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일반

[IS시선] ‘한국=파트너’라는 넷플릭스, 계정 공유·파오차이엔 입 꾹

좋을 때는 친구고 나쁜 이슈에선 침묵하는 게 넷플릭스의 파트너십일까.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 경영자(CEO)가 한국을 찾아 지난 22일 K콘텐츠의 힘과 영향력, 앞으로의 협력 관계에 관해 한껏 강조하고 갔지만 어쩐지 뒷맛이 씁쓸하다. 그는 수년간 3조원을 K콘텐츠에 투자하겠다며 자랑했지만 정작 재주는 한국제작사가 부리고 돈은 넷플릭스가 먹는 현실과 망사용료, 계정 공유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최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넷플릭스가 서비스하는 콘텐츠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한 자막이 등장했다며 넷플릭스 측에 시정을 요구했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성 지역 채소 절임 음식으로 일부 중국인들은 김치의 원조가 파오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개정하면서 김치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를 ‘파오차이’가 아닌 ‘신치’(辛奇)로 명시했다.넷플릭스 측의 입장은 “서 교수가 보냈다는 메일을 내부에서 수신했는지, 어떤 콘텐츠로 문의를 한 것인지 등을 확인하고 있다”는 것. 그 외에 내용이 확인되면 어떻게 조치하겠다거나 재발 방지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겠다는 등의 언급은 없었다. 넷플릭스 측은 앞서 지난 2021년에도 오리지널 시트콤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자막을 삽입해 논란이 된 바 있다.뿐만 아니라 한국 드라마 ‘시지프스’를 서비스하면서도 적절하지 못한 자막을 썼다. 한 캐릭터가 “동해바다, 서해바다 할 때 서해?”라고 말하는데, 이 대사를 “중국에 뿌리를 둔 이름, 맞죠?”(Un nom à racines chinoises, non?)라고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이다.이 같은 일이 콘텐츠 기업에서 발생했다는 것은 더욱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콘텐츠는 곧 문화이고, 어떤 콘텐츠를 세계 각국에 소개한다는 건 곧 그 나라의 문화를 전달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전 세계 192개국에 특정 국가의 작품을 공개할 때는 최대한 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하고 훼손하지 않는 방향이어야 할 것이다. 논란 이후에도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물론 재발 방지 약속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넷플릭스의 태도는 한국을 그저 효율성 좋은 콘텐츠 제조국 정도로 여기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하게 만든다. 계정 공유 문제 역시 마찬가지다. 테드 서랜도스 CEO는 22일 진행된 내한 간담회에서 최근 뜨거운 화두로 떠오른 ‘새로운 계정 공유 방식’에 관한 질문이 나오자 “이 부분에 대해 현재 알릴 건 없다”고 답했다. 다만 “넷플릭스 계정 공유 방식은 글로벌하게 지속되는 일”이라는 표현에서 한국에서도 곧 계정공유 금지가 시작되리라는 것은 짐작할 수 있었다.넷플릭스는 지난해 가족 외 공유 계정에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공식 발표했다. 기존에는 한 명이 결제하면 최대 네 명까지 그 계정을 공유할 수 있었으나 구독자 감소, 실적 악화 등을 겪으며 가족이 아닌 타인과 계정을 공유하는 걸 금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한 서랜도스 CEO의 침묵은 넷플릭스를 즐기는 국내 구독자들에게 ‘언제 계정공유가 금지될지 모른다’는 불안감만 안겼다. 한국 콘텐츠는 좋아하지만 한국에 최선의 예는 다하지 않는 것 같은 넷플릭스를 한국에서 단물만 빼먹으려는 것으로 보는 건 너무한 생각일까.정진영 기자 afreeca@edaily.co.kr 2023.06.25 10:00
경제

