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60건
LPGA

황유민 LPGA 롯데 챔피언십 단독 1위, 대회 18홀 최저타 타이...윤이나 8위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활약하는 황유민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롯데 챔피언십(총상금 300만달러)에서 선두로 올라섰다. 황유민은 3일(한국시간) 미국 하와이주 오아후섬 에바비치의 호아칼레이 컨트리클럽(파72·6566야드)에서 열린 롯데 챔피언십 2라운드에서 이글 1개와 버디 9개, 보기 1개로 10언더파 62타를 쳤다. 전날 1라운드에서 5언더파 67타(공동 8위)를 쳤던 황유민은 중간 합계 15언더파 129타를 기록해, 단독 선두로 올라섰다. 공동 2위 이와이 아키에(일본), 제시카 포어바스닉(미국·이상 12언더파 132타)과는 3타 차다. 2023년 KLPGA 투어에 데뷔한 황유민은 통산 2승을 거둔 장타자다. 내년 LPGA 투어에 진출 계획이 있는 황유민은 이번 연말 퀄리파잉 시리즈에 응시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메인 스폰서가 주최하는 이번 대회에서 초청 선수로 출전해 선두로 나서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황유민은 이날 1번 홀(파5)부터 이글로 기세를 올리더니 2번 홀(파4)에 버디를 잡았다. 4번 홀(파3)에서 이날 유일하게 보기를 범했지만, 이후에만 버디를 8개를 따냈다. 이날 황유민의 스코어인 10언더파 62타는 롯데 챔피언십 대회 18홀 최저타 타이기록이다. 올해 LPGA 투어에 데뷔한 윤이나는 윤이나는 이날 7타를 줄여 세계랭킹 2위 넬리 코르다(미국) 등과 공동 8위(8언더파 136타)로 도약했다. 이번 대회에서 LPGA 진출 후 처음으로 톱10 진입을 노린다. 2022년 이 대회 우승자인 김효주는 양희영, 이정은과 공동 15위(7언더파 137타)에 자리했다. 디펜딩 챔피언 김아림은 전인지·이일희 등과 공동 30위(4언더파 130타)다.박성현과 이소미는 공동 40위(3언더파 141타), 안나린은 공동 52위(2언더파 142타), 최혜진은 공동 62위(1언더파 143타)로 컷을 통과했다.이형석 기자 2025.10.03 17:07
LPGA

이소미, LPGA 투어 아칸소 챔피언십 첫날 선두와 1타 차 3위

이소미(신한금융그룹)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월마트 NW 아칸소 챔피언십(총상금 300만 달러) 첫날 선두권에 올랐다.이소미는 20일(한국시간) 미국 아칸소주 로저스의 피너클 컨트리클럽(파71·6438야드)에서 열린 대회 1라운드에서 보기 없이 버디 7개를 쓸어 담아 7언더파 64타를 쳤다.그는 8언더파 63타로 공동 선두에 오른 세라 슈멜젤(미국), 가쓰 미나미(일본)에게 한 타 뒤진 공동 3위에 이름을 올렸다.이소미는 6월 '2인 1조' 팀 대회인 다우 챔피언십에서 임진희와 LPGA 투어 첫 우승을 합작한 데 이어 시즌 2승에 도전한다.그는 다우 챔피언십 우승 이후 6개 대회에 출전해 3차례만 컷을 통과했고, 특히 최근 2개 대회에선 연속 컷 탈락했던 터라 분위기 반전이 필요한 상황이다.이날 이소미는 페어웨이를 모두 지키고 그린은 한 번만 놓치는 예리한 샷 감각을 뽐내며 전반 4개, 후반 3개의 버디를 솎아냈다.이소미는 경기 후 현지 인터뷰에서 "최근에 발가락이 아파서 몸 관리에 신경 썼는데 이제 괜찮아졌다. 연습을 많이 한 100m 안쪽 샷으로 오늘 많은 기회를 만들어서 좋은 결과로 마무리한 것 같다"고 자평했다.그는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하고, 남은 이틀 제 생각보다 경기가 안 풀리더라도 노력하면 된다고 믿고 있다"면서 "지금이 아니더라도 나중에는 된다는 자신감이 있는 만큼 남은 이틀도 자신 있게 해보겠다"고 각오를 다졌다.2019년부터 LPGA 투어에서 뛴 슈멜젤과 2023년 데뷔한 가쓰는 나란히 8언더파를 몰아치며 첫 승 경쟁에 나섰다.이소미를 필두로 앨리슨 리, 릴리아 부(이상 미국), 하타오카 나사(일본), 카를로타 시간다(스페인), 리오나 머과이어(아일랜드)가 선두와 한 타 차 공동 3위 그룹을 형성했다.주수빈과 대니엘 강(미국)은 공동 9위(6언더파 65타), 임진희와 안나린, 지은희는 공동 18위(5언더파 66타)에 자리했다.김효주와 유해란, 최혜진, 김아림, 김세영은 공동 45위(3언더파 68타), 고진영과 양희영은 세계랭킹 2위 넬리 코르다(미국) 등과 공동 66위(2언더파 69타)다.박성현과 전인지는 공동 86위(1언더파 70타), 윤이나는 공동 129위(2오버파 73타)에 그쳤다.이은경 기자 2025.09.20 12:53
LPGA

