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IT

'갤럭시엔 언제쯤?' 삼성전자, 차세대 AP '엑시노스 2400' 공개

삼성전자가 모바일 두뇌 역할을 하는 차세대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엑시노스 2400'을 공개했다. 앞서 발열과 성능 이슈로 뭇매를 맞으며 잠시 무대에서 내려온 만큼 대대적 업그레이드를 거쳐 향후 갤럭시 플래그십에 탑재될 것으로 기대된다.삼성전자는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미주총괄(디바이스 솔루션 아메리카 오피스)에서 '삼성 시스템LSI 테크 데이 2023'을 개최했다.이 자리에서 AMD의 최신 아키텍쳐 RDNA3 기반 엑스클립스 940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탑재한 차세대 모바일 프로세서 엑시노스 2400을 소개했다.엑시노스 2400은 전작인 '엑시노스 2200' 대비 CPU 성능은 1.7배, 인공지능(AI) 성능은 지난 2년간 14.7배 끌어올렸다.삼성전자는 이 제품에 더욱 향상된 레이 트레이싱과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리플렉션·쉐도우 렌더링 등 첨단 그래픽 기술을 탑재해 고성능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에게 최고의 경험를 제공할 계획이다.향후 스마트폰에 적용될 문자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새로운 생성형 AI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다.또 삼성전자는 차량용 솔루션과 이미지센서 등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시연했다.2억 화소 이미지센서 기반 초고해상도 특수 줌 기술인 '줌 애니플레이스'는 움직이는 사물을 풀스크린과 최대 4배 클로즈업 장면까지 화질 저하 없이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클로즈업 시 AI가 사물을 자동 추적한다.삼성전자는 2025년 양산 예정인 차세대 프리미엄 인포테인먼트(IVI)용 프로세서 '엑시노스 오토 V920' 구동 영상을 공개했다.이 제품은 Arm의 최신 전장용 중앙처리장치(CPU) 코어텍스-A78AE 10개를 기반으로 이전 제품 대비 1.7배 강화된 CPU 성능과 최대 6개의 고화질 디스플레이에 동시 연결 가능한 멀티 커넥티비티 기능을 자랑한다.차량용 이미지센서향 '아이소셀 오토'와 사물의 빠른 움직임을 순간적으로 정확하게 포착하는 '아이소셀 비전' 제품으로 안전 주행 기술도 선보였다.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사장은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생성형 AI가 올해 가장 중요한 기술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더 고도화된 기반 기술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고성능 IP부터 장단거리 통신 솔루션, 인간의 오감을 모방한 센서 기반 '시스템LSI 휴머노이드'를 구현해 생성형 AI에서 더 발전된 '선행적 AI' 시대를 열 것이다"고 말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3.10.06 10:18
생활/문화