불매운동 2년…일본차, 미국차보다 안 팔려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로 번진 일본제품 불매 운동이 장기화하면서 일본차의 한국시장 점유율이 6%대로 추락했다. 빈자리는 미국차가 꿰찼다. 지난달 30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렉서스와 토요타, 혼다 등 일본차 3사 브랜드의 합산 판매량은 2035대로 집계됐다. 브랜드별로는 렉서스 1008대, 토요타 626대, 혼다 402대가 팔렸다. 올해 국내에서 팔린 일본차는 7702대로, 전체 수입차 시장의 점유율은 6.3%에 불과하다. 한때 35% 수준의 점유율을 자랑하던 과거와 확연히 비교된다. 수년간 한국시장에서 수입차 점유율 2위 자리를 지키던 일본차의 하락세 요인은 지난 2019년 8월 한국을 상대로 일본 정부가 단행한 반도체 소재 수출 제한 조치가 꼽힌다. 이후 국내에서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 확산하면서 일본차 판매가 매달 급감했다. 렉서스의 경우 2019년 7월 1302대에 달하던 국내 판매량이 8월 982대, 9월 603대로 떨어졌다. 토요타의 판매량도 7월 1384대에서 9월 542대로 크게 줄었다. 혼다 역시 801대에서 138대로 6분의 1수준으로 판매량이 떨어졌다. 닛산과 인피니티의 성적표는 더욱 처참했다. 닛산의 경우 같은 해 7월 284대에서 9월 58대로, 인피니티는 175대에서 57대로 판매량이 두 자릿수까지 떨어졌다. 결국 닛산과 인피니티는 지난해 5월 한국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일본차가 수입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7.36%에서 2019년 14.98%, 2020년 7.48%로 반 토막 가까이 줄었다. 지난 2008년 점유율이 35.54%에 달하던 것과 비교하면 처참한 수준이다. 일본차의 빈자리는 지프, 쉐보레 등 미국차가 차지했다. 지난 5월 총 2796대가 팔려 일본차를 여유롭게 제쳤다. 올해(1~5월) 누적 판매량 역시 1만4039대로 일본차를 압도했다. 여기에 한국수입차협회 집계에 빠진 미국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의 판매량을 더하면 격차는 더욱 커진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해 6769대를 팔았다. 일본차 전체 판매량과 불과 1000대 정도 차이다. 문제는 불매운동 2년 차에 접어드는 올 하반기에도 일본차의 전망이 어둡다는 데 있다. 한일 관계가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렇다 할 신차도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토요타와 렉서스, 혼다는 올해 상반기 앞다퉈 하이브리드 신차를 쏟아내며 분위기 반전을 노렸지만, 간신히 월 판매량 2000대를 넘기는 데 만족해야 했다"며 "하반기 시장을 주도할 신차가 없고 한·일 관계 역시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아 일본차의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7.01 07:00
경제

제이크 아우만 FCA코리아 사장 "내년 지프 80주년…기념비적인 해 만들 것"

