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5건
산업

고전하는 LG생건·아모레 주가…4분기엔 살아날까

곤두박질치던 국내 화장품주가 4분기에는 반등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 것이라는 우려 가운데, 수출 호조세는 지속되면서 주가 모멘텀을 얻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10일 신한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이 중국법인 적자 지속 여파로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 것이라고 전망했다.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이 미국과 동남아시아 등 해외 매출과 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 이슈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중국 영업적자도 예상보다 커 실적 추정치를 하향했다”고 분석했다. 연결 기준 올 3분기 아모레퍼시픽 매출은 9754억원, 영업이익 41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139% 증가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중국법인의 영업손실이 5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며 이전 영업이익 기대치보다 200억원 내렸다. LG생활건강도 사정은 비슷하다. 3분기 중국 화장품 수요 부진과 마케팅 비용 확대로 실적 악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지원 흥국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 발표에 힘입어 중국에 대한 화장품 매출 비중이 경쟁사 대비 높은 LG생활건강의 주가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중국 경기 부양 기대감이 주가에 충분히 선반영됐다"며 "이제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중국 화장품 소매 판매 회복인데, 지금은 중국 경기 부양책이 내수 소비의 급반등으로 반드시 이어질 것으로 확신하기는 이른 시기"라고 했다.하지만 비중국 시장에서의 성장이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며 회복세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한국 화장품은 미국, 동남아시아, 일본 등에서 수요가 증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특히 아모레퍼시픽은 미국, 동남아, 일본에서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이는 코스알엑스 인수와 같은 전략적 움직임이 주효하다는 분석이다.LG생활건강은 럭셔리 브랜드 ‘더후’의 리브랜딩 및 비중국 지역에서의 판매 호조가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더불어 고꾸라졌던 화장품 수출이 하반기 들어 회복세로 돌아서며 9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도 주가 상승에 힘을 실어준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9월 수출입동향 데이터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은 9억26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12.2% 늘었다. 또 중국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면서 화장품주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유동성 공급이 실제 중국 화장품 산업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4.10.10 14:03
산업

편의점보다 싸고 마트보다 가깝고…SSM의 '화려한 부활'

대형마트에 밀리고 편의점에 뒤처졌던 기업형슈퍼마켓(SSM)이 비상하고 있다.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집밥족이 늘자, 장보기 채널로 급부상하면서 실적도 덩달아 개선되고 있다.1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슈퍼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53% 증가한 12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부터 슈퍼와 통합 작업을 진행 중인 마트사업부의 매출이 7%가량 줄어들고, 영업적자 162억원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이마트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마트가 2분기 210억원의 적자를 내는 동안 이마트에브리데이는 3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GS리테일의 GS더프레시 역시 2분기 영업이익이 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같은 기간 GS리테일의 주요 사업인 편의점의 영업이익은 3억원 줄었다.이처럼 SSM이 성장세를 보이는 데는 외식 물가 상승으로 집밥을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진 사회적 흐름, 그리고 1~2인 가구 증가가 한몫했다.SSM의 최대 강점은 소용량 위주로 상품을 판매한다는 것이다. 용량이 준 만큼 장보기 비용도 적게 든다. 그날그날 필요한 만큼의 식재료를 구매하려는 1∼2인 소형 가구의 알뜰한 소비 형태에 안성맞춤인 채널인 셈이다.우수한 접근성도 SSM의 큰 이점 가운데 하나다.SSM은 대부분 대규모 아파트나 연립주택 단지 등 주거지와 인접해있다. 큰 도로를 끼지 않고 주거지 골목골목에 있는 점포도 많다. 대부분 걸어서 갈 수 있다는 점에서 과거 집 앞 구멍가게 역할을 대신하는 셈이다.업계 관계자는 "가격은 편의점보다 싸고, 접근성은 대형마트보다 우수한 SSM의 장점이 고물가 시대에 더 부각되는 추세"라고 말했다.이처럼 실적이 상승하자, 주요 유통 업체들은 일제히 'SSM 키우기'에 나섰다. 이마트는 에브리데이와 통합 법인을 설립만큼 통합 마케팅을 지속해서 펼친다는 방침이다. 분기별 초저가 상품을 공동 론칭하고 있는데 올해 3분기에는 50종의 상품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또 이마트는 물류 역량을 에브리데이에 이식하고 있다. 에브리데이 점포 70여 개에 이마트 후레쉬센터와 미트센터의 신선 상품 공급을 시작했다. 올해 안에 약 140개점까지 확대하는 게 목표다.롯데슈퍼는 가맹점 출점을 확대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식품 매대 위주로 리뉴얼을 지속하며 가맹점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이마트와 마찬가지로 통합 소싱을 통한 경쟁력도 강화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GS더프레시도 점포 확대에 나선다. 당장 이달 말 500호점을 넘겼다. 향후 신도시를 중심으로 적극 출점에 나설 계획이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불황 속 SSM이 나홀로 덩치를 키우고 있다"며 "신규 출점·점포 리뉴얼 등으로 하반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8.16 07:00
산업

