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80건
프로야구

강하다, 또 강하다…불 붙은 골든글러브 '핫코너' 삼국지 [IS 포커스]

프로야구 '핫코너'가 뜨겁다.지난해 KBO리그 골든글러브 시상식 최대 관심사는 3루였다. 데뷔 첫 홈런왕에 오른 노시환(한화 이글스)이 최정(SSG 랜더스)의 아성을 무너트리며 황금장갑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노시환은 단상에 올라 "최정 선배님을 따라잡으려고 노력하고, 선배님을 넘기 위해 달려온 덕분에 골든글러브를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최정과 노시환은 올 시즌에도 강력한 골든글러브 후보다. KBO리그 골든글러브는 수비 이상으로 공격이 중요한 평가 지표인데 두 선수가 엎치락뒤치락한다. 최정은 지난달 24일 개인 통산 468번째 홈런을 쏘아 올려 이승엽 두산 베어스 감독을 제치고 KBO리그 통산 홈런 1위로 올라섰다. 28일 인천 KT 위즈전에선 통산 469번째 홈런을 그랜드 슬램으로 장식하기도 했다.노시환도 뒤지지 않는다. 지난달 30일 대전 SSG 랜더스전에서 최정이 지켜보는 가운데 만루 홈런, 이튿날에는 연속 경기 홈런을 터트렸다. 둘은 선의 경쟁 상대다. KBO리그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는 최정과 한대화가 작성한 8회 수상이다. 노시환은 "너무 힘든 기록이겠지만, 내가 꼭 10개를 채워볼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최정은 지난 1월 "(노시환에게) 너무 뒤처지지 않고 끝까지 경쟁하는 구도를 만들어보고 싶다"라며 껄껄 웃었다. 한 구단 관계자는 "지난 시즌을 기점으로 노시환의 기량이 급성정하면서 최정과 좋은 라이벌 관계가 만들어진 거 같다"고 말했다.그런데 올해 3루수 골든글러브 경쟁은 2파전이 아닌 3파전이 유력하다. '신성' 김도영(KIA 타이거즈)이 양강 체제를 흔들 대항마로 떠올랐다. 김도영은 개막 전만 하더라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엄청난 타격감으로 센세이션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김도영은 최정보다 정확하고, 노시환보다 폭발적인 화력으로 KIA 타선의 상승세를 이끈다. 4월 한 달 동안 10홈런 14도루를 기록, KBO리그 사상 첫 월간 10(홈런)-10(도루)을 달성하기도 했다. 최정·노시환보다 팀 성적이 좋다는 것도 플러스 요인. 두 선수에 비해 수비가 약하지만, 점차 안정되고 있다. KIA 소속 선수가 3루수 부문 골드글러브를 차지한 건 2009년 김상현이 마지막이다. 10년 넘게 '남들의 축제'였는데 올해는 다르다.윤희상 KBS N 스포츠 해설위원은 "김도영도 골든글러브 후보가 될 수 있다. 만약 30홈런-30도루, 더 나아가 40홈런-40도루를 달성한다면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 도전도 가능하다. 어느 해보다 3루수 골든글러브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4.05.07 09:09
메이저리그