여름 다가오는데…'핫팩' 갤S21에 불안한 소비자들

다가오는 여름, 식지 않는 '갤럭시S21'(이하 갤S21) 때문에 소비자들이 불안하다. 지난 1월 출시 때부터 문제가 된 발열이 아직도 해결되지 않아서다. 2016년 '갤럭시 노트7'의 폭발 사례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1일 미국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 갤S21 울트라 모델 구매를 망설이는 한 이용자가 발열 관련 경험을 묻는 글을 올렸다. 해당 설문에 110명이 넘는 이용자가 참여했는데, 55명이 '보통'이라고 답했다. '따뜻하다'가 28명, '100% 발열이 생긴다'가 13명으로 뒤를 이었다. 절반에 약간 미치지 못하는 이용자들이 조금이라도 발열을 느낀 것이다. 댓글에는 '발열 관련 어떠한 문제도 없다'와 '너무 뜨거워지면 앱이 강제로 종료된다'로 평가가 갈렸다. 국내에서도 갤S21 시리즈의 발열과 관련해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정확한 원인과 해결 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삼성멤버스 커뮤니티의 한 이용자는 "유튜브를 멀티윈도우로 실행하고 인터넷 서핑을 했더니 6분 만에 스마트폰 온도가 45도까지 올라갔다가 기능 강제종료 메시지가 떴다"고 말했다. 또 이용자들은 "게임을 하는데 핫팩처럼 뜨겁다"며 "발열 패치 좀 제대로 해달라. 여름이 무섭다"고 호소했다. 미국 삼성멤버스 커뮤니티에서는 갤S21의 발열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이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되기도 했다. 복구 모드 진입 후 캐시 메모리 삭제, 케이스 제거, 충전기 확인, 백그라운드 앱 종료, 블루투스 등 불필요한 통신 끄기 등이다. 삼성전자는 앞서 발생한 갤S21 시리즈의 카메라 앱 버벅거림 문제는 최근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로 해결했다. 줌을 당기거나 원복할 때 끊기는 현상이 사라졌다. 하지만 여전히 발열은 잡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 발열은 SW가 아닌 하드웨어 문제라 개선이 힘들 수도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갤S21은 퀄컴 '스냅드래곤 888'과 삼성 '엑시노스 2100'을 병행 채택했다. 국가에 따라 들어가는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가 다르다. 문제는 두 칩셋 모두 영국의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의 표준 코어를 사용했는데, 이 중 복잡한 연산에 쓰이는 '코어텍스-X1'이 전력 소모를 생각하지 않고 성능에만 집중해 발열을 야기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자 '삼성 갤럭시 컨설턴트'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발열을 없애는 방법을 공유했다. 그런데 정상적인 방식이 아니라 의문만 낳았다. 이 영상에서는 갤S21 카메라로 동영상을 찍을 때 발열이 생기면, 화면 프레임을 낮출 것을 권장하고 있다. 프레임은 높을수록 화면 전환이 자연스럽다. 또 일반적인 영상은 풀HD로 촬영하다가 디테일한 장면을 포착할 때만 8K 해상도를 선택해야 발열 제어에 도움이 된다고 권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높은 사양의 스마트폰을 살 이유가 없어진다. 서울의 한 폰 수리업체는 갤S21의 발열에 대해 "AP에서 열이 많이 나는 것이 원인이라면 메인보드를 통째로 갈아야 한다"며 "뽑기 운이 나빴냐"고 되물었다. 한때 갤S21 탑재 AP의 수율(전체 생산품에서 양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똑같은 모델이라도 제품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난다는 추측이 제기된 바 있다. 이처럼 갤S21 시리즈의 발열 원인은 교체가 아니면 개선이 힘든 하드웨어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따라서 새 기기로 바꾸는 게 유일한 답이다. 그러나 AS센터를 방문한 삼성멤버스 커뮤니티 이용자들에 따르면 부품 일부 교체도 오랜 시간 언성을 높이지 않으면 지원받기 힘든 상황이다. 결국 SW 업데이트가 남은 희망인데, 고성능 코어의 성능을 일부러 낮춰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쪽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본지에 "지난 4월 말 SW 업데이트를 통해 제기되고 있는 발열 관련 이슈를 조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제품 사용 조건, 계절의 변화 등에 따라 주변 온도 상승 등 발열 관련 VOC(고객 문의)는 나타날 수 있다"며 "추가 제기되는 고객 VOC에 대해 지속 모니터링해 조치할 예정이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gang.co.kr 2021.06.02 07:00
경제