지난해 4대 그룹 영업이익 66% 급감...현대차만 증가

국내 4대 그룹의 영업이익이 1년 새 66% 급감한 가운데 현대차그룹만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19일까지 감사·사업보고서를 제출한 국내 4대 그룹 주요 국내 계열사 306곳의 2022∼2023년 별도(개별)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 변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지난해 영업이익 총액은 24조518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71조9182억원) 대비 65.9% 감소한 것으로 1년 새 47조4000억원가량이 증발한 셈이다.그룹별로 보면 삼성의 영업이익 감소액이 가장 컸다. 조사 대상 삼성 계열사 59곳의 영업이익 규모는 2022년 38조7465억원에서 2023년 2조8363억원으로 92.7% 급감했다. 2022년 25조319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삼성전자가 작년에 11조526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기(6749억원↓), 삼성디스플레이(6302억원↓), 삼성SDI(4225억원↓) 등도 1년 새 영업이익이 1000억원 이상 줄었다. 재계 서열 2위인 SK그룹 계열사 135곳의 영업이익 규모는 2022년 19조1461억원에서 2023년 3조9162억원으로 79.5% 감소했다. SK하이닉스와 SK에너지의 영업이익 감소가 결정적이었다. SK하이닉스는 2022년 영업이익 7조6609억원에서 작년에는 4조6721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같은 기간 SK에너지의 영업이익은 2조5923억원에서 4018억원으로 줄었다.반면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6113억원에서 2023년 1조2354억원으로 영업이익이 늘었다. 4대 그룹 중에서는 유일하게 현대차그룹만 영업이익이 43.3%가 증가했다. 조사 대상 50개 계열사의 영업이익은 2022년 12조5827억원에서 작년 18조362억원으로 1년 새 5조원 이상 증가했다.현대차의 영업이익이 2조8285억원에서 6조6709억원으로 4조원가량 증가했고, 기아도 3조8억원에서 6조3056억원으로 3조원 이상 늘었다.LG그룹은 지난해 영업적자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 대상에 포함된 LG그룹 계열사 48곳의 2022년 영업이익은 1조4429억원이었으나 작년에는 2707억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LG전자는 2022년 1107억원에서 2023년 5767억원으로 1년 새 4600억원 넘게 이익이 증가하며 선전했다. 하지만 LG디스플레이가 작년에 3조8841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데다, LG화학도 작년 1091억원 적자로 주저앉으면서 그룹 전체 영업손익이 적자로 돌아섰다.오일선 CXO연구소장은 "국내 핵심 기업인 삼성, SK, LG의 영업이익이 동반 하락하면서 대한민국 경제에도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다"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4.24 11:58
산업

