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28년만 첫 사극 영화다. 오랜 트라우마를 극복했다는 것 만으로도 손현주(55)에게는 의미있는 도전이었다. 영화 '광대들: 풍문조작단(김주호 감독)'에서 역사적 인물 한명회로 분해 세조를 쥐고 흔들며 광대들과 판을 벌인 손현주는 왜 이제야 사극을 했나 싶을 정도로, 정말 첫 사극 영화가 맞나 싶을 정도로 찰떡같은 캐릭터 소화력을 자랑한다. 낯선 장르? 어려운 역할? 탄탄한 연기력 앞에서는 핑계일 뿐이다.
대단한 본업에 인성은 더욱 훌륭하다. 조진웅은 손현주 인터뷰 장소를 급습해 '볼뽀뽀'를 깜짝 선물로 남긴 채 휘리릭 떠나기도 했다. 후배들이 존경해 마다하지 않는 선배. 손현주는 인터뷰내내 의아할 정도의 겸손함을 표해 눈길을 끌었다. "이제는 각 작품에서 모셔가는 배우일텐데, 불합리함에도 화를 내지 않냐"고 묻자 손현주는 "선택의 책임은 모두 나에게 있다. 결정은 내 몫이다. 누가 나에게 '연기 좀 해 달라'고 매달리지 않는다. 그럼 어떤 것에도 절대 군말하지 말아야 한다. 짜증내고 화낼거면 처음부터 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배우 손현주의 중심이자, 모든 후배들에게 전달돼야 마땅한 가르침이다.
실제 손현주는 인터뷰 전 촬영에 한창인 KBS 2TV '저스티스' 쪽대본을 정독 중이었다. "이게 방금 날아왔다"며 껄껄 웃은 손현주는 인터뷰를 마친 후 다시 현장으로 달려가야하는 빼곡한 스케줄에도 현재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사이 특별출연까지 소화하며 의리도 지켰다. 몸이 열 개라도 모자른 순간, 기꺼이 제 몸을 열 개로 만들어내는 배우. 손현주는 믿고 보는 이유다.
※인터뷰①에서 이어집니다. -많은 후배들과 함께 했다. "친구처럼 잘 지냈다. 선배 대접을 안 해줬다는 뜻이다. 으하하하. (조)진웅이 같은 경우는 2009년도 드라마 '솔약국집 아들들'로 처음 만났다. 진웅이로서는 갓 방송에 입성했을 때였다. 연극·영화와는 환경이 다르다 보니까 고생을 많이 했는데 그래서 더 친해질 수 있었다. 그래서 진웅이가 주인공을 맡았던 '사냥'이라는 영화에 특별출연도 하고 그랬다."
-대립하는 캐릭터다 보니 너무 친한 실제 관계가 연기에 방해 되지는 않았나. "진웅이, (박)희순이, (고)창석이 모두 자기 배역에 책임을 지는 배우들이기 때문에 그런 어려움은 없었다. 너무 재미있고 팀워크가 좋다보면 내용이 흔들릴 수 있다. 자칫하면 분위기가 잘못될 수 있는데 이번 작품은 아니었다. 그렇게 흘러가게 놔둘 친구들도 아니고.(웃음) '잘 어울려 지내나' 싶은 순간 촬영이 끝났다. 아쉬움이 컸다."
-조진웅이 가방을 급습한 적이 있었다고 실토했다. 괴테 책이 있었다고 하던데. "그 때 책 배틀이 붙어 챙겨 다녔다. 절대 콘셉트는 아니다. 진짜 읽었다. 하하." -광대들이 조작하는 풍문들은 흡사 요즘의 가짜뉴스를 떠오르게 한다. "연기하면서 시류를 생각하는 배우는 없을 것이다. 감독은 몰라도 배우는 '짜여진 시나리오 안에서 어떻게 하면 제대로 표현할 것인가'에 집중하기 마련이다. 시기와 시대가 잘 맞았다면 더불어 감사한 일이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영화 자체에 힘이 있다. 최근 개봉한 '봉오동전투'도 마찬가지 아닌가. (유)해진 씨가 지금 이 시기에 일본과 경제전쟁을 치르게 될 줄 알았을까. 친한 동생이라 자주 이야기를 나눈다. 내가 '광대들' 촬영할 때 해진이는 '봉오동전투'를 촬영하고 있었기 때문에 더 잘 알고 있다."
-이제는 작품이 모시는 배우가 된 것 같은데, 여전히 겸손하다. 화도 잘 안내는 편인가. "내가 항상 이야기 하는게 있다. 어떤 선택을 했다. 그 선택은 누가 했냐, 내가 했다. 사무실과는 논의를 할 뿐이지 결국 결정은 내가 한 것이다. 그럼 무엇에도 군말하지 말아야 한다. 짜증나고, 화나고, 하기 싫으면 처음부터 하지 말았어야 하는 것이 맞다. '제발 이 캐릭터 좀 해주십쇼'라고 한 사람이 누가 있겠나. 내가 하고 싶어서 한 것이다. 책임을 져야 하는 것도 나다. 부상을 입었다? 다치는 것도 내가 조심했어야 하는 일이다. 누구에게 하소연을 하겠나. 예나 지금이나 난 똑같은 마음이다."
-'저스티스' 쪽대본이 눈에 들어온다.(웃음) "이것도 마찬가지다. 물론 힘들지만 내가 소화해야 할 몫이다. '드라마가 됐든, 영화가 됐든 선택한 것에 대해서는 절대 짜증내지 말아라' 수 십년간 나 스스로에게 했던 말이다. 나약해지거나, 나와 내가 타협하려고 할 때 나에게 던졌던 이야기다. 후배들에게도 가끔 한다. 요즘엔 버티는 것, 힘든 것을 잘 못 참는 친구들이 있다. 그런 친구들에게는 내가 경험하고 느꼈던 것들을 전해준다. 듣고 이해하는건 그들 몫이다. 강요하지는 않는다." -좋은 선배의 좋은 예다. "선배, 후배를 따지지는 않는다. 진짜 친구, 동료라고 생각한다. '난 저 친구들의 선배야'라고 생각하면 서로 다가가기 어렵다. 편한게 최고다. 솔직한 심정으로는 촬영에 들어가면 그냥 이름을 불렀으면 좋겠다. '현주!' '창석!' 이런 식으로. 어색하면 이름 뒤에 '님'자까지 붙이는건 괜찮지 않을까 싶다. 호칭 때문에 서먹해지는 경우도 많다. 선배님도 길고, 선생님은 더 더욱 아니다. 내가 무슨 선생이냐. 가르치는 것도 없는데.(웃음)"
-선·후배가 함께 한 '광대들'의 매력은 무엇일까. "자기 향기를 낼 수 있는 배우들이 많다. 다들 자기만의 능력을 뽐낼 줄 안다. 우리 영화는 입소문을 타고 서서히 탄력받아 오래가지 않을까 싶다. 그럴만한 작품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