'커리어 그랜드 슬램 도전' 전인지, AIG 여자오픈 1R 공동 4위…윤이나도 어깨 나란히

전인지와 윤이나가 시즌 마지막 메이저 대회인 AIG 여자오픈(총상금 975만 달러·136억원) 첫날 산뜻하게 출발했다.전인지는 1일(한국시간) 영국 웨일스 로열 포스콜 골프클럽((파72·6천748야드)에서 열린 대회 1라운드에서 버디 4개와 보기 1개로 3언더파 69타를 기록, 공동 선두 그룹인 일본의 다케다 리오·오카야마 에리(5언더파 67타)에게 2타 뒤진 공동 4위로 대회를 시작했다.2015년 US여자오픈, 2016년 에비앙 챔피언십, 2022년 여자 PGA 챔피언십 트로피를 들어 올린 전인지는 이번 대회를 통해 ‘커리어 그랜드 슬램’에 도전한다. 전인지는 첫 홀인 1번 홀(파4)에서 보기를 기록했으나 이후 꾸준히 타수를 줄였다.연합뉴스에 따르면 전인지는 경기 뒤 "지난해 멘털과 건강 문제로 US여자오픈 이후 출전을 중단하면서 이 대회에도 나서지 못했는데, 이제 모두 건강해져서 돌아오게 돼 기쁘다"며 "골프를 시작했을 때는 훌륭한 골퍼가 돼서 부모님에게 TV로 내 스윙을 보여드리고 싶었다. 지금 커리어 그랜드 슬램에 도전할 수 있는 이런 위치에 있는 것에 감사하다. 이룰 수 있다면 남다른 기분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 LPGA 투어 신인 윤이나도 버디 5개와 보기 2개를 묶어 3언더파로 전인지 등과 공동 4위에 올랐다. 톱10 진입 없이 6월 US여자오픈의 공동 14위가 최고 성적. 윤이나는 "전반적으로 경기를 쉽게 풀어나가지는 못했지만, 끝나고 보니 좋은 결과가 나와 만족스러운 하루였다"면서 "어려운 환경에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대회라고 생각한다. 실수가 나오지 않도록 더 집중하면서 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유해란과 양희영, 김아림, 안나린은 2언더파 70타를 기록, 공동 14위에 자리했다. LPGA 투어 대회에 처음 출전한 KLPGA 투어의 이동은은 김세영·그레이스 김(호주) 등과 공동 30위(1언더파 71타), 김효주·이소미·신지애·홍정민·이일희는 공동 51위(이븐파 72타)에 자리했다. 디펜딩 챔피언인 리디아 고(뉴질랜드)는 방신실 등과 공동 74위(1오버파 73타)에 그쳤다. 최혜진은 공동 111위(4오버파 76타), 고진영은 공동 134위(6오버파 78타)로 처졌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8.01 10:56
LPGA

