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경제

코로나로 날개 단 온라인쇼핑몰, 수수료율도 확 올렸네

유통업계 전반에서 판매수수료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온라인쇼핑몰은 상승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가 증가하면서 온라인쇼핑몰 수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9일 백화점과 TV홈쇼핑·대형마트·온라인쇼핑몰·아울렛‧복합쇼핑몰 및 편의점 등 6대 유통업 주요 브랜드 34개의 판매수수료율 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이 따르면 유통업 전반에서 납품·입점업체의 부담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상승을 기록했다. 업태별 수수료율은 전년보다 전반적으로 0.4~1.4%p 가량 내려갔다. 그러나 온라인쇼핑몰에서는 1.7%p 상승하며 10.7%의 수수료율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쿠팡이 31.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카카오 선물이 14.0%, SSG.COM이 9.6% 순이었다. 납품‧입점업체가 계약상 수수료 외에 부담하는 판매촉진비·물류배송비·서버 이용비·기타 비용 등도 온라인쇼핑몰이 높은 편에 속했다. 거래액 대비 납품․입점업체가 부담한 추가 비용의 비율은 편의점 7.2%, 온라인몰 4.9% 순이었다. 거래액 대비 판매촉진비의 비율은 온라인몰이 4.3%로 가장 높았고, 편의점이 2.3%로 뒤를 이었다. 공정위는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납품업체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판매수수료와 추가 비용 등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 공개해 납품·입점업체들이 거래조건 협상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공정위 측은 "코로나19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는 비대면 유통 분야에서 납품업체의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판매촉진비용 분담 기준을 명확히 하는 등 납품업체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방향으로 온라인쇼핑몰과 TV홈쇼핑 분야의 표준거래계약서를 내년에 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1.12.09 12:00
경제

TV홈쇼핑, 중소기업에 수수료 더 받았다

TV홈쇼핑들이 대기업 보다 중소기업에 더 높은 비율의 수수료를 떼온 것으로 드러났다. 8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실시한 '대형 유통업체 서면실태조사' 결과, 백화점부터 편의점까지 모든 업태에서 유통업체들은 중소·중견기업에 더 높은 실질 수수료율(상품판매액 중 실제 납품업체가 부담하는 수수료 총액 비율)을 적용하고 있었다. TV홈쇼핑은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속하지 않는 등 중소·중견기업에 30.7%의 실질 수수료율을, 대기업에는 이보다 12.2%포인트 낮은 18.5%를 매겼다. 다만 TV홈쇼핑의 대·중소기업 간 수수료율 격차는 전년(13.8%)에서 소폭 줄었다. 아웃렛·복합쇼핑몰(5.0→4.7%), 대형마트(4.9→2.3%), 온라인몰(4.6→1.8%)도 마찬가지였다. 백화점은 수수료율 격차가 2018년 2.0%에서 지난해 2.2%로 커졌다. 홈쇼핑부터 온라인까지 업태별로 실질 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업체는 NS홈쇼핑(36.2%), 롯데백화점(22.2%), 롯데마트(19.8%), 뉴코아아울렛(18.3%), 쿠팡(18.3%)이었다. 특히 쿠팡은 한 해 전보다 실질 수수료율을 10.1%포인트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료율이 높게 책정된 의류 판매가 늘어나면서 쿠팡의 전체 실질 수수료율도 상승했다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거래 방식을 보면 편의점(98.9%)과 대형마트(78.6%)는 직매입 거래가 많았다. 백화점(69.8%)에서는 유통업체가 상품을 외상 매입하고 미판매 상품은 반품하는 '특약매입' 거래가 다수였다. TV홈쇼핑(77.1%)과 온라인쇼핑몰(54.8%)은 위수탁(납품업자 제품을 자기 명의로 판매하고 수수료를 공제한 대금을 지급하는 형태) 거래, 아웃렛·복합쇼핑몰(85.3%)은 업체에 매장을 임대하고 판매대금의 일정 부분을 임차료로 받는 임대을 거래 비중이 높았다. 직매입 거래를 하는 편의점 납품업체의 41.8%는 편의점 브랜드에 판매를 촉진해달라는 명목의 '판매장려금'을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 납품업체는 17.9%, 온라인몰은 11.3%, 백화점 5.9%, 아웃렛은 납품업체의 3.6%가 판매장려금을 냈다. 수수료나 판매 촉진비 외에 반품비, 인테리어비 등 납품업체들이 별도로 유통업체에 낸 비용도 많았다. 직매입 거래에서 반품을 할 때, 납품업체에 반품비를 전가한 비율은 편의점(27.6%) 대형마트(14.4%) 온라인몰(11.9%) 순이었다. 입점업체 인테리어를 바꿀 경우, 입점업체가 변경 1회당 부담하는 비용은 백화점이 4600만원, 아울렛 4100만원, 대형마트 1200만원 순이었다. 브랜드로 비교해 보면 갤러리아백화점(5400만원), 롯데아울렛(4700만원), 롯데마트(1700만원)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정위 관계자는 "온라인쇼핑몰 사업자의 납품업체에 대한 부당한 비용 전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만간 '온라인쇼핑몰업자의 불공정거래행위 심사지침'을 제정·공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12.08 14:46
경제