다시 맥 못 추는 홈쇼핑...올해는 더 어렵다

홈쇼핑 업계에 찬바람이 몰아쳤다. 지난해 주요 홈쇼핑 4사(CJ온스타일·롯데홈쇼핑·현대홈쇼핑·GS샵)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하락했다. TV 시청 인구 감소와 송출수수료 부담이 더해진 결과다. 고물가에 올해 전망도 어둡다. 돌파구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12일 업계에 따르면 CJ온스타일은 지난해 영업이익 693억원을 기록해 전년(723억원) 대비 4.1%대 하락세를 보였다. 이익 감소 폭이 한 자릿수 대이긴 하지만 2년 연속 영업이익 1000억원을 달성하는 데는 실패했다.GS홈쇼핑은 1179억원의 이익을 내놓았지만, 전년(1426억원)과 비교하면 17%나 떨어졌다. 현대홈쇼핑의 타격은 더 컸다. 같은 기간 60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년 대비 45% 역성장했다. 롯데홈쇼핑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영업이익 83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89%나 급감했다. 3분기까지 2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지만 4분기 100억원의 이익을 내며 가까스로 흑자를 냈다.홈쇼핑 업계의 실적 부진 요인은 TV 시청자 수 감소에 있다. 홈쇼핑의 잠재적 소비자인 TV 시청자 수가 급감하면서 자연스럽게 홈쇼핑 매출 역시 하향곡선을 그리게 된 것이다.매년 늘고 있는 '자릿세' 개념의 송출수수료 부담 역시 실적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홈쇼핑 업체들은 지난해 전체 방송 사업매출의 약 65%를 유료방송사에 수수료로 지급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업계 관계자는 "고물가 상황과 맞물려 주요 홈쇼핑사들이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며 "취급고 하락에도 송출수수료는 줄어들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업계가 성장 동력을 잃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홈쇼핑 업계는 성과급 규모를 대폭 축소하거나 지급하지 않는 등 긴축 경영에 돌입했다. 롯데홈쇼핑은 최근 김재겸 대표이사 명의의 사내 공지를 내고 지난해 경영성과급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현대홈쇼핑도 성과급 규모를 줄였다. 현대홈쇼핑은 기본급의 100% 수준이던 성과급을 최근 70% 수준으로 지급했다. 지난해 대비 30%가량 줄어든 수치다. 문제는 올해도 홈쇼핑 업계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점이다. 엔데믹에 따라 TV 시청 인구의 지속 하락 여파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업계는 타개책으로 '채널 다변화' 전략을 꺼내들었다. TV 밖으로 나와 성장 모멘텀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롯데홈쇼핑은 유튜브와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강화하고, 벨리곰·가상인간 루시 등 자체 지식재산권(IP)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원 소스 멀티채널(OSMC) 전략도 선보인다. 좋은 상품을 소싱해 채널(TV, 모바일 라이브 등) 성격에 맞게 상품을 선보이겠다는 전략이다.GS샵은 최근 숏폼 콘텐츠 서비스인 ‘숏픽’을 오픈했다. 숏픽은 GS샵이 보유한 TV홈쇼핑·데이터 홈쇼핑·라이브 커머스 채널에서 송출된 상품 판매 영상을 1분 내외로 편집해 보여주는 콘텐츠다. 스마트폰 화면을 톡톡 터치하며 모바일 콘텐츠를 찾아다니는 '태핑(tapping)족'을 잡겠다는 전략이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더이상 TV홈쇼핑에만 의존해서는 성장의 한계를 넘어 생존자체를 위협받을 수 있다"며 "탈 TV와 더불어 보다 강력한 돌파구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2.13 07:00
연예일반

SM, 2분기 영업이익 357억원…매출은 2398억원

SM엔테터인먼트가 올해 2분기에 영업이익 357억 원을 달성했다.2일 SM엔터테인먼트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398억원 ▲영업이익 357억원의 경영실적을 올렸다고 밝혔다.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84% 늘었다. 활발한 국내·외 오프라인 콘서트 개최에 따른 영향이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283억원을 달성했고,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4.4%p 증가한 15%를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17.6%. 영업이익은 95.3%, 당기순이익은 22.9% 각각 증가했다.SM의 별도 기준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1389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280억원을 달성했다. 아티스트별 음반 판매 확대와 음반 발매 연동 팝업 스토어 MD(기획상품) 매출이 증가하면서 이같은 실적을 거뒀다. 여기에 아티스트의 방송 및 오프라인 행사 출연도 확대되면서 출연 사업부문의 매출도 크게 개선됐다.SM은 “에스파의 더블 밀리언셀러 등극 등 신규 음반 판매 확대와 오프라인 콘서트 라인업 확대로 콘서트 사업부문 매출이 큰 폭 증가했다”며 “MD/라이선싱 사업부문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75% 성장했다”고 설명했다.SM의 계열사인 드림메이커, SMC 등도 우수한 실적을 거뒀다. 특히 드림메이커는 국내외 공연 관련 매출이 크게 늘면서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키이스트도 영업적자 규모를 대폭 축소했다.하반기에도 SM의 실적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 7월 10일 정규 7집으로 컴백한 엑소의 초동 판매량이 156만 장 돌파로 최고치를 경신, 정규 1집 발매 이래로 통산 7번째 밀리언셀러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7월 17일 정규 3집을 발표한 NCT드림은 선 주문 420만장에 이어 초동 판매량 365만장을 기록했다.또한 주요 아티스트 라인업으로는 8월에 발매되는 에스파의 북미 싱글과 NCT의 정규앨범을 시작으로 올 4분기 NCT 127 및 레드벨벳의 정규 앨범, 에스파의 미니 앨범 발매 등이 기다리고 있다. 아울러 SM은 신인 아티스트 데뷔도 앞두고 있다. 에스파 이후 3년만에 새롭게 선보이는 보이그룹 라이즈는 오는 9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장철혁 SM 대표이사는 “지난 3월 출범한 멀티제작센터에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중심으로 독자적 프로듀싱 체제를 구축하고 역량을 강화했다”며 “그 결과 음악의 다양성 확대, 전략적인 사전 프로모션, 아티스트 활동 지표 개선 등이 이뤄졌고, 더 나아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의 북미 통합법인 설립 등을 통해 글로벌 사업 확대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혜미 기자 emily00a@edaily.co.kr 2023.08.02 15:34
산업

