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프로야구는 지난 2년의 어려움을 뒤로한 채 우리 곁으로 온전히 돌아왔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 직후 사회적으로 크게 일었던 '보복 소비' 열풍은 KBO리그를 비껴갔다. 9월 20일 기준으로 2022시즌 프로야구의 평균 관중 수는 경기당 8224명이다. 10개 구단 체제 이후 처음으로 경기당 평균 관중 1만명 붕괴(코로나로 인해 관중 입장이 제한됐던 2020~2021시즌 제외)가 확실하다.
'양극화'는 프로야구 재도약에 찬물을 끼얹은 주범 중 하나다. 작년만 하더라도 치열한 순위싸움이 시즌 끝까지 이어졌다. KT 위즈,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가 정규시즌 우승을 다퉜다. 두산 베어스, 키움 히어로즈, SSG 랜더스는 가을야구 진출을 두고 마지막 144번째 경기까지 치열하게 경쟁했다.
올 시즌은 사정이 다르다. 시즌 초반부터 일부 팀들이 승리를 독식했다. 1위 싸움은 SSG와 LG 두 팀 만의 경쟁이 됐다. 5위 싸움도 5할 아래서 이뤄졌다.
비단 1위와 5위 싸움이 아니더라도 2022시즌에는 '역대급'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올 시즌 리그 양극화 현상을 RSD 지수(ratio of Actual to idealized standard deviation, 팀 승률 기반으로 리그 내 전력 평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살펴봤다. RSD는 1에 가까울수록 리그 내 전력 균형이 좋고, 1보다 높을수록 불균형 정도가 심각함을 나타낸다. 9월 20일 기준 2022시즌 RSD 지수는 2.30으로 측정되었다. 10개 구단 720경기 체제가 자리 잡은 2015시즌부터 순위를 매겨보면 2019시즌(2.34)에 근접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범위를 21세기 전체로 넓혀도 세 번째로 높은 값이다. 다만 2002시즌의 경우 당시 롯데 자이언츠가 일찌감치 리빌딩을 선언, 순위경쟁을 포기하며 최악의 승률(0.265)를 기록했음을 고려해야 한다. 반면 올 시즌은 최하위 한화 이글스도 승률 0.333을 기록 중이다. 그렇다면 2022시즌은 2019시즌과 더불어 21세기 최악의 양극화가 벌어진 해로 간주할 수 있다.
수도권 팀과 지방 팀 격차도 알아봤다. 역시 2015시즌부터 측정한 결과 올 시즌의 수도권-지방 팀 평균 승률 격차는 0.126으로 2019시즌(0.154)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단순 순위로 비교하면 더 직관적이다. 2019시즌 KT를 제외한 수도권 4개 팀 두산, 키움, SK 와이번스, LG가 1~4위를 차지했다. 올 시즌 역시 두산을 제외한 SSG, LG, KT, 키움 수도권 4개 팀이 1~4위를 달리고 있다.
한편 2017시즌 이후 수도권 팀의 평균 승률은 단 한 차례도 지방 팀에 우위를 내주지 않았다. 우승 횟수 기준으로 2015~2021시즌 수도권 팀은 5차례 트로피를 들어 올렸으나, 동기간 지방 팀은 2회에 불과하다. 올 시즌의 우승팀 또한 수도권 팀이 될 것이 거의 확실하기에 그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 팀 역사와 TV 시청률, 원정 관중 동원력에서 대대로 우위를 점했던 지방 팀들의 동반 부진이 올해에도 이어지며 리그 전체의 흥행을 저해하고 있다.
올 시즌 양극화의 양상은 지난 2019시즌과 상당히 유사하다. 두 시즌 모두 10구단 체제 이후 팀 간 승률 격차와 수도권~지방 팀 격차에서 1·2위를 다퉜다. 흥행 성적표 역시 부진했던 2019시즌의 길을 따라갈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2019시즌은 프로야구 인기에 본격적으로 빨간불이 켜지는 시점이었다. 창원NC파크 개장 효과에도 불구하고 총 관중이 2018년 대비 10%가량 하락, 800만 관중 시대가 4년 만에 막을 내렸다. 전 시즌 LG, 두산, SK가 달성한 100만 관중 기록도 2019시즌 LG만 해냈다.
직관 성적만큼이나 '집관' 성적도 저조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시청률 조사기관인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2019시즌 정규시즌 평균 TV 시청률은 0.88%로 2018시즌(0.97%)보다 9.3% 감소했다.
2019시즌은 리그 양극화가 프로야구 흥행에 큰 타격을 준다는 사실을 수치로 증명했다. 2022시즌 또한 9시즌(2020·2021시즌 제외) 만에 600만 관중 시대가 무너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일찍이 경고등이 켜졌다. 코로나 대유행의 늪을 겨우 빠져나와 재도약을 꿈꾸는 프로야구에 양극화가 찬물을 끼얹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물론 2022시즌 양극화는 정도의 차이일 뿐 최근 몇 년간 지속하여 온 현상이다. 역대 최다 관중을 기록한 2017시즌부터 지금까지의 6시즌 중 4시즌의 RSD 값이 2를 초과했다. 마찬가지로 수도권 팀의 승률이 지방 팀을 앞서는 현상도 5시즌째 이어지고 있다. 최근 KBO(한국야구위원회) 사무국이 전력 평준화를 위해 1차 지명 폐지와 샐러리캡 도입에 서둘렀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역동성이 실종된 야구는 다른 스포츠 종목에 대한 경쟁력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 야구의 경기 시간과 리그 진행 기간이 타 종목보다 길지만, 큰 인기를 끌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필자는 2020년 여름 일간스포츠와 인터뷰를 진행한 김태형 두산 감독이 이를 한마디로 정의했다고 생각한다. '야구는 예측 불가의 영역'에 있기 때문이다.
이미 벌어진 점수 차가 순식간에 좁혀지고, 꼴찌 팀이 1위 팀을 이긴다. 전년도 부진했던 팀이 이듬해 갑작스럽게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오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는 스포츠가 야구다. 이렇듯 역동적이기에 많은 팬이 야구의 매력에 빠지고, 응원팀이 잠시 부진한들 쉽사리 관심을 끊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어차피 뻔한 결과가 예상되는 스포츠에 누가 관심과 애정을 갖고 지켜볼 것인가. 야구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이 리그 양극화에 조금 더 관심을 갖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