이정후, 포브스 선정 '잠재력 랭킹' 5위...김하성은 예비 FA 15위

이적설이 쏟아졌던 김하성(28·샌디에이고 파드리스)가 2025 자유계약선수(FA) 시장도 흔들 전망이다. 미국 스포츠 전문 매체 더스코어닷컴은 5일(한국시간) '2025년 FA 시장에서 주목할 선수 20명'을 소개하며 김하성을 15위로 랭크 했다. 이 매체는 "김하성과 샌디에이고는 2024시즌이 끝난 뒤 상호 합의로 계약을 1년 더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있지만, 이 가능성은 매우 낮다"라며 "김하성은 눈에 띌 정도는 아니지만, 견고한 타격 능력과 탁월한 주루, 3개 포지션(2루수·3루수·유격수)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라고 전했다. 김하성이 2023 내셔널리그(NL) 유틸리티 플레이어 골드글러브를 수상한 내용도 전했다. 더스코어닷컴은 메이저리그에서 4시즌을 채운 뒤에도 20대인 김하성의 나이도 경쟁력으로 봤다. 김하성은 2021시즌을 앞두고 샌디에이고와 4+1년, 총액 최대 3900만 달러(519억원)에 계약했다. 2025시즌 샌디에이고에 남으면 연봉 800만 달러를 받을 수 있지만, 김하성은 시장에 나갈 가능성이 높다. 샌디에이고가 올겨울 그를 트레이드 카드로 쓰려고 했던 이유다. 김하성은 2023시즌 타율 0.260·17홈런·38도루를 기록했다. 타율 0.202·8홈런에 그쳤던 빅리그 데뷔 시즌(2021)과 비교해 괄목할 성장세를 보여줬다. 2024시즌 기량이 더 좋아진 모습을 보여준다면, 이후 4~5년을 전성기로 보고 영입전에 가세할 팀들이 늘어날 전망이다. 스포츠 매체 디 애슬레틱은 김하성이 연평균 2000만 달러, 총액 1억 달러 이상 계약을 따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더스코어닷컴이 꼽은 예비 FA 1순위는 뉴욕 양키스 외야수 후안 소토, 2위는 양키스 에이스 개릿 콜이었다. 북미 스포츠 구단 가치를 매년 꼽는 유력 경제지 포브스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입단한 이정후를 주목했다. 포브스는 2024년 빅리그에 진출하는 신인들(Baseball Rookies Ready To Stake Claims On 2024 Big-League Jobs)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올겨울, MLB 기록도 없는 선수들이 여러 명 6년 이상 장기 계약을 한 점, 몇몇 구단들이 리빌딩 기조를 보이며 공격적인 트레이드를 보여준 점도 언급했다.이어 잠재력을 인정 받은 선수 12명(실제로 13명)을 꼽았고, 이정후를 5번째로 소개했다. 포브스는 이정후가 KBO리그에서 5회 연속 골든글러브를 수상했으며, 최우수선수(2022년)까지 수상했던 선수라는 점, '바람의 손자'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것까지 두루 전했다. 이어 "샌프란시스코 외야진에 안정감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포브스는 가장 먼저 LA 다저스와 계약한 야마모토 요시노부를 소개했고, 현재 MLB 유망주 랭킹 1위 잭슨 홀리데이(볼티모어 오리올스 산하 트리플A) 밀워키 브루어스와 8년 8200만 달러에 계약한 잭슨 추리오, 지난 시즌 텍사스 레인저스의 월드시리즈 우승에 기여한 에반 카터 그리고 이정후를 상위 5명으로 소개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edaily.co.kr 2024.02.05 17:25
프로야구

[IS 포커스] '3번'까지는 OK…NC의 '선발 고민'