김세영, LPGA 스코틀랜드 오픈 2R 단독 4위 껑충…이틀 연속 이글

김세영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ISPS 한다 스코틀랜드 여자오픈(총상금 200만 달러)에서 단독 4위로 도약했다.김세영은 26일(한국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에어셔의 던도널드 링크스(파72·6538야드)에서 열린 대회 2라운드에서 이글 1개, 버디 4개, 보기 1개를 엮어 5언더파 67타를 쳤다.중간 합계 9언더파 135타를 기록한 김세영은 공동 7위에서 세 계단 점프한 4위에 자리했다.선두 로티 워드(12언더파 132타·잉글랜드)와는 3타 차이다. 우승도 기대할 수 있는 위치다.김세영은 13번 홀(파4)과 14번 홀(파5)에서 연속 버디를 낚았고, 18번 홀(파5)에서 칩인 이글을 성공했다.그는 1번 홀(파4)에서 다시 버디를 잡았다. 3번 홀(파5)에서 이날 유일한 보기를 범했지만, 6번 홀(파3)에서 다시 버디를 낚으며 만회했다.세계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는 중간 합계 10언더파 134타로 난나 매드슨(덴마크)과 함께 공동 2위에 올랐다.한국 선수들이 상위권에 대거 포진했다.김효주는 단독 5위(8언더파 136타)에 이름을 올렸고, 윤이나도 공동 6위(7언더파 137타)로 도약했다.전인지는 공동 12위(4언더파 140타), 양희영과 주수빈은 공동 19위(3언더파 141타)에 자리했다.김희웅 기자 2025.07.26 11:45
LPGA

김세영, LPGA 스코틀랜드 오픈 1R 공동 7위…1위와 2타 차

김세영(32)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ISPS 한다 스코틀랜드 여자오픈(총상금 200만달러) 1라운드에서 공동 7위에 올랐다. 1위와 두 타 차이라 남은 라운드에서 충분히 선두 경쟁을 펼칠 수 있다.김세영은 25일(한국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에어셔의 던도널드 링크스(파72·6천538야드)에서 열린 대회 1라운드에서 보기 없이 이글 1개, 버디 2개를 합해 4언더파 68타를 쳤다. 김세영은 5번 홀(파5)에서 첫 버디를 낚은 뒤 좀처럼 타수를 줄이지 못했다. 13번 홀(파4)까지 파 행진을 펼쳤다. 그러다가 14번 홀(파5)에서 두 번째 버디를 적어내더니 17번 홀(파4)에서 환상적인 샷 이글에 성공하며 단숨에 선두권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김세영은 페어웨이 안착률 35.7%(5/14)에 그칠 정도로 티샷이 흔들렸으나, 높은 그린 적중률 83.3%(14/18)로 만회했다.LPGA 투어 통산 12승을 거둔 김세영은 2020년 11월 펠리컨 챔피언십 이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지 못했다. 올해엔 12개 대회에서 세 차례 톱10에 이름을 올렸다.6언더파 66타를 친 '엄마 골퍼' 샬럿 라파(잉글랜드)는 단독 선두에 올랐다. 두 자녀의 엄마인 라파는 "오랜만에 복귀해 경기를 치렀다"며 "주변의 도움으로 엄마와 골퍼의 활동을 병행하고 있는데, 난 엄마로 사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아마추어 세계랭킹 1위를 달리다가 최근 프로로 전향한 로티 워드(잉글랜드)는 5언더파 67타 공동 2위로 신고식을 마쳤다. 다케다 리오(일본), 누리아 이투리오스(스페인), 리오나 머과이어(아일랜드), 아르피차야 유볼(태국)도 공동 2위에 이름을 올렸다.올 시즌 우승컵을 들어 올리지 못한 세계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와 호주 교포 이민지, 재미교포 제니 배는 4언더파 68타로 김세영과 함께 공동 7위에 포진했다.김세영을 제외한 모든 한국 선수는 10위권 밖에서 2라운드를 맞이한다. 올 시즌 한 차례 우승한 김아림은 3언더파 69타를 적어내며 공동 17위에 올랐다. 2023년 이 대회에서 준우승한 김효주는 2언더파 70타로 주수빈, 양희영, 윤이나와 함께 공동 24위를 달린다. 임진희는 1언더파 71타로 공동 43위, 전인지는 이븐파 72타로 공동 55위에 그쳤다. 지난 달 숍라이트 클래식에서 깜짝 준우승한 이일희와 올 시즌 톱 5를 3차례 기록한 최혜진은 1오버파 73타로 공동 67위다.안희수 기자 2025.07.25 08:48
LPGA

