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코스닥 톱5 싹쓸하던 바이오 기업들, 지금은…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바이오 기업들의 상승세가 한풀 꺾이고 있다. 외국인과 연기금에 외면받고 있는 바이오 기업들은 실적 기대치마저 하락하면서 게임, 2차 전지주에 추격을 허용하고 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과 대비해 올해 상반기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 순위가 요동치고 있다. 2020년 12월까지 바이오 기업이 1~5위를 싹쓸이하며 강세를 나타냈지만 지난 16일 기준으로 1위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제외하고 모든 순위가 바뀌는 등 혼전 양상이 띠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해 말과 대비해 시총 규모가 7조원 줄어든 17조7700억원으로 1위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셀트리온제약과 씨젠, 알테오젠, 에이치엘비는 각 2~5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셀트리온제약이 4위로 떨어졌고, 나머지는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대신 카카오게임즈와 펄어비스 등 게임주가 치고 올라와 각 2위와 5위 자리에 안착했다. 또 K배터리를 앞세운 2차 전지주인 에코프로비엠도 몸집을 키워 3위로 뛰어올랐다. 셀트리온제약은 지난해 말 8조5500억원에서 5조7600억원으로 시총 규모가 줄었다. 셀트리온제약은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의 직접적인 수혜주로 꼽힌다. 하지만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의 해외 진출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실적 기대치가 낮아졌다.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는 미국과 유럽 시장 등에서 허가를 계속해서 기다리고 있다. 변이 바이러스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달 초만 해도 방역당국은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에 대해 전파력이 강력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 효과가 현저히 떨어졌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다 지난 16일에는 델타 변이에도 감염 치료 효과가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본부장은 국립보건연구원이 코로나19 델타 변이에 감염된 실험용 쥐에 렉키로나주를 투여한 결과 폐 조직에서 바이러스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투여 사흘째 바이러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했고, 엿새째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방역당국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인체 치료 효과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동물이 아닌 환자를 대상으로 한 효능 확인이 필요하다고 덧붙이고 있다. 진단키트를 대표하는 바이오 기업인 씨젠은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실적 기대치가 하락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말과 대비 순위가 3계단 떨어진 6위에 자리했다. 시총 규모는 4조300억원으로 1조원 가량 쪼그라들었다. 에이치엘비의 경우 임상시험 결과의 허위 공시 논란으로 인해 시총 규모가 대폭 감소했다. 진양곤 회장이 직접 해명에 나섰음에도 신약 허가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에이치엘비는 4조8900억원에서 3조7900억원으로 1조원 넘게 축소됐다. 반면 신작 오딘이 흥행에 성공한 카카오게임즈는 작년 말 시총이 3조4000억원에서 6조4500억원으로 89.7% 불어나며 8위에서 2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최근 한 달간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4조원 가까이 순매도세를 보였지만 코스닥 시장에서는 카카오게임즈 등 6000억원 이상을 순매수했다. 에코프로비엠도 3조5700억원에서 5조9100억원으로 65.5% 늘어났다. 펄어비스(3조4000억→5조3100억원)도 9위에서 5위로 뛰어올랐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7.19 07:01
경제

진양곤 에이치엘비 회장 허위 공시 의혹에 "금융당국에 소명 중"

에이치엘비가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개발 중인 항암 신약 후보물질 '리보세라닙'의 임상 결과를 자의적으로 해석해 허위 공시한 게 아닌지에 대한 의혹이다. 진양곤 에이치엘비 회장은 이날 허위 공시 의혹과 관련해 해명했다. 그는 유튜브를 통해 “금융감독원이 조사했고,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심의위원회를 거쳐 증권선물위원회를 앞둔 상황인 건 맞다"라면서도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제가 된 건 에이치엘비가 2019년 공개한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임상 3상 시험 결과다. 그해 6월 27일 에이치엘비는 리보세라닙이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에서 1차 평가지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진 회장은 이날 영상에서도 "당시 1차 지표인 OS(전체생존기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해 신약 허가 신청이 지연되거나 어려워질 수 있다고 발표했다"며 "이후 최종 데이터를 집계해보니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을 뿐 결과가 탁월해 신약 허가 신청이 가능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선 리보세라닙의 임상시험 결과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 진 회장은 신약 허가 신청(NDA) 전에 진행한 사전미팅에서 나온 얘기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FDA와의 사전미팅 회의록에 '실패'라는 단어가 있는 건 맞다. 1차 유효성 지표에 도달하지 못했으니 신약 허가 절차를 진행하는 게 적절치 않다는 내용"이라면서도 "사전 미팅은 신약 허가를 결정하는 자리가 아니고, 저희와 생각도 다르다"고 해명했다. 그는 "여기서 말하는 '실패'는 제가 이미 2019년 6월에 밝힌 내용이고, FDA에서 NDA를 위해 자료를 보완하라는 조언도 받았다"며 "다만 팬데믹으로 인해 NDA를 위한 보완 서류를 다 확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내용을 금융당국에 소명 중이다. 신약 개발을 하고 상업화를 진행 중인 기업에 대해 (외부에서) 결론이 나는 것에 대해 참담한 심정"이라고 덧붙였다. 진 회장이 이날 입장 발표에 나선 데에는 에이치엘비가 허위공시 혐의로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데 따른 것이다. 에이치엘비는 보도가 나오자 "금융당국의 요청을 받은 후 이에 대해 소명 중인 상황으로 확정되지 않은 사실이 섣불리 기사화돼 시장과 투자자의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2.16 16:15
연예

뷰티 브랜드 ‘엘리샤코이’, 동대문 두타면세점 신규 입점

크로스오버 코스메틱 브랜드 ‘엘리샤코이(ELISHACOY)’가 이달 23일 동대문 두타 면세점에 신규 입점한다. 에이치엘비(HLB) 그룹 진양곤 회장이 B2C사업 진출을 위해 인수한 ㈜넥스트사이언스의 자회사인 ‘엘리샤코이’는 이번 두타면세점 입점을 통해 주력 제품인 프리미엄 골드 콜라겐 비비크림과 머쉬룸 마스크팩 3종, 듀이레이어드 쿠션 등의 제품을 메인으로 선보일 예정이다.동대문 두타면세점은 입지상의 강점을 크게 활용할 수 있는 곳으로 국내뿐 아니라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엘리샤코이’는 브랜드와 고객의 경계를 허무는 ‘9udoº’(구도를 바꾸다) 컨셉으로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곽지희’를 뷰티디렉터 겸 모델로 기용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선보이고있다.엘리샤코이 김훈 대표는 “15개국 해외시장 진입에 성공한 엘리샤코이의 이번 두타면세점 입점은 뷰티 트렌드를 찾아 동대문 지역을 방문하는 국내/외 고객들의 수많은 요청과 수요에 보답할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도 사고의 한계를 넘는 크로스오버 코스메틱 브랜드로써 고객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넥스트사이언스에 인수된 후 자금력을 바탕으로 ‘엘리샤코이’가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 사업에 진출하고 있는 만큼, 공격적인 사업 확장에 대한 업계 관심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이소영 기자 2019.10.22 10:4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