NC 다이노스의 갑진년 고민은 '선발'이다.지난해 정규시즌을 4위로 마친 NC는 가을야구에서 파란을 일으켰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5위 두산 베어스를 꺾은 뒤 준플레이오프(준PO)에선 3위 SSG 랜더스를 3전 전승으로 격파했다. 2위 KT 위즈를 만난 플레이오프(PO)에선 첫 2경기에 모두 승리, 2020년을 포함하면 포스트시즌(PS) 9연승으로 부문 역대 최다 타이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KT에 리버스 스윕으로 덜미가 잡혀 한국시리즈(KS) 문턱을 넘지 못했지만, 진한 여운을 남겼다.사령탑으로 두 번째 시즌을 앞둔 강인권 감독은 선발 로테이션을 생각하면 머리가 아프다. 변화 폭이 워낙 크기 때문이다. 우선 지난해 팀의 구심점 역할을 한 외국인 투수 에릭 페디(시카고 화이트삭스)가 미국으로 돌아갔다. 페디는 정규시즌 20승 6패 평균자책점 2.00을 기록했다. 다승과 평균자책점에 이어 탈삼진(209개)까지 1위에 올라 선동열(1986·89·90·91년) 류현진(2006년) 윤석민(2011년)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투수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다. 리그 최우수선수(MVP)와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까지 받은 에이스였다. 게다가 NC는 태너 털리(5승 2패 평균자책점 2.92)와도 재계약하지 않았다. 외국인 투수 두 자리가 공석이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토종 에이스 구창모도 잠시 팀과 이별했다. 구창모는 지난달 국군체육부대(상무)에 입대, 2025시즌 후반기에 돌아올 전망이다. 시즌 뒤 1~3선발 빠져나간 NC는 발 빠르게 움직였다. 외국인 투수로 다니엘 카스타노와 카일 하트를 연이어 영입한 것이다. 다른 구단이 외국인 선수 영입에 진땀 뺄 때 틈새시장을 공략, 선발 투수 두 명을 모두 왼손으로 채웠다. 2일 본지와 연락이 닿은 강인권 감독은 "2년 연속 외국인 선수를 모두 교체하는 바람에 여러 고민이 많다"고 운을 뗀 뒤 "외국인 투수 2명에 신민혁까지는 일단 (선발) 후보로 정해놓고 있다"고 밝혔다. 신민혁은 프로 5년 차 오른손 투수. 지난해 정규시즌 5승에 그쳤지만 'PS 히트상품'으로 우뚝 섰다. 특히 PO에선 2경기 등판, 1승 평균자책점 1.69(10과 3분의 2이닝 2실점)로 맹활약했다.관건은 4~5선발이다. 두 자리를 두고 4~5명의 선수가 경쟁한다. 강인권 감독은 "여러 선수에게 기회를 열어둬야 할 거 같다"며 "김시훈, 최성영 그리고 김영규까지 선발 후보군에 넣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시훈과 김영규가 전문 핵심 불펜이라는 걸 고려하면 의외일 수 있다. 그만큼 폭넓게 선수들을 체크 중이다. 강 감독은 "이재학과 신영우도 선발 후보"라고 덧붙였다. 다만 사이드암스로 송명기는 중간 계투가 유력하다. 강인권 감독은 "두 외국인 투수는 페디만큼의 강렬한 모습은 보이기 어렵겠지만 역할을 해줄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며 "2차 드래프트에서 영입한 김재열도 KIA 타이거즈에서 선발 수업을 받았다고 해서 직접 봐야 할 거 같다. (어떤 선수가 자리를 따낼 수 있을지) 스프링캠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4.01.04 06:24
메이저리그

[IS 포커스] 구멍 뚫린 SF 중원, 이정후 성공 키워드 '중견수'

공격만큼 중요한 건 수비다. 이정후(25·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메이저리그(MLB) 성공 키워드는 '중견수'다.16일(한국시간) 샌프란시스코에 공식 입단한 이정후의 내년 시즌 포지션은 중견수가 유력하다. 파르한 자이디 샌프란시스코 야구 운영 부문 사장은 입단식에서 "이정후를 주전 중견수로 기용하는 게 현재 계획"이라고 밝혔다. MLB 공식 홈페이지 MLB닷컴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는 유격수와 함께 중견수 포지션 강화가 오프시즌 최우선 목표였다.중견수는 샌프란시스코의 '약점 포지션'이다. MLB 기록 전문 사이트 팬그래프닷컴에 따르면 올 시즌 샌프란시스코의 중견수 DRS(Defensive Run Save)는 –7. MLB 전체 30개 팀 중 23위(1위 토론토 블루제이스·36)에 머물렀다. DRS는 수비로 얼마나 많은 실점을 막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0을 기준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수비력이 좋다는 의미다. 샌프란시스코의 중견수 고민은 스티븐 더거(30)가 팀을 떠난 뒤 가속했다. 2015년 샌프란시스코에 입단한 더거는 2021년 팀 내 가장 많은 66경기를 중견수로 선발 출전했다. 그해 샌프란시스코의 중견수 DRS는 리그 6위(8). 더거를 지난해 6월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한 샌프란시스코는 그의 자리를 우익수 마이크 야스트렘스키(33)에게 맡겼다.야스트렘스키는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칼 야스트렘스키의 손자로 운동 능력이 강점인 외야수다. 하지만 올 시즌 야스트렘스키가 우익수로 복귀, 신인 루이스 마토스(21)의 중견수 출전 횟수가 늘었다. 결과는 기대 이하였다. 마토스는 그라운드를 총 64개의 구역으로 나눠 타구마다 가중치를 매겨 산출하는 UZR(Ultimate Zone Rating)이 –5.5로 최악이었다. 40인 로스터 내 외야수 자원으로 베테랑 마이클 콘포토(30)와 미치 해니거(33)가 있지만, 두 선수 모두 타격에 특화된 자원. 마토스의 성장을 기다리기엔 시간이 부족했다. MLB 전문가인 송재우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은 "이정후와 야스트렘스키가 중견수와 우익수를 맡고 좌익수는 오스틴 슬레이터가 유력하다"며 "콘포토(왼손 타자)와 해니거(오른손 타자)를 외야수로 기용하면서 지명타자로 번갈아 쓸 거 같다"고 전망했다. 일발장타 능력을 갖춘 콘포토와 해니거는 트레이드 가능성도 거론된다. 향후 선수단 구성이 유동적인데 외야 포지션은 슬레이터-이정후-야스트렘스키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우중간이 깊은 홈구장 오라클파크의 특성을 고려하면 우익수 야스트렘스키와의 호흡이 중요하다. 송재우 위원은 "야스트렘스키는 발이 빠른 스타일이 아니다. 슬레이터도 마찬가지"라면서 "오라클파크는 우중간으로 타구가 빠지면 정말 발이 느린 선수가 아니라면 3루까지 뛴다. 중견수의 부담이 크다. 이정후의 역할이 그래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휘문고 시절 이정후의 주 포지션은 유격수였다. 2017년 1차 지명으로 넥센 히어로즈(현 키움)에 입단할 때도 아버지인 '바람의 아들' 이종범의 대를 이을 유격수로 기대가 컸다. 하지만 입단 직후 송구의 정확성이 떨어져 포지션을 외야수로 바꿨다. 주로 우익수를 맡았던 이정후는 2020년부터 중견수로 뛰었다. 수비 부담이 커졌지만 2018년부터 5년 연속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놓치지 않았다.샌프란시스코는 2016년 이후 포스트시즌 진출이 단 한 번에 그친다. 11년 연속 가을야구 문턱을 넘은 지구 라이벌 LA 다저스와 비교하면 차이가 컸다. 중견수 옵션으로 이정후를 선택한 자이디 사장은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더 완벽한 선수나 타깃은 없었다"고 기대를 내비쳤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3.12.18 06:01
프로야구

