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리그 개막이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보인다. 게티이미지 메이저리그 개막이 난항이다. 추측이 난무한다. 연봉 삭감 가능성도 나왔다.
미국 매체 '미애슬레틱은' 17일(한국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메이저리그가 무관중으로 시즌을 시작하면 사무국이 선수 노조에게 추가로 연봉 삭감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는 전망을 전했다.
각 구단의 입장 관련(식품, 상품, 주차 이용 포함)은 구단 수입에 4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있다. 무관중 경기는 수단 재정 악화와 직결된다. 모든 산업이 휘청이고 있는 상황. 어쩔 수 없는 옵션이다.
그러나 선수 노조의 수용은 전망이 불투명하다. 이 매체는 지난달 노조와 사무국이 합의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연봉 합의 내용을 양측이 다르게 해석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무국은 5월 말까지 60일 동안 빅리그 40인 로스터, 부상자 명단에 등재된 선수 그리고 마이너리거에게 연봉 선지급 개념으로 1억 7000만 달러를 주기로 했다. 2020년에 메이저리그가 개막하지 않아도 선수들이 받을 수 있는 돈이다.
FA 자격 취득을 위한 서비스 타임도 인정한다. 그러나 개막이 무산되면 나머지 40억 달러 규모의 잔여 연봉은 받을 수 없다. 개막을 하면 개별 연봉에서 경기 감소 비율분만 받는다.
선수 입장에서는 유리한 조항도 있고, 감수할 수 밖에 없는 내용도 있다. 문제는 무관중 경기라는 조건이 이 협의에 포함된 내용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무관중 경기가 진행되더라도 선수는 노동을 하는 셈이다.
애리조나주에서 무관중 경기로 시즌을 진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온 상황. 구단과 사무국은 현실적인 문제를 주시했다. 그러나 선수 노조는 무관중 여부를 삭감 요인으로 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