잘 골라야 발열 없다? 100만원 넘는 '갤S21' 양품 뽑기 논란

출시 2개월 차에 접어든 삼성전자 '갤럭시S21(이하 갤S21)' 시리즈가 때아닌 '뽑기' 논란에 휩싸였다. 동일한 모델인데도 소비자마다 체감하는 성능과 발열이 달라서다. 일부에서는 하드웨어 성능 관련 수치를 확인하는 법이 퍼지고 있으며, '100만원 넘는 제품을 사면서 뽑기 걱정을 해야 하느냐'는 불만도 나온다. 4일 해외 안드로이드 개발자 커뮤니티 'XDA 디벨로퍼스'에서는 갤S21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2100'과 관련한 수치와 스마트폰의 실제 성능 간 연관성을 묻는 설문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갤S21에서 특정 명령어로 접근해 얻을 수 있는 시스템 기록의 CPU와 그래픽카드 등 하드웨어 목록 옆에 1~5까지의 숫자가 적힌 것을 볼 수 있다. 이 숫자가 5에 근접할수록 사용하는 전력이 낮아 발열이 없으며, 1에 가까울수록 작업 효율이 높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쉽게 말해 숫자가 낮을수록 발열이 있는 제품을 골랐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지난달부터 국내 IT 커뮤니티에서도 이런 방법으로 자신이 구매한 갤S21이 '양품(질 좋은)'인지 '뿔딱(불량 딱지)'인지 판별한 사례가 올라오고 있다. 해당 하드웨어 수치가 스마트폰 성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인다는 의견이 있지만, 성능 분석 사이트 '긱벤치'의 결과와 연계해 의미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반적으로 긱벤치에서 갤S21 점수가 싱글코어 1000점 초반대, 멀티코어 3000점 중반대라면 양호한 것으로 본다. 이와 관련해 국내 IT 커뮤니티의 한 이용자는 "어느 제조사건 반도체 수율(생산 과정에서 양품이 나오는 비율)이 100%가 나올 수는 없다. 같은 모델도 성능이 다른 것은 이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이용자는 "제조사가 보장하는 일정 수준은 지켜야 하는데 편차가 큰 건 문제가 있다"고 반박했다. 갤S21 성능과 관계가 있어 보이는 엑시노스 2100 관련 수치는 번거롭지만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는 통화 화면에서 '*#9900#'을 누르면 시스템 기록을 얻는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Copy to sdcard(include CP Ramdump)'를 선택하면 시스템 기록이 스마트폰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다. 해당 화면을 빠져나와 '내 파일' 앱을 실행해 내장메모리의 'log' 폴더에 들어가서 'last_kmsg'라는 이름의 파일을 검색한 뒤, 확장자를 텍스트 파일(.txt)로 바꿔 문서 앱으로 열면 된다. 여기에는 '빅 CPU' '미드 CPU' '리틀 CPU' 각각의 'grp(그룹 인덱스)' 값이 1~5 범위 안에서 표시된다. 이것이 발열과 관련 있다는 것이 일부 소비자들의 주장이다. 한 IT 개발자는 "발열을 고려해 CPU와 그래픽카드, NPU(신경망처리장치), 모뎀 등 AP에 탑재된 모듈의 클럭(처리 시간) 값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해당 기록이 작성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외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여러 하드웨어 자원 중 '빅' '미드' '리틀'로 나뉜 CPU 값이 스마트폰 성능과 직결된 것으로 추정했다. 엑시노스 2100은 영국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의 표준 코어를 사용했다. 최대 2.9GHz로 구동되는 고성능 '코어텍스-X1' 1개와 2.8GHz '코어텍스-A78' 3개, 2.2GHz 저전력 '코어텍스-A55' 4개를 탑재했다. 웹 서핑 등 일반 작업에는 '리틀'에 해당하는 저전력 코어가 작동하고, 높은 사양의 게임이나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는 '빅'과 '미들'에 해당하는 고성능 코어가 업무를 수행한다. 시스템 기록 확인은 'T전화'와 같이 이동통신사 등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앱이 아닌 기본 통화 앱으로 시도해야 한다. 갤럭시S 시리즈뿐 아니라 A 시리즈 등에서도 가능하다. 이 과정을 개발자들은 '덤프를 뜬다'고 표현한다. 프로그램 오류나 데이터 결함 등으로 문제가 생겼을 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스템 기록을 살펴보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모바일 AP 시장을 확장하기 위해 개발한 엑시노스는 미국 퀄컴의 스냅드래곤 대비 경쟁력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전작인 '엑시노스 990'은 성능과 발열 문제로 자사 스마트폰인 갤럭시S 시리즈에서 점유율이 하락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AP 신작은 별도로 공개행사를 열 만큼 회사 차원에서 공을 들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로그 기록 관련 커뮤니티 글의 주장은 일부 사실과 다르다"며 "로그 기록 관련 내용은 구체적으로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3.05 07:00
생활/문화