[IS 시선] 박찬호의 멋진 결단과 골든글러브 저조한 참석률

9명. 11열 열린 프로야구 골든글러브 시상식에 참석한 선수는 채 10명이 되지 않는다. 지난 2월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발표한 2023시즌 10개 구단 소속 선수는 신인과 외국인 선수 포함 총 589명. 골든글러브 시상식의 참석률은 전체 등록 선수 대비 1.5%에 불과하다. 시즌 뒤 고국으로 돌아가는 외국인 선수를 제외하더라도 시상식에 참석하는 선수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올 시즌 골든글러브 시상식은 유독 더 썰렁했다. 투수와 1루수 부문 수상자 에릭 페디(NC 다이노스)와 오스틴 딘(LG 트윈스)이 불참, 대리 수상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후보가 28명으로 가장 많았던 투수 부문은 페디뿐만 아니라 모든 선수가 불참했다. 포수 부문 시상자로 나선 '불사조' 박철순(전 OB 베어스)이 가장 인상적인 투수로 '베어스 후배' 곽빈(두산 베어스)을 꼽으며 "곽빈 투수 (현장에) 나오셨나요"라고 말하는 모습에선 공허한 메아리가 느껴지기도 했다.데뷔 첫 3루수 골든글러브를 차지한 노시환(한화 이글스)은 수상 소감 대부분을 최정(SSG 랜더스) 얘기로 채웠다. 최정은 3루수 골든글러브를 8회 수상한 대선배. 노시환은 "최정 선배님이 계셨기에 따라잡으려고 노력했다. 선배님을 넘기 위해 올 시즌 정말 열심히 달려왔다. 너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최정이 시상식에 참석했다면 노시환의 멘트와 함께 더 멋진 그림이 만들어지지 않았을까. KBO리그에 필요한 '스토리'를 만드는 데 선수들의 노력도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박찬호(KIA 타이거즈)의 결단은 박수받아 마땅하다. 유격수 부문 후보에 오른 박찬호는 수상이 불투명한 상태에서도 시상식 현장을 찾았다. 박찬호는 "2등의 품격을 위해서 왔다"며 "(수상이 유력한 오지환과) 끊임없이 (경쟁자로) 언급된 선수로서 자리를 빛내주면 어 좋은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120표(41.2%)를 획득한 박찬호는 154표(52.9%)를 얻은 오지환에게 밀렸다. 이날 부문별 2등 중 1위와 가장 근접한 차이였다.누구보다 속상하고 아쉬울 수 있지만 끝까지 시상식을 지키며 박수를 보냈다. 그런 박찬호를 지켜본 오지환은 "존경한다"고 화답했다. 최고 유격수 자리를 놓고 맞붙은 두 선수 사이에 '스토리'가 입혀졌다.골든글러브는 프로야구 연말 시상식의 피날레다. 선수들이 가장 받고 싶어 하는 상 중 하나다. 하지만 매년 참석률이 높지 않다. 한 구단 야구 관계자 "수상이 확실하지 않으면 선수들에게 참석을 권유하기 어렵다. 선수들도 민망해서 가기 꺼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자칫 '수상자의 잔치'로 전락하면 시상식의 의미와 권위가 떨어질 수 있다. 선수들이 두고두고 곱씹어야 할 대목이다. 올해 박찬호가 보낸 박수에 주목해야 한다.스포츠1팀 기자 2023.12.13 05:30
프로야구