쿠팡 흑자 굳히기…SSG·롯데 잡고 유통왕 향해 진격

쿠팡이 이커머스 시장을 넘어 전통의 유통 강호 이마트 및 롯데쇼핑과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했다. 지난해 최대 실적과 함께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면서 더는 유통 대기업을 두려워하지 않는 눈치다. 김범석 쿠팡 의장은 "오프라인 중심 유통시장에서 쿠팡은 한 자릿수 점유율이다. 고객이 '와우' 할 수 있는 혁신은 이제 시작"이라면서 야심도 내비쳤다. 쿠팡 매직 쿠팡이 '돈 쓰는 쿠팡'에서 '돈 버는 쿠팡'으로 변신했다. 2일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26% 증가한 26조5917억원(205억8261만 달러)을 기록했다. 영업적자는 1447억원으로 전년 1조7097억원 대비 92% 감소했다. 순손실은 1189억원으로 전년 1조7653억원 대비 93% 줄었다.가장 고무적인 부분은 두 분기 연속 흑자다. 쿠팡은 2021년 3월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매 분기 2500억~5000억원대의 영업이익 적자를 냈다. 그러나 작년 3분기 1037억원을 시작으로 4분기에도 113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업계 안팎에서는 올해는 연간 흑자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연간 조정 에비타(EBITDA·감가상각 전 순이익)는 4925억원이었다. 조정 에비타는 영업활동만으로 벌어들인 현금 흐름을 확인할 때 쓴다. 현재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쿠팡의 흑자 전환도 사실상 가시권이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쿠팡은 올해 온라인 시장 내 24%의 점유율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연간 영업이익은 2847억원을 예상한다"고 했다. 쿠팡의 야심 쿠팡의 실적 발표에 긴장하는 곳은 유통 대기업 이마트와 롯데쇼핑이다. 쿠팡 매출은 이미 지난해 이마트(할인점·트레이더스·노브랜드 등 전문점, 매출 16조9020억원)와 SSG닷컴(1조7447억원), G마켓(1조3185억원) 매출을 더한 총 19조9625억원을 넘어섰다. 또 롯데쇼핑의 지난해 매출(15조4760억원)도 10조원 이상 뛰어넘으며 '초격차'를 이뤘다.지난해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각각 6173억원과 4180억원의 영업이익을 작성했다. 만약 쿠팡이 흑자 기조를 이어나가 연간 흑자까지 낼 경우 향후 유통가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유통시장은 602조원 규모였다. 이 가운데 쿠팡의 매출 비중은 4.4% 수준이다. 김범석 쿠팡 의장도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는 실적 발표 직후 콘퍼런스콜에서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시장은 여전히 가격도 높고 상품도 제한적"이라며 "쿠팡의 국내 유통시장 점유율은 아직 한 자릿수에 불과하지만 더 다양한 상품과 낮은 가격, 특별한 서비스로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로켓배송이 가능한 상품을 확대해 회원 수를 늘리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긴장한 전통 강호쿠팡을 따돌려야 하는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공격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이마트는 SSG닷컴과 묶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네오' 세 곳과, 전국 100여 곳 PP센터의 물류 체계를 고도화해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해 주력 고객인 3~4인 가구에 대한 침투율을 높여나가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1~2인 가구의 요구를 적극 반영해 차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유료 멤버십 전략도 세웠다. 이마트는 신세계와 통합 유료 멤버십을 오는 7월 출시할 예정이다. 롯데쇼핑은 4000만 회원을 보유한 '엘포인트 멤버스'를 비롯해 각 계열사 서비스를 통합해 혜택을 확대한다. 쿠팡도 '쿠팡 없이 못 사는 한국'을 만들기 위한 투자 기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 의장은 "'쿠팡 없이 그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생각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통제된 투자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가치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번 실적 발표로 쿠팡이 이제 더 이상 이마트와 롯데쇼핑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며 "확실한 우위를 점한 쿠팡이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고 이익을 내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 교수는 또 "이마트가 어떻게 총력전을 벌이느냐에 다소 변화가 가능하나, 쿠팡이 네이버쇼핑에 이어 '2강 체제'를 구축했다"고 강조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3.03 07:02
산업

