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스포츠일반

언택트 시대와 시대적 요구에 따른 장외 발매소 미래는

한국마사회가 정부·지자체·공기업 간의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지역 갈등을 봉합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도약할 수 있는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마사회는 지난 23일 대전시와 ‘대전지사 건물 매매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지역사회와의 상생과 공존을 향한 의미 있는 시작을 알렸다. 현재 전국 지자체에 총 27개의 장외 발매소를 운영 중이나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의 일환으로 집합이 금지되면서 장외 발매소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놓여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경마 매출의 70%를 차지하는 장외 발매소가 멈추면 매출을 일으킬 묘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오프라인 발매 외에는 매출을 발생시킬 별다른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해외 국가들도 장외 발매소의 문을 걸어 잠글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했지만, 온라인 베팅으로 무관중 경마 중에도 매출을 끌어내고 있다. 홍콩의 경우 2019~20년 시즌 총매출이 역대 세 번째를 기록할 정도로 많았고, 일본 역시 2019년 대비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총 매출이 오히려 2.8% 상승했다. 코로나19라는 위기를 또 하나의 기회로 삼은 셈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해외 국가들은 온라인 발매 도입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체질 개선을 진행해 왔다. 해외 국가들의 선제 도입 배경에는 IT 기술 발전에 따른 변화에 발맞춰 가기 위함이다. 그렇지만 장외 발매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혼잡이나 기타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도 컸다. 일본의 경우 2002년 인터넷 발매 도입 시기에는 총매출액 중 온라인 비중이 27%에 불과했으나 2019년에는 총 매출의 70.5%를 온라인에서 끌어냈다. 같은 시기 장외 발매소의 매출 비중은 26.7%까지 감소했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에는 온라인 발매의 매출 비중이 92.7%까지 상승하며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장외 발매소의 비중은 6.7%로 줄어들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장외 발매소에 편중된 매출 구조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이슈가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장외 발매소를 기반으로 한 한국마사회의 지역사회 사회공헌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도심 내 다중운집형으로 운영이 이뤄지면서 지역사회 갈등과 문제 요소 역시 항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장외 발매소를 대체할 수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한국마사회법 개정안에도 이런 의견을 반영해 장외 발매소 규모 조정기준 등 건전화 방안 수립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경마공원이나 장외 발매소 방문이 곤란한 이용자에게 온라인이라는 수단을 대안으로 제공하면서도 매출 총량 유지를 위해 장외 발매소 규모를 조정하는 일종의 기브앤테이크 방식이다. 장외 발매소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는 장외 발매소 개념 자체에 대한 변화도 끌어낼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 장외 발매소에 지역사회 친화적인 역할을 더해 승마·레저 기능이 융합된 소규모 레저시설로 탈바꿈하고, 건전한 관람환경을 조성해 지역 사회와 공존이 가능한 시설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8.27 07:00
경제

'언택트 시대' 영향 주식부호 판도 변화, 서정진 회장 증가율 가장 높아

‘언택트 시대’ 영향이 주식시장에도 미치면서 최근 국내 주식부호의 판도가 뒤바뀌었다. 주식시장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바이오 기업가 언택트 소비 관련 종목이 인기를 모으면서 기업 사주 일가의 주식 가치가 크게 올랐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31일 2353개 상장사 지분을 가진 개인 주식 부호들을 조사한 결과, 29일 종가 기준 상위 100인의 지분가치는 총 92조8479억원으로 집계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과 이재용 부회장이 각각 15조1017억원, 6조7743억원으로 1, 2위 자리를 지켰다. 이건희 회장은 연초(1월2일 기준) 대비 지분가치가 13.3%(2조3066억원) 줄었지만 유일하게 10조원을 넘겼다. 주식부호 3~10위 순위는 연초와 비교했을 때 모두 얼굴이 바뀌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4조8967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3조6628억원,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3조2947억원으로 나란히 3∼5위를 차지했다. 최태원 SK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6~10위로 뒤를 이어었다. 서정진 회장의 주식 지분가치 증가율 가장 높았다. 서 회장은 연초 지분 평가금액이 2조7016억원에서 7위에 그쳤으나, 현재 4조8967억원으로 무려 81.3%가 증가하면서 주식부호 순위도 연초보다 4계단이나 상승했다. 같은 기간 김범수 의장은 주식 가치가 1조3862억원(72.6%) 늘어 두 번째로 지분가치가 많이 증가했다. CEO스코어 분석에 따르면 주식부호 순위 '톱100' 중 연초 대비 순위가 하락한 대표가 절반이 넘는 54명에 달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알제오젠의 박순재 대표와 씨젠 천종윤 대표는 이번에 주식 가치 순위가 100위권 이내로 새로 진입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5.31 10:4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