[2023 GG] "2위 품격 지키기 위해" KIA 박찬호 "오지환과 언급만으로 기뻐"

“2등의 품격을 지키기 위해 왔습니다.”KIA 타이거즈 유격수 박찬호는 자신의 골든글러브 수상을 예상하지 않았다. 우승팀 LG 트윈스의 오지환이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기대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박찬호는 정장을 쫙 빼입고 시상식 현장에 나타났다. 박찬호는 “올 생각이 처음엔 없었지만, 2등의 품격을 지키기 위해 왔다”라며 환하게 웃었다. 박찬호는 올 시즌 130경기에서 타율 0.301, 136안타, 3홈런, 52타점, 30도루, OPS 0.734 등의 좋은 성적을 냈다. 2014년 데뷔 후 처음으로 3할 타율 이상의 성적을 거뒀고, 출루율도 처음으로 3할5푼(0.356)을 넘었다. 생애 첫 골든글러브 수상도 가능해 보였다. 하지만 오지환이라는 큰 벽이 나타났다. 오지환은 올 시즌 126경기에 출전, 타율 0.268, 113안타, 8홈런, 62타점, 출루율(0.371)과 장타율(0.396)을 합한 OPS 0.767을 기록했다. 박찬호와 비등한 개인 성적으로 팀 우승까지 차지하면서 유격수 골든글러브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투표 기간은 물론, 시상식 전까지 인터넷에선 두 선수의 유격수 골든글러브 수상 가능성을 두고 엄청난 갑론을박이 펼쳐졌다. 그러나 박찬호는 수상 욕심보단 오지환과 함께 언급되는 것만으로도 영광이라는 반응을 내비쳤다. 11일 골든글러브 시상식을 앞두고 만난 그는 “몇 달 내내 (오지환과) 함께 언급되지 않았나. 같이 언급되는 것만으로 너무 좋다”라면서 “그런 선수에 한 발 다가섰다는 느낌을 받는다. (함께 경쟁하는 것만으로) 너무 즐겁다”라고 전했다. 올 시즌 성적에 대해선 “부상이 아쉬웠다”라고 말했다. 박찬호는 시즌 막판 당한 손가락 부상으로 이탈하며 완주하지 못했다. 그는 “‘쟤는 어디 안 다치냐’ 할 정도로 안 다치는 게 내 장점이었는데, 타구가 잘 나오다 보니 다쳐버리더라. 그때 안 다쳤으면 ‘얼마나 더 좋은 성적을 냈을까’하는 생각에 아쉬웠다”라고 말했다. 2등의 품격을 지키기 위해 왔다는 골든글러브 시상식. 박찬호는 아직 골든글러브와 인연을 맺지 못했다. 그는 “사실 한 번쯤 구경 와보고 싶었다. 시상식의 분위기가 궁금했고, 언젠가는 수상자로 올 날을 생각하며 왔다”라고 전했다. 이어 박찬호는 “받을 거라는 생각은 전혀 안 한다. 그저 (오지환과) 함께 끊임없이 언급됐던 선수로 자리를 빛내주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왔다”라며 활짝 웃었다. 삼성동=윤승재 기자 2023.12.11 17:18
프로야구

