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엔데믹' 진입 셀트리온도 결국 흡입형 코로나 치료제 개발 중단

셀트리온도 개발 중이던 코로나19 흡입형 치료제 개발을 중단했다. 셀트리온은 28일 코로나19 흡입형 항체치료제 임상 3상 중단을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를 내는 'CT-P63'을 추가한 '흡입형 칵테일 항체치료제'의 임상 3상을 승인받은 바 있다. 그러나 셀트리온은 최근 임상 환경이 까다로워지면서 이들 코로나19 치료제의 사업 타당성이 미미하다고 판단해 임상 중단을 결정했다. 각국 규제기관들은 코로나19 치료제 심사에 '패스트트랙' 절차를 적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가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단계에 접어들 조짐이 나타남에 따라 패스트트랙 적용을 줄이려고 하고 있다. 앞서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던 종근당과 대웅제약 등이 임상을 중단하는 등 제약사들은 그간 목을 맸던 ‘코로나 치료제 프레임’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셀트리온은 광범위한 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코로나19 치료제 연구를 지속하고 향후 팬데믹(대유행)에 대비할 수 있는 mRNA 백신과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개발 플랫폼은 계속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엔데믹 전환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셀트리온은 국제적 환경변화를 주시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방향을 재정비하고, 현재 임상 및 허가를 앞두고 있는 다양한 파이프라인의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이날 셀트리온헬스케어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 비소세포폐암·전이성 직결장암 치료제 베그젤마(CT-P16, 이하 베그젤마) 등 약 1756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을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앞서 5월 약 1600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에 이어 2분기 진행된 두 번째 대규모 공급계약이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항체 바이오시밀러 수요와 최근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판매승인 권고를 받은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의 신속한 글로벌 공급에 대처하기 위한 물량이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06.28 11:41
경제

호주 모리슨 총리 "전 국민 코로나 백신 무료 접종"

호주가 전 국민에게 코로나19 백신 무료 접종을 약속했다. AFP통신은 19일(한국시간) 호주가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백신 중 하나다. 이 계약으로 모든 호주 사람이 조기 접종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백신이 성공하면 2500만 호주인에게 무료로 접종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호주 정부는 아직까지 백신 가격에 대해서는 최종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옥스퍼드대 연구팀과 함께 글러벌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호주는 코로나19 확진자가 2만4000명이며 사망자 438명이 발생했다. 하루 신규 확진자는 300명 아래로 떨어진 상황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8.19 09:33
경제

모더나 백신 가격 1회 32~37달러, 화이자보다 1.5배 이상 비싸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미국 제약사 모더나가 화이자보다 1.5배 이상 높은 백신 가격을 책정했다. 스테파네 방셀 모더나 CEO는 5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콘퍼런스콜에서 백신 가격을 “시장가치보다 훨씬 싸게 책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백신 1회 투여분은 32∼37달러(약 3만8000∼4만4000원)의 가격으로 형성될 전망이다. 미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 중인 백신(1회 투여분 19.50달러)보다 비싼 것이다. 방셀 CEO는 "우리는 지불 능력에 관계없이 누구나 백신을 접할 수 있도록 세계 각국 정부 등과 협력하고 있다"며 "이 바이러스는 그냥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사람들에게 백신을 접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백신을 2회 접종해야 항체가 충분히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모더나 백신의 실제 가격은 64∼74달러(약 7만6000∼8만8000원)에 해당한다고 보도했다. 모더나는 또 여러 국가와 백신 공급계약 논의를 시작했고, 지난달 31일 현재 벌써 4억 달러(약 4752억원)의 보증금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2분기 실적을 보면 모더나 매출은 6640만달러(약 789억원)로 지난해 2분기보다 5배 급증했다. 2분기 손실은 1억1670만 달러(약 1386억원)였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8.06 10:5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