Hanwha LIFEPLUS 인터내셔널 크라운, 한국 미국 일본 등 7개 참가국 확정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가 주관하고 한화의 금융계열사 공동브랜드인 'LIFEPLUS(라이프플러스)’가 후원하는 세계 골프 유일의 국가대항전인 2025 Hanwha LIFEPLUS 인터내셔널 크라운이 7개의 참가 국가를 확정했다고 24일 발표했다.월드팀 이외에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상위 7개 국가는 2025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 대회가 종료된 23일 기준으로 롤렉스 여자골프세계랭킹(WWGR)의 국가별 상위 4명의 랭킹을 합산해 최종 결정됐다. 그 결과 미국(34점), 한국(53점), 일본(57점) 등 세계 여자 골프 최강국들이 참가를 확정했으며, 태국(88점), 스웨덴(115점), 호주(128점), 중국(256점)도 출전 국가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한국은 미국에 이어 2위로 참가를 결정 지으며 우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최종 참가 선수 32명은 LPGA 투어 5대 메이저 대회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AIG 위민스 오픈 종료 이후 8월 4일에 결정된다. 각국 대표팀의 상위 4명의 선수와 월드팀으로 출전할 선수 4명도 함께 발표될 예정이며, 월드팀에서는 리디아 고(뉴질랜드, 세계랭킹 3위), 브룩 헨더슨(캐나다, 세계랭킹 44위)의 출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현재 한국 대표 선수 중 한 명으로 거론되고 있는 김효주는 “이번 Hanwha LIFEPLUS 인터내셔널 크라운은 한국에서, 그것도 제가 좋아하는 골프 코스에서 열리는 만큼 정말 기대되고 즐거운 경험이 될 것 같다”며, “국가를 대표해 태극기를 달고 경기에 나선다면 매우 자랑스럽고 벅찬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2018년 한국에서 열린 Hanwha LIFEPLUS 인터내셔널 크라운에 스웨덴 대표로 처음 출전했던 마들렌 삭스트롬은 “스웨덴은 강팀이기 때문에 이번 대회에서 어떤 활약을 보여줄지 무척 기대된다”며, “올해 잉그리드 린드블라드가 우승하면서 젊은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국가를 대표한다는 건 언제나 자랑스러운 일이며, 좋은 경기를 펼칠 기회를 얻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Hanwha LIFEPLUS 인터내셔널 크라운은 오는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뉴코리아CC에서 나흘간 개최한다. 총상금은 200만 달러로, 우승팀에게는 50만 달러의 상금이 지급된다. 1라운드부터 3라운드까지는 포볼 매치플레이로 진행되며, 최종 라운드는 싱글 매치플레이와 포썸 매치플레이의 혼합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린다.대회 총괄 책임을 맡고 있는 LPGA 한지연 이사는 “많은 골프 팬들이 궁금해하는 세계 여자 골프 최강 국가 7개 팀이 드디어 결정됐다” 라며 “마이어 클래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해 랭킹을 끌어올린 최혜진(세계랭킹 24위)이 출전 가능성을 높였고, 양희영(세계랭킹 26위)과 이예원(세계랭킹 28위) 역시 한국팀 선발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최종 라인업 발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이은경 기자 2025.06.24 11:12
LPGA

'메이저 V3' 이민지, 세계랭킹 6위 '수직 상승'…'메이저 3연속 톱10' 최혜진은 47위→28위→24위

1년 8개월 만의 우승, 세 번째 메이저 트로피를 들어 올린 호주 교포 이민지의 세계랭킹이 급상승했다. 이민지는 24일(한국시간) 발표된 세계 여자골프 랭킹에서 지난주보다 18계단 상승한 6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민지는 지난 23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프리스코의 필즈랜치 이스트 코스에서 끝난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에서 최종합계 4언더파 284타를 기록, 2위 차네테 완나센(태국)과 오스틴 김(미국)을 3타 차로 따돌리고 우승했다. 이민지의 LPGA투어 11번째 우승이었다. 이민지는 지난 2023년 10월 한국에서 열린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뒤 약 1년 8개월 만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또 2021년 에비앙 챔피언십, 2022년 US 여자오픈에 이어 세 번째 메이저 정상에 올랐다. 이 대회 6위에 오른 앤젤 인의 세계 순위도 3계단 상승했다. 앤젤 인은 마야 스타크(스웨덴) 김효주, 사이고 마오(일본)를 제치고 세계랭킹 7위에 이름을 올렸다. 메이저 대회 3연속 톱10에 진입한 최혜진도 지난주보다 한 계단 상승한 24위에 올랐다. 최혜진은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에서 공동 8위에 등극, 4월 셰브론 챔피언십 공동 9위, 5월 US 여자오픈 공동 4위에 이어 메이저 3개 대회 연속 상위 10위에 올랐다. 셰브론 챔피언십 직전 47위였던 최혜진의 세계랭킹은 US 여자오픈 4위 직후 28위까지 치솟았고, 지난주 마이어 클래식 준우승에 이번 대회 공동 8위까지 묶어 20위권 초반까지 순위를 끌어 올렸다. 최혜진과 함께 이 대회 공동 8위에 오른 이소미도 5단계 오른 세계 55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활약하면서 이 대회에 참가했던 황유민과 방신실은 각각 공동 19위와 23위로 대회를 마감, 세계랭킹 41위와 64위에 이름을 올렸다. 황유민은 한 계단, 방신실은 두 계단 상승했다. 이외 한국 선수들의 순위는 대부분 떨어졌다. 유해란이 세계 5위 자리를 지킨 가운데, 김효주가 지난주보다 2계단 떨어진 9위에 이름을 올렸고, 고진영이 한 단계 내려온 15위에 올랐다. 양희영과 이예원이 26위와 28위를 유지했고, 윤이나가 4계단 떨어져 30위권(31위)으로 하락했다. 임진희와 김아림도 세 계단 씩 떨어진 33위와 34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지난 22일 끝난 더헤븐 마스터즈에서 연장 접전 끝에 우승한 노승희는 지난주보다 13계단 오른 63위에 올랐다. 윤승재 기자 2025.06.24 07:43
LPGA