[IS 피플] 99.4% 넘어설까…떠나는 페디의 화려한 피날레

KBO리그를 떠나는 외국인 투수 에릭 페디(30)가 화려한 피날레를 준비한다. 오는 11일 열리는 프로야구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역대 최고 득표율(99.4%)을 갈아치울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페디는 올 시즌 강력한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 후보다. 선동열(1986·89·90·91년) 류현진(2006년) 윤석민(2011년)에 이어 역대 네 번째 정규시즌 투수 트리플 크라운(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을 달성한 그는 개인 성적에서 경쟁자들을 압도한다. 앞서 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선수들이 그해 모두 골든글러브를 받았다는 점도 페디의 수상을 유력하게 점치는 요인이다. 관심이 쏠리는 건 득표율이다. 페디는 지난달 27일 열린 정규시즌 시상식에서 91.9%의 높은 득표율로 최우수선수(MVP) 트로피를 차지했다. 유효표 111표 중 102표를 획득, 노시환(한화 이글스·6표) 홍창기(LG 트윈스·2표) 최정(SSG·1표) 등을 크게 앞섰다.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도 90% 이상의 득표율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가운데 내친김에 최고 득표율을 갈아치을 수 있을지 흥미롭다.1983년부터 시작된 골든글러브 투표(1984년 지명타자 부문 신설)에서 역대 최고 득표율을 기록한 건 2020년 포수 양의지(두산 베어스)다. 양의지는 그해 342표 중 340표를 획득, 득표율 99.4%로 2002년 삼성 라이온즈 마해영이 작성한 99.3%(272표 중 270표)를 18년 만에 경신했다. 마해영 이전 기록은 1991년 빙그레 이글스 이정훈의 99.2%(126표 중 125표)였다. 28명의 투수가 후보인 올해 골든글러브의 유효표는 291표. 99.4%를 넘어서려면 290표 이상을 받아야 한다. 쉽지 않은 조건이지만 한 구단 관계자는 "페디의 성적만 보면 사실 만장일치도 가능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관건은 표심이다. 골든글러브는 올 시즌 KBO리그를 담당한 취재기자와 사진기자, 중계방송사 PD, 아나운서, 해설위원 등 미디어 관계자들이 투표한다. 워낙 투표인단이 많고 무기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매년 장난식의 이탈 표가 나온다. 아무리 성적이 뛰어나도 시스템상 만장일치가 어려운 이유다.최고 득표율이 아니더라도 페디의 수상 여부는 큰 의미다. 페디는 KBO 시상식에서 신설된 수비상과 MVP 포함 5관왕에 올랐다. 골든글러브까지 품에 안으면 그야말로 '최고 선수'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다. 6일(한국시간) 미국 메이저리그(MLB) 복귀 소식이 전해진 페디는 KBO 시상식과 달리 골든글러브 시상식은 불참한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3.12.09 09:01
프로야구