지프 브랜드를 판매하는 피아트클라이슬러(FCA)코리아에게 올해는 악몽과도 같다. 9년간 회사를 이끌던 파블로 로쏘 전 사장이 지난 7월 사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성희롱 및 폭행 의혹 제기돼 갑작스럽게 회사를 떠났다. 설상가상 코로나19 여파로 재고가 부족해 올해 1만대 이상 판매하는 것도 사실상 어려워졌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판매량은 6819대로 전년 동기(8455대) 대비 19.3%나 감소했다. 연간 1만대 판매는 수입차 업체들이 한국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여겨지는 척도로 통한다. FCA 코리아는 지난해 한국 진출 27년 만에 1만대 클럽에 처음으로 가입했다. 하지만 1년 만에 낙오한 셈이다. 대내외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지난 8월 중순 제이크 아우만 신임 사장이 취임했다. 어느덧 한국에 온 지도 석 달. 아우만 사장은 지난 18일 취임 후 첫 언론 인터뷰에서 "지프 브랜드의 80주년을 맞는 내년은 최고의 한 해가 될 것"이라며 "1만대 클럽 재진입도 노리겠다"고 자신했다. 또 존중과 포용에 기반을 둔 기업 문화 조성을 취임 후 과제로 꼽으며 "딜러와 고객, 직원 등 관계자 모두를 존중하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인터뷰는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 서울 강남 파이낸스센터 사무실에 접속한 아우만 사장과 화상으로 진행됐다. -부임한 지 3개월이 흘렀다. 한국 시장을 어떻게 파악했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취임 전 중국에서 2년, 그리고 7년간 아시아를 담당했다. 특히 5년간은 한국팀과 많이 협력했다. 중국이나 미국에서 주효하게 작용했던 전략이 한국에서는 주효하지 않을 수 있다. 시장이 전혀 다를 수 있다는 의미다. 가장 중요한 건 한국에서만 즐길 수 있는 지프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가수 비와의 파트너십이 상당히 성공적이었다고 본다. 단순히 유명인과의 협업이 아니라 실제 브랜드를 사랑하는 소유주와의 파트너십이었다. 이런 기회를 많이 만들어갈 예정이다" -최근 2~3년간 소비층에 변화가 있나. "소비력이 있는 젊은 층이 늘고 있다. 지프 브랜드를 자신의 일부 혹은 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한다. 이들은 아웃도어에서 시간을 보내고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한다. 지프를 통해 모험과 자유를 즐길 수 있는 세대이다. 주목할 만한 건 세계적으로 지난 수년간 지프의 여성 소비자 증가했다는 점이다. 여성 결정권 높아지면서 여성 소비자 증가하고 있다. 연령대는 낮아지고 여성 오너가 늘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도 올해 판매량이 예년만 못하다. "올해는 만족스럽지 못한 성과를 냈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재고가 부족한 영향이 컸다. 하지만 내년은 달라질 것이다. 지프 브랜드가 80주년을 맞는다. 한정판 에디션 등의 출시가 예정돼 있다. 지프의 첫 전동화 모델도 선보일 계획이다. 내년 1만대 클럽 재진입은 물론 기념비적인 한 해를 만들겠다." -전동화 모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준다면. "FCA는 다양한 전기차 개발 계획을 수년 내에 갖고 있다. 한국시장은 전기차 보급률이 2% 정도인데, 향후 2~3년 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우선 내년 지프 랭글러 '4xe'를 한국에 출시한다. 4xe는 랭글러 라인업 최초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모델이다. 앞으로 지프 브랜드의 전동화 전략은 랭글러를 시작으로 레니게이드와 체로키, 컴패스 등 라인업 전체로 확대될 것이다." -지프 외에 다른 브랜드의 도입 계획은. "피아트와 크라이슬러 등 브랜드가 있지만 당분간 지프에 주력할 것이다. 지프에 집중해서 더 좋은 제품으로 고객들에게 더욱 다가가는 것이 우선 목표다. 향후 소비자 요구가 있다면 도입할 수 있다. 알파로메오 역시 한국 니즈가 있었지만, 나중에 검토할 예정이다." -전임 사장이 불명예 퇴진했다. 사내 분위기는 어떤가. "부임하기 전 FCA코리아의 기업문화에 적합하지 않은 사건이 있었다. 하지만 현재 직원들은 사기로 가득 차 있다. 고객과 딜러들을 위한다는 공통의 목표에 집중하고 있고, 항상 개방된 자세로 소통하고 있다. 지난 9월 출시한 '글래디에이터'의 성공은 직원들의 사기충천에 큰 역활을 했다. 글래디에이터는 초도 물량 300대가 2주 만에 완판됐다. 이후 200대의 추가 물량 또한 계약이 완료됐다. 지금도 계속해서 고객들에게 글래디에이터가 얼마나 만족스러운지에 대한 소식을 받고 있다. 이런 성공 사례를 통해 직원들의 사기가 올라갔다." -기업문화 개선 방안은. "내가 FCA 코리아의 문화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은 누구나 지위고하에 불문하고 공평하게 동등한 인간으로서 존중받는 것이다. FCA코리아 내부에 존중과 포용성을 기반으로 한 기업문화를 만들겠다. 임직원뿐만 아니라 모든 딜러사 관계자, 고객들에게도 늘 개방적이고 존중하는 자세로 임하겠다." -수입차의 고질병인 서비스센터 개선 방안은. "서비스센터는 현재 16곳을 운영 중이다. 올해 말과 내년에 추가할 예정이다. 대기 시간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서비스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이다. 지역을 가리지 않고 서울과 부산, 제주 소비자가 모두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축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 생활은 어떤가. 타고 다니는 모델은. "9월 초 한국에 왔다. 2주 동안 가족과 함께 격리됐다. 그 기간 한국 정부에서 정말로 잘 보살펴줬다. 유일한 어려움이 있었다면 협소한 47㎡의 공간에 격리돼 시간을 보내는 것이었다. 최근 아침에 일어나서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고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고 그랜드 체로키를 타고 출근한다. 주말에는 골프 치는 것을 좋아한다. 한국에 와서는 업무가 바쁘고 적응하느라 아직 기회가 없었다. 한국의 골프 코스를 경험할 날이 오기를 기대하고 있다. 아직 많은 한국 음식을 접해보지는 못했지만, 한우 스테이크를 좋아하고 김치에도 익숙해지고 차차 좋아지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 문화에 좀 더 적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11.30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