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서만 볼 것 같았던 배우 천우희가 브라운관에 나타났다. 강한 캐릭터만 도맡아서 했던 그는 tvN '아르곤'에서는 청춘을 대변했다. 미운오리 새끼 같은 설움을 딛고 일어섰다. 이연화 역을 통해 자신의 연기 스펙트럼을 한층 넓힌 계기가 됐다. 드라마에서도 통한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아르곤'은 시작과 동시에 끝난 듯한 느낌을 주며 지난달 26일 종영했다. 천우희는 최근 서울 강남 논현동 카페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촬영 비하인드 스토리와 인간 천우희에 대해 털어놨다.
천우희는 충무로의 신데렐라다. 지난 2004년 영화 '신부수업'으로 데뷔해 지난 2011년 영화 '써니'로 대중에게 눈도장을 찍었다. 이후 2013년 영화 '한공주'에서 타이틀롤을 맡으며 각종 영화제를 휩쓸며 배우 천우희의 존재를 만천하에 알렸다.
- 기자 연기를 하면서 선입견이 깨진 부분이 있다면.
"오히려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다. 기자님과 마주치는 건 인터뷰할 때 뿐이다. 편안했다. 기자 역을 맡아 보니 얼마나 큰 책임감을 느낄까라는 생각을 했다다. 펜을 쥐고 글을 쓴다는 건 막강한 힘이다. 판단하고 신념을 갖고 쓴다는 게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기자 생활 얘기를 들어보니 웬만한 체력이 없으면 하기 힘든 직업 같다."
- 관찰력이 좋은 것 같다.
"어렸을 때부터 보고 흉내내고 지켜보는 걸 좋아했다. 하지만 그걸 연기로 써먹을 생각은 하지 않았다. 각기 갖고 있는 개성도 다르고 생김새도 다르지 않나. 관찰한 것을 따라한다기 보다 상상을 많이 하는 편이다. 해보지 못한 감정들 상황들이라 어떤한 제한이 없다."
- 정적으로 생활하는 편인가.
"그렇다. 메모하고 일기 쓰는 게 습관이다. 지난해까지 더 정적이었는데 올해부터 조금 바꿔보려고 생각 중이다. 연기적인 접근도 드라마를 하면서 바꿔봤다. 정적인 편이지만 도전을 즐기는 것 같다."
- 어떤식으로 바뀌려고 노력 중인가.
"원래 집순이다. 집순이들의 특징은 친구들과 만나러 외출을 할 때면 지금까지 미뤄놨던 걸 그 때 다 한다. '급약속'도 두려워했다. 이제부턴 누가 만나자고 하면 생각 없이 만나보려고도 하고, 뭘 배우고 싶으면 몸으로 움직여볼까 한다.(웃음)"
- 바꾸고자 했던 계기가 있다면.
"글쎄. 한 살 더 먹어서 그런 것 같다.(웃음) 딱히 계기는 없다. 나 스스로를 많이 인지하려는 편이다. 일기를 쓰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나만 잘 알면 스스로에게 편협한 사람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았고, 나를 가두는 것 같기도 했다."
- 결혼은 언제쯤 할 생각인가.
"아직은 없다. 만약 하게 되면 하겠지만 지금은 일을 하는 게 좋다. 현재는 연기하는 게 가장 재밌다."
- 일과 사랑의 적정 비율은.
"둘 다 가지면 안 될까.(웃음) 잘 해낼 수 있을 것 같다. 일도 이해해주는 사람을 만나고 싶다."
- 이상형은.
"성품이 바른 사람이 좋다. 어려운 일이 있어도 위트 있게 넘어갈 수 있는 유머 있는 사람이 이상형이다."
- 주변에서 보는 천우희는 어떤 사람인가.
"'편하다'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스스로도 불편하게 사람을 대하는 편이 아니다. 어떤 직업, 어떤 지위든 신경을 안 쓴다. 뭘 모르니까 더 편하게 대하는 것 같기도 하다.(웃음) 사람은 엄청 예민한 동물이다. 호감이 있는지 싫어하는지 말하지 않아도 느껴진다. 좋은 감정을 갖고 대하면 상대방도 그렇게 느낄 거라고 생각한다."
- 생활 신조가 휴머니즘인가.
"그 정도는 아니다. 인간다운 게 뭔지는 생각을 많이 한다. 비인간적이고 도덕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면 어떻게 저럴 수 있지 하며 비난한다. 그렇다고 성인 군자 스타일은 아닌데 최소한 양심을 지키면서 인간적으로 살려고 한다."
- 이런 성향이 작품 고를 때도 영향을 미치나.
"단순하게 재밌으면 작품을 선택한다. 선택하고 나서 보면 인간으로서 말하고자 하는 것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런 성향을 결과적으로 알게된 것 같다. 캐릭터는 보지 않는다. 오로지 작품이 재밌어야 한다. 작품이 재밌으면 캐릭터도 다가온다."
- 대화에 신조어를 많이 쓰는 편이다.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으려고 한다. 주혁 오빠한테도 '낄낄빠빠'이런 단어를 알려주기도 했다. 요즘 단어를 어느정도 아는 수준이다.(웃음)"
- 트렌드를 좇는 편인가.
"그런 편은 아닌데, 나를 좋아해주는 친구들의 나이대가 어리다. 그들이 쓰는 단어들을 찾아보다가 알게됐다."
- 왜 어린 친구들이 좋아할까.
"영화 '써니'때 부터 10대, 20대 초반 친구들이 꽤 좋아하더라. 연기 지망생도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나이가 많다고 느끼지 않아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그저 고맙다."
- 연기 지망생들에게 조언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일단 자신을 가장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잘하는 부분, 매력 정도는 가장 알아야 한다. 자신에 대해서 모르고 남이 하는 연기를 선망하고 부러워하다보면 남의 틀에 맞추게 된다. 내 능력치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미현 기자 lee.mihyun@joins.com 사진=나무엑터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