[일구상] '레전드' 선배에 다시 전한 '사인 배트' 약속, 그 무게도 달라졌다

"이대호(41) 선배님께 제 사인 배트를 선물로 드리겠습니다."당돌하다. 하지만 이젠 더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있다. 후배 노시환(23·한화 이글스) 역시 선배처럼 홈런왕과 타점왕에 올랐고, 국가대표 4번 타자가 됐기 때문이다.노시환은 8일 오전 서울 리베라호텔 베르사이유홀에서 열린 '2023 뉴트리디데이 일구상' 최고 타자상을 거머쥐었다. 일구상은 프로야구 은퇴선수 모임인 사단법인 일구회에서 주최하는 야구 시상식이다.노시환은 이번 시즌 131경기에 출전해 타율 0.298 31홈런 101타점, 장타율 0.541 OPS 0.929의 성적을 거뒀다. 홈런과 타점은 리그 1위로 유일하게 30홈런 100타점을 달성했고, 장타율과 OPS는 라이벌이자 대선배 최정(SSG 랜더스)에 이은 2위에 올랐다.국가대표로도 맹활약했다. 지난 9월과 10월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그리고 11월 열린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에서 모두 4번 타자를 맡아 타율 0.412의 맹타를 휘둘렀다. 세대 교체를 표방한 한국 야구대표팀이 올해 거둔 가장 큰 성과였다.노시환은 "과분한 상을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올 시즌 홈런왕 욕심은 없었다. 그저 장타를 많이 치고 싶었다. 노력한 게 결실을 맺은 것 같다. 야구 인생에서 기억에 남는 시즌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2019년 프로에 입단한 노시환은 그동안 많은 선배들의 응원과 기대를 받아왔다. 팀에서는 4번 타자 계보를 김태균이 물려줬고, 경남고 선배 이대호의 꾸준한 응원이 있었다. 올 시즌에는 홈런왕을 두고 경쟁했던 최정이 덕담과 응원을 전했다.특히 지난해 은퇴한 이대호와의 은연이 결코 얕지 않다. 노시환은 지난해 정규시즌 미디어데이에서 "이대호 선배님의 은퇴 투어 때 제 사인 배트를 선물로 드리겠다"고 공약했다. 아직 프로에서 큰 활약을 남기지 못했던 후배의 당돌한 약속이었다. 그는 실제로 그해 9월 20일 대전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열린 이대호 은퇴 투어 때 배트를 선물했다. 이대호는 "너무 소중한 선물이다. 시환이는 우리 팀 한동희와 함께 앞으로 우리나라 야구를 짊어져야 할 선수다. 더 큰 선수가 되기 전에 받아둬서 좋다"며 "그런데 필체 연습은 더 해야겠다. 사인을 좀 더 많이 하라"고 웃었다. 이대호의 예감이 맞았다. 노시환은 불과 1년 만에 그 말대로 더 큰 선수가 됐다. 명실상부한 올 시즌 리그 최고 타자였다. 최우수선수(MVP) 수상은 에릭 페디(NC 다이노스)에 내줬으나 모두가 인정할 '2위'였다. 각종 시상식에서 최고 타자상이나 대상을 휩쓸었고, 오는 11일 열릴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도 3루수 부문 수상이 유력하게 점쳐진다.노시환은 8일 일구회 시상식에서도 다시 이대호와 만났다. 이대호는 이날 일구대상을 수상한 JTBC 최강야구의 출연진 겸 시상자로서 참가해 시상대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후배를 축하했다. 노시환은 "시상식을 다니면서 인터뷰를 통해 선배님께 감사 인사를 전했지만, 아직 직접 뵙질 못해왔다"며 감사 답례를 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대호의 조언으로 배트 무게를 860g에서 900g으로 높였다며 "선배님께 좋은 선물을 하나 드리겠다. 제 사인 배트를 선물로 하겠다"고 웃었다.청담=차승윤 기자 chasy99@edaily.co.kr 2023.12.08 14:33
프로야구

KBO리그 휩쓴 페디, 결국 NC 떠난다···MLB 화이트삭스와 2년 197억원 계약

올 시즌 KBO리그를 휩쓴 에릭 페디(30)가 예상대로 미국 메이저리그(MLB)에 복귀한다. 미국 스포츠전문채널 ESPN의 제프 파산 기자는 6일(한국시간)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오른손 투수 에릭 페디가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2년 1500만 달러(약 197억 원)의 조건에 계약했다"라고 전했다. 2022년 MLB 워싱턴 내셔널스에서 활약한 페디는 KBO리그 활약을 발판 삼아 2년 만에 빅리그로 돌아가게 됐다. 페디는 올 시즌 30경기에 등판해 20승 6패 평균자책점 2.00, 탈삼진 209개를 올렸다. 다승, 탈삼진, 평균자책점을 석권하며 선동열(1986·89·90·91년) 류현진(2006년) 윤석민(2011년)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투수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다. 1986년 해태 선동열(24승·탈삼진 214개) 이후 37년 만이자 역대 다섯 번째 '시즌 20승·200탈삼진'을 동시에 기록하기도 했다.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와 수비상(투수 부문)까지 수상했고, 골든글러브(투수) 수상도 유력하다. NC는 당연히 페디를 재계약 대상자로 분류했다. 관건은 페디의 몸값과 높은 인기였다. 페디는 올해 활약을 바탕으로 MLB는 물론 일본프로야구(NPB)의 뜨거운 러브콜을 받았다. 그는 정규시즌 MVP 시상식에 참석해 'NC와의 재계약 가능성이 있나'라는 질문에 "of course(물론)"라고 답했다. NC는 페디를 붙잡고자 구단 역대 최고 수준의 계약을 제시했다. 단년 계약이 아닌 다년 계약 카드까지 꺼냈다. 페디가 NC와 재계약 가능성을 열어놓았지만, NC 구단은 선수 의지와 머니 싸움에서 승산 가능성을 낮게 점쳤다. 결국 페디는 빅리그 복귀를 선택했다. NC가 2년 197억원의 계약을 제시할 순 없었다. 페디는 MLB 6년 통산 21승 33패 평균자책점 5.41을 기록했다. 2021~2022년에는 워싱턴 내셔널스의 선발 투수로 뛰었다. 파산 기자는 "페디는 올 시즌 KBO리그 NC 다이노스에서 20승 6패 평균자책점 2.00으로 활약했다. 페디는 올해 KBO 정규시즌 MVP였다"라고 페디의 이력을 간략하게 소개했다. 페디는 한국 무대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뒤 빅리그로 금의환향했다. 이형석 기자 2023.12.06 09:16
프로야구