이소미, 여자 PGA 챔피언십 2R 공동 5위…선두 티띠꾼과 5타 차

이소미가 여자 골프 시즌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인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총상금 1200만 달러)에서 둘째 날 공동 5위에 자리했다.이소미는 21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프리스코의 필즈랜치 이스트 코스(파72·6604야드)에서 열린 대회 2라운드에서 버디 4개와 보기 3개, 더블보기 하나를 묶어 1오버파 73타를 쳤다.중간 합계 1언더파 143타를 기록한 이소미는 오스턴 김(미국), 이와이 치사토(일본)와 공동 5위로 2라운드를 마쳤다.단독 선두인 지노 티띠꾼(태국·6언더파 138타)과의 격차는 5타다.이날 이소미는 1번 홀(파5) 보기와 6번 홀(파4) 더블 보기로 초반 3타를 잃다가 7번(파4)과 9번 홀(파5) 버디로 분위기를 반전했다. 후반에는 버디 2개와 보기 2개를 맞바꿔 타수를 지켰다.KLPGA 투어에서 활약하는 방신실은 이날 버디 2개와 보기 3개로 한 타를 잃은 가운데 노예림(미국), 야마시타 미유(일본)와 공동 8위(이븐파 144타)에 올랐다.최혜진과 이미향, KLPGA 투어의 황유민은 공동 11위(1오버파 145타), 세계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는 2타를 잃고 공동 16위(2오버파 146타)로 2라운드를 끝냈다.김아림은 공동 79위(8오버파 152타), 양희영과 윤이나는 공동 95위(9오버파 153타)로 컷 탈락했다.세계랭킹 7위 김효주는 허리 부상, 세계 14위 고진영은 열사병 증세로 2라운드 도중 기권했다.김희웅 기자 2025.06.21 14:44
골프일반

유해란·이소미, 여자 PGA 챔피언십 첫날 공동 3위…디펜딩 챔피언 양희영 공동 84위

유해란과 이소미가 여자 골프 시즌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인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첫날 선두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유해란과 이소미는 20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프리스코의 필즈 랜치 이스트 코스(파72·6596야드)에서 열린 대회 1라운드에서 나란히 2언더파 70타를 쳐 공동 3위에 랭크됐다. 유해란은 버디 4개와 보기 2개, 이소미는 버디 3개와 보기 하나를 묶어 2언더파를 쳤다. 4언더파 68타를 기록한 단독 선두 지노 티띠꾼(태국)과는 2타 차다.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통산 3승의 유해란은 지난달 블랙 데저트 챔피언십에 이은 시즌 2승과 첫 메이저 대회 트로피에 도전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라운드에서 수준급 그린 적중률(94.44%)과 페어웨이 안착률(85.71%)를 기록한 유해란은 "코스가 어려워서 버디를 잡기 힘들었다. 페어웨이와 그린을 잘 지키며 쉽게 파를 만들려고 했다"면서 "꽤 좋은 라운드를 했고, 앞으로도 기대된다"라고 자신했다. 지난해 LPGA 투어에 진출해 아직 우승 경험이 없는 이소미는 "바람이 많이 불 것으로 예상했는데 실제로는 많지 않아서 경기하기가 다소 수월했다. 이 코스에선 티샷과 퍼트가 중요해서 집중해서 연습한 덕분에 2언더파를 기록했다"라고 말했다. 유해란과 이소미 이외에도 한국 선수들의 선전이 눈에 띈다. 2022년 이 대회에서 개인 세 번째 메이저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렸던 전인지는 버디 4개와 보기 3개로 1언더파 71타를 쳐 공동 7위에 자리했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활약하는 황유민과 방신실도 공동 7위로 산뜻한 출발을 알렸다. 이밖에 신지은과 이미향, 주수빈은 공동 16위(이븐파 72타)로 1라운드를 마쳤다. 세계 1위 넬리 코르다(미국)도 공동 16위. 김아림은 사이고 마오(일본) 등과 공동 26위(1오버파 73타) 고진영·강혜지·이정은(1996년생)은 공동 40위(2오버파 74타)를 기록했다. 디펜딩 챔피언 양희영은 4오버파 76타(공동 84위)로 부진했다.배중현 기자 bjh1025@edaily.co.kr 2025.06.20 12:57
LPGA

