하는 과정과 비슷했다. 핵심 역량을 가진 사람은 결국 버려지는 구도”라고 비유했다.
민 전 대표는 자신이 방 의장에게 쓴소리하던 인물이었기 때문에 갈등이 심화됐다고도 설명했다. 그는 “방 의장은 제가 필요하다고 느끼면서도, 한편으로는 불편해했을 것”이라며 “갈등이 있던 시기에도 ‘희진님이 나가서 적으로 돌아서는 것보다는 우리 쪽에 있는 게 낫다’는 말을 했다”고 말했다.
‘유퀴즈’ 출연과 관련해서도 회사가 홍보를 못하게 막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민 전 대표는 “유퀴즈 출연 제안은 여러 번 거절해 왔는데, (뉴진스)홍보를 못 하게 하니까 이러다 안 되겠다 싶더라”며 “그래서 갑자기 작가님한테 전화해서 '저 ‘유퀴즈’ 나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작가님이 ‘갑자기요?’라고 물으셔서 ‘그냥 어떤 상황이 생겼다. 그냥 해야된다’고 해서 나가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민 전 대표는 지난해 11월 어도어 사내이사에서 사임 의사를 밝힌 뒤 약 260억 원 규모의 풋옵션을 행사하겠다고 하이브에 통보했고, 이후 해당 주식매매대금 지급과 관련해 소송을 제기했다.
주주간계약에 따르면 민 전 대표가 풋옵션을 행사할 경우, 직전 2개년(2022~2023년) 평균 영업이익의 13배에 본인 보유 지분율 중 75%에 해당하는 지분을 기준으로 매매대금을 산정하도록 돼 있다. 어도어는 해당 기간 동안 2022년 40억 원의 영업손실, 2023년 335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민 전 대표는 어도어 지분 18%(57만316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적용해 산출한 풋옵션 예상 금액은 약 260억 원으로 추정된다.
김지혜 기자 jahye2@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