골든글러브 역사에 도전한다

KBO리그 한 시즌 대미를 장식하는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역사에 도전하는 이들이 있다. 두산 베어스 양의지는 지난 29일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발표한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후보에 포함됐다. 양의지가 올해 개인 9번째 골든글러브를 차지하면 이승엽(10회, 두산 베어스 감독)에 이어 역대 최다 수상 단독 2위로 올라설 수 있다. 또한 그는 김동수(7회)를 밀어내고 포수 골든글러브 최다 8회 수상까지 기록하게 된다. 양의지는 2021년 지명타자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나머지 7회는 포수 부문에서 차지했다. 양의지는 포수 후보 중 유일하게 올 시즌 3할대 타율(0.305)을 기록했고, 장타율도 0.474(17홈런)로 가장 높다. 올해 신설된 수비상에서 포수 부문 초대 수상자였던 양의지는 도루저지율(0.378) 역시 압도적으로 높다. 양의지의 경쟁자는 LG 트윈스의 우승 포수 박동원(타율 0.249 20홈런 75타점), 골든글러브 통산 6회 수상자 삼성 라이온즈 강민호(타율 0.290 16홈런 77타점) 등이다. 수상이 확실시 되는 에릭 페디(NC 다이노스)는 득표율이 관심이다. 다승(20승 6패), 탈삼진(209개), 평균자책점(2.00)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한 그는 정규시즌 MVP(최우수선수)를 차지한 터라 골든글러브 수상도 유력하다. MVP 득표율은 91.9%로 역대 외국인 선수 MVP 8명 중 가장 높았다. 골든글러브 역대 최고 득표율은 2020년 양의지가 기록한 99.4%(342표 중 340)로, 페다가 이를 넘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오스틴 딘은 LG 외국인 선수 최초로 골든글러브 수상에 도전한다. 또한 LG 1루수로는 1994년 서용빈 이후 29년 만의 도전이다. LG는 역대 1루수 골든글러브를 딱 두 번 배출했는데,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1990년(김상훈)과 서용빈이었다.올해 1루수 후보는 오스틴 딘을 포함해 박병호(KT 위즈) 양석환(두산) 등 3명뿐이다. 오스틴 딘은 후보 중에 타율(0.313)-홈런(23개)-타점(95개)-출루율(0.376)-장타율(0.517) 등 타격 부문 성적이 가장 좋다. 노시환은 개인 첫 황금장갑과 함께 한화 3수루로는 17년 만의 수상에 도전한다. 한화 3루수의 골든글러브 수상은 2006년 이범호가 마지막이다. 노시환은 올해 리그 홈런(31개)-타점왕(31개)을 차지했다. 통산 8차례 골든글러브를 품에 안은 장타율 1위(0.548) 최정이 가장 강력한 경쟁자다. SSG 기예르모 에레디아 역시 오스틴 딘과 마찬가지로 소속 구단 외국인 선수로는 최초의 골든글러브 수상에 도전한다. 에레디아는 타율 5위(0.323) 장타율(0.461)과 출루율(0.385) 각각 11위를 기록했다. LG 홍창기, 삼성 구자욱, NC 박건우 등과 경쟁할 거로 보인다. 수상자는 11일 열리는 시상식에서 발표된다. 이형석 기자 2023.12.03 12:0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