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IS 인터뷰] ‘제주 9년 차’ 정운의 반성…“어느 순간 매너리즘, 무조건‘우승’보며 뛰겠다”
프로축구 제주 유나이티드의 베테랑 수비수 정운(34)의 시선은 ‘우승’이라는 명확한 목표로 향한다. 어느덧 제주 ‘9년 차’를 앞둔 그는, 어느 순간 매너리즘에 빠졌던 과거를 반성하며 “올해 목표는 무조건 우승”이라고 힘줘 말했다.정운은 지난 2012년 울산 현대(현 울산 HD)에 입단, 처음으로 K리그 무대를 밟았으나 출전 기록 없이 팀을 떠났다. 이후 동유럽으로 향해 NK 이스트라·RNK 스플리트(이상 크로아티아)에서 자신의 이름을 알린 뒤, 2016년 제주에 입단하며 다시 K리그 무대를 밟았다. 2년간의 복무기간을 포함하면, 어느덧 제주 9년 차 시즌을 앞둔 셈이다.정운은 이 기간 제주의 전성기와 추락을 모두 경험한 선수 중 하나다. 정운이 입단한 이래, 제주는 준우승은 물론 2년 연속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 무대를 밟는 등 승강제 도입(2013년) 이래 전성기를 달렸다. 정운이 복무로 자리를 비운 사이, 제주는 2019년 강등의 아픔을 맛봤지만 1년 만에 승격했다. 시즌 중 전역한 정운 역시 팀의 승격에 힘을 보탰다.이후 2년 연속 파이널 A에 진출한 제주는 지난해 9위라는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한때 2위에 오르기도 했지만, 주전 선수들의 이적·입대·부상이 겹치며 끝 모를 추락을 거듭했다. 대한축구협회(FA)컵에서도 4강에서 탈락해 문턱을 넘지 못했다. 제주는 4년 넘게 팀을 이끈 남기일 전 감독과 결별하고, 김학범 전 올림픽 대표팀 감독에게 지휘봉을 맡기며 쇄신에 나섰다.
최근 서귀포시 제주 클럽하우스에서 본지와 만나 지난 시즌을 돌아본 정운은 “여름에 굉장히 고전했다. 제주에서 오래 뛰었지만, 매번 적응하기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라고 털어놨다. 이어 “김학범 감독님이 오신 뒤 강도 높은 훈련을 소화하고 있다. 여름에도 큰 효과가 있길 기대하고 있다”라고 바랐다.제주의 9번째 시즌을 앞둔 정운은 팀 내 리그 최다 출장자까지 넘볼 수 있다. 그는 승강제 도입 이래 제주에서만 리그 190경기를 뛰었다. 그의 위로는 이창민(거제시민축구단·204경기) 오반석(인천 유나이티드·198경기), 오승범(은퇴·197경기) FC서울 코치뿐이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주관 대회 기록으로도 전체 11위. 말 그대로 제주의 원클럽맨이나 다름없다.정운은 이 기록에 대해 큰 자부심을 느낀다. 그는 “매 시즌 30경기를 뛰지 않았나. 제주라는 팀에서 이를 유지했다는 점에 더 의미가 있다. 나는 제주에서 명예롭게 은퇴하는 선배들을 많이 보지 못했다. 대부분 말년에 다른 팀에서 은퇴식을 하더라”면서 “내가 잘해서, ‘제주에서도 이렇게 명예롭게 은퇴할 수 있구나’라는 본보기가 되고 싶다. 내가 잘해서 이 제주라는 좋은 팀에 도움이 되고 싶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향후 지도자 생활을 염두에 둔 정운은 이미 관련 교육을 받으며 제2의 인생도 그린다. 그에게 ‘지도자를 생각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는지’에 대해 묻자, 정운은 “K리그 선수 중엔 나이가 많은 편이지 않나. 그동안 지도자들을 접하면서 ‘나도 이런 감독, 코치가 되고 싶다’라고 많이 느꼈다”라고 돌아봤다. 이어 “사실 선수 생활만 하다보니 힘든 걸 아니까 아예 다른 일을 생각한 적도 있다. 하지만 힘들다가도 축구를 보면 재미 있더라. 요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브라이턴 앤 호브 알비온 등의 축구를 보면 새로운 열정이 생긴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지난 시즌 아픔을 맛본 정운의 새 목표는 무엇일까. 그는 “사실 팀이 상위권에 있고, ACL도 계속 나가니 이런 패턴에만 너무 익숙했던 것 같다. 목표 없이 동기부여가 떨어졌다”라고 반성했다. 이어 “매너리즘에 빠지니 단순히 열심히만 한 것 같다. 어느 순간 한 선수가 그러더라. ‘나는 우승을 원한다’라고. 사실 그게 정답이다. 쉬는 기간 ‘앞으로 내가 제주에 있는 기간 목표는 무조건 우승’이라고 다짐했다. 힘들거나, 이런 변명은 필요 없다. 우승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세우니 계획이 하나씩 채워졌다”고 강조했다.김우중 기자
2024.01.18 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