삼성전자, 갤S21 두뇌 '엑시노스2100' 공개...퀄컴 넘을까

삼성전자가 최신 기술을 집약한 프리미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2100'을 출시했다. 전작 대비 성능을 크게 개선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20%대 점유율을 확보하며 경쟁사인 퀄컴을 압도하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1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엑시노스 2100은 5나노 극자외선(EUV) 공정으로 생산되며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이 각각 30%, 40% 이상 향상됐다. 인공지능(AI) 성능도 강화됐으며, 삼성전자 프리미엄 모바일 AP 최초로 5G 모뎀 통합 칩으로 구현됐다. 고사양 게이밍과 복잡한 멀티태스킹 환경에 적합하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설계 업체 Arm과 협업해 최대 2.9GHz로 구동되는 고성능 '코어텍스-X1' 1개, '코어텍스-A78' 3개, 저전력 '코어텍스-A55' 4개를 탑재하는 '트라이 클러스터 구조'로 엑시노스 2100을 설계했다. 함께 탑재된 '말리-G78' GPU는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과 같은 실감콘텐트의 몰입도를 높인다. 이 제품은 3개의 차세대 신경망처리장치(NPU) 코어와 불필요한 연산을 배제하는 가속 기능 설계 등을 통해 초당 26조번 이상의 AI 연산 성능을 확보했다. 단말기 자체에서 고도의 AI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엑시노스 2100은 최대 2억 화소 이미지까지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이미지처리장치(ISP)를 갖췄다. 최대 6개의 이미지센서를 연결하고, 4개의 이미지센서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광각·망원 등 다양한 화각의 이미지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한다. 이 제품에 내장된 5G 모뎀은 저주파 대역은 물론 초고주파 대역까지 주요 주파수를 모두 지원한다. 이밖에 소비전력은 7나노 대비 최대 20% 개선됐다. AI 연산에 소모되는 전력은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장 강인엽 사장은 "앞으로도 한계를 돌파하는 모바일 AP 혁신으로 프리미엄 모바일 기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엑시노스 2100은 퀄컴이 최근 발표한 스냅드래곤 888과 함께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인 갤럭시 S21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유럽, 인도 등에는 엑시노스2100 탑재 모델이 판매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시장에 나온 갤럭시 S20에서 엑시노스 990과 스냅드래곤 865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었는데, 성능 측면에서 퀄컴이 삼성전자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삼성전자의 이번 모바일 AP 신제품은 퀄컴의 스냅드래곤 888과 동등한 성능을 낼 것으로 기대된다. 성능 비교 사이트 긱벤치에서 갤럭시 S21 플러스와 울트라 모델의 연산 속도를 측정한 결과 싱글코어에서는 두 AP가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멀티코어에서는 엑시노스2100이 월등히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엑시노스2100이 스냅드래곤 888(2.84GHz)보다 높은 클럭의 고성능 코어를 장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치상으로는 좋은 점수를 받았지만, 엑시노스2100이 발열과 배터리 소모 등 고질병을 제대로 극복했는지는 지켜봐야 알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2020년 3분기 전 세계 모바일 AP 시장에서 중국과 인도 등 중저가 시장을 공략한 미디어텍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29%의 퀄컴이었으며, 삼성전자, 하이실리콘, 애플이 12%의 점유율로 공동 3위에 올랐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12 23: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