TV홈쇼핑, 유통업체 중 판매수수료 가장 높아…1위는 CJ오쇼핑

주요 유통 채널 중 TV홈쇼핑에 납품하는 업체들의 판매수수료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공정거래위원회는 27일 2017년 상반기 백화점·TV홈쇼핑·대형마트·온라인몰 등 4개 업태 총 19개사 20개 브랜드를 조사해 발표했다.조사 결과 업태별 실질수수료율(상품 매출액 중 납품업체 수수료 금액 비중)은 TV홈쇼핑(28.4%), 백화점(22%), 대형마트(21.9%), 온라인몰(11.6%) 순이었다.업태별 실질수수료율 1위는 백화점 동아(23.4%), TV홈쇼핑 CJ오쇼핑(32.5%), 대형마트 이마트(22.9%), 온라인몰 티몬(13.6%) 등이었다.반대로 가장 낮은 곳은 백화점 갤러리아(20.5%), TV홈쇼핑 홈앤(19.5%), 대형마트 롯데마트(20.9%), 온라인몰 위메프(10.5%) 등이었다.작년과 비교해보면 백화점은 실질수수료율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TV홈쇼핑은 0.6%포인트(p) 증가했다. 현대홈쇼핑(5.7%p)과 홈앤(1.2%p)이 전체 상승을 이끌었다.상품군별로 보면 셔츠·넥타이(백화점 30.1%, 온라인몰 19.1%), 란제리·모피(대형마트 32.1%, 온라인몰 15.8%)가 높았다.대형가전(온라인몰 5.8%, 백화점 11.6%), 디지털기기(백화점 9.0%, 대형마트 12.3%) 등은 낮았다.특히 TV홈쇼핑 건강식품 수수료율은 32.4%에 달해 업태를 불문하고 가장 높았다.공정위 관계자는 "판매수수료율을 비교·공개해 수수료율 결정 과정 투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제 소요되는 부담인 실질수수료율 공개로 납품업체의 실질적인 협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 2017.12.27 16:02
연예

5개 TV홈쇼핑, 805개 납품업체 수수료 인하 ‘140억원 지원’

공정거래위원회는 3일 5개 TV홈쇼핑사가 지난해 10월부터 총 805개 납품업체의 판매수수료율을 내려 약 140억원의 혜택이 납품업체에 돌아갔다고 밝혔다. 이번 TV홈쇼핑업체의 판매수수료 인하는 2011년 9월 대형 유통업체들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해 판매수수료율을 3~7%포인트 인하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공정위는 지난해 11월부터 대형 유통업체의 판매수수료율 인하 이행 결과를 점검, 총 4043개 납품업체에 연 653억원의 인하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분석했다. 업태별로 보면 3개 백화점이 288억원(수수료율 인하 납품업체 수 1666개), 3개 대형 마트 225억원(1572개), 5개 TV홈쇼핑 140억원(805개)이다.  전체 납품업체 중 판매수수료율 인하 혜택을 받은 납품업체의 비율은 평균 85.5%에 달한다. 한편 공정위는 대형 유통업체들이 판매수수료 인하분을 전가하려고 납품업체들에 추가 부담을 강제하는 행위 등을 철저히 감시하기로 했다. 특히 판매장려금을 올려 실내인테리어 비용을 전가하는 행위 등을 집중하여 점검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지난해 말까지 대형 유통업체(19개)와 납품업체(877개)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유통업법위반 실태 서면조사 결과도 이달 안에 발표할 예정이다. 공정위 송정원 유통거래과장은 “면세점과 업태별 차상위 유통업체들의 판매수수료 인하 이행 여부도 점검해 그 효과가 더욱 많은 납품업체에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형구 기자 ninelee@joongang.co.kr 2013.01.03 16:4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