손 끝에서 놓친 '메이저 퀸', 최다 상금 걸린 세 번째는 다를까…KPMG 한국인 26명 출사표

여자 골프 메이저 대회인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이 19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프리스코의 필즈랜치 이스트 코스에서 개막한다. 기존 총상금(1040만 달러)보다 160만 달러가 증액된 1200만 달러(약 165억원), 여자 골프 사상 최다 금액 타이에 해당하는 금액이 걸려있다. 시즌 세 번째 메이저 대회다. 여자 골프 메이저 대회는 1년에 5개가 열리는데, 지난 4월 더 셰브론 챔피언십과 5월 US 여자오픈에 이어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이 세 번째다. 셰브론 챔피언십에선 일본의 사이고 마오가, US 여자오픈에선 스웨덴의 마야 스타르크가 우승했다. 아직 한국인 '메이저 퀸'이 나오지 않았다. 지난 두 대회에서 마지막까지 한국 선수들이 우승 경쟁을 했으나 눈 앞에서 트로피를 놓쳤다. 셰브론 챔피언십에선 김효주가 연장 승부 끝에 준우승했다. 인뤄닝(중국) 아리야 주타누칸(태국) 린디 던칸(미국) 사이고 마오(일본)와 함께 5명이 연장 승부를 펼친 끝에 유일하게 버디 퍼트를 성공한 사이고가 우승했다. US 여자오픈에선 김아림이 1라운드에서 공동 선두에 오르고, 마지막 라운드에 선전한 최혜진이 선두와 3타 차 4위로 대회를 마쳤다. 고진영과 윤이나도 공동 14위에 이름을 올리며 톱20에 진입했다. 세 번째 메이저 대회엔 KPMG 여자 PGA 챔피언십에선 웃을 수 있을까. 이번 대회엔 디펜딩 챔피언 양희영을 비롯해 지난 2개 메이저 대회에서 톱10에 모두 진입한 최혜진, 이번 시즌 한국인 3승을 합작한 김아림(2월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 김효주(4월 포드 챔피언십) 유해란(5월 블랙 데저트 챔피언십) 등이 출전한다. 지난주 마이어 클래식에서 준우승한 최혜진의 뒤를 이어 3위에 오른 이소미도 출전한다. 고진영과 윤이나, 임진희, 김세영 등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무대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이 출전 명단에 이름을 올린 가운데,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활약 중인 황유민, 김수지, 방신실이 세계랭킹 상위권 자격으로 참가한다. 26명의 한국인 선수들을 포함한 총 156명의 선수들이 우승 트로피를 두고 경쟁한다. 세계랭킹 1위 넬리 코르다(미국)와 2위 지노 티띠꾼(태국) 3위 리디아 고(뉴질랜드) 4위 인뤄닝 등 톱랭커들이 출사표를 냈다. 메이저 대회가 5개로 늘어난 2013년 이후, 한국인 선수들은 매 시즌 꾸준히 메이저 퀸에 등극해왔다. 한국인 선수가 메이저 우승을 차지하지 못한 시즌은 2021년과 2023년 두 해 뿐. KPMG 여자 PGA 챔피언십과 에비앙 챔피언십(7월)과 위민스 오픈(8월) 등 3개 대회 중 올해 몇 개의 트로피를 수집할 지 관심이 모아진다. 윤승재 기자 2025.06.19 06:0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