쿠팡, 2개 분기 연속 흑자..연간 최대 매출 실적

쿠팡이 지난해 3~4분기에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연간 최대 매출 실적을 올렸다. 이런 기세를 이어간다면 올해 연간 흑자 달성도 가능할 것이란 전망도 흘러나온다.쿠팡이 1일(한국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4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26조5917억원(205억8261만 달러·연 환율 1291.95원)으로, 전년(21조646억원) 대비 26% 성장했다.같은 기간 영업적자 규모는 1447억원(1억1201만달러)으로, 전년(1조7097억원)과 비교해 10분의 1 이하로 줄였다.쿠팡이 사상 최고 실적을 낸 데는 지난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영업이익 흑자를 이어간 덕이다.쿠팡은 2021년 3월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지난해 1분기까지 분기마다 2500~5000억원대의 영업이익 적자를 내왔다.이후 쿠팡의 전체 조정 에비타(EBITDA, 이자·세금·감가상각 전 순이익)가 지난해 2분기 로켓배송 시작 후 처음으로 흑자 전환하며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고, 지난 3분기에는 영업이익 1037억원(7742만 달러)을 기록해 로켓 배송 시작 후 처음으로 영업이익을 실현했다.쿠팡은 이 기세를 이어가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7조2404억원(53억2677만달러·분기 환율 1359.26원)으로 첫 분기 매출 7조원을 넘어섰고, 1133억원(8340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올려 2분기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4분기 당기순이익도 1387억원(1억206만달러)을 기록해 전년도 4791억원 손실 이후 1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조정 에비타는 영업활동으로 번 실제 사업의 순수 현금흐름으로, 지난해 쿠팡의 조정 에비타는 4925억원(3억8121만달러)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 총이익도 6조849억원(47억987만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했다.쿠팡의 활성고객(제품을 한 번이라고 산 고객)과 1인당 고객 매출은 계속 오름세다. 활성 고객수는 1811만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했고, 고객 매출은 4% 증가한 40만원(294달러)을 기록했다. 쿠팡의 와우 멤버십 유료 회원 수는 1100만명으로 집계돼 처음으로 1000만명을 넘어섰다.김범석 쿠팡 Inc 의장은 이번 실적 개선과 관련해 "아직 쿠팡이 국내 유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만큼 앞으로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그는 "이번 실적은 쿠팡이 수년에 걸쳐 지속해온 투자와 혁신의 결과"라며 "아직 국내 유통 시장은 오프라인 중심이며 가격도 높고 상품도 제한적인 만큼 쿠팡은 고객에게 더 다양한 상품군, 더 낮은 가격, 특별한 서비스라는 더 좋은 대안을 제안해 향후 수년간 전체 유통 시장에서 쿠팡은 상당한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실제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유통시장은 602조원(4660억달러) 규모로, 이 가운데 쿠팡 매출 비중은 4.4%에 불과하다. 유로모니터는 국내 유통시장이 2026년까지 700조원이 넘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본다.거라브 아난드 쿠팡 CFO는 "장기적인 조정 에비타 가이던스를 1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자 한다"며 "매분기 항상 의미 있는 성장을 기록하거나 동일한 성장률을 계속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향후에도 계속해서 마진 확대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3.01 09:58
산업

SK이노 매출 영업익 역대 최대...배터리 SK온은 1조 적자

SK이노베이션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4분기에는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손실 등의 여파로 적자를 기록했다.SK이노베이션은 7일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3조9989억원으로 전년보다 129.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78조569억원으로 전년 대비 66.6%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역대 최대치다. 순이익은 1조9901억원으로 307.4% 늘었다.다만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손실 등의 여파로 작년 4분기에는 적자를 기록했다. 4분기 영업손실은 6833억원으로 전년 동기(623억원)와 비교해 적자 폭이 늘었다. 4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 19조1368억원과 3868억원이었다.SK이노베이션은 "4분기 유가하락에 따른 재고손실과 정제마진 축소로 인한 영업적자에도 연간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며 "상반기까지 이어진 유가 상승과 석유제품 수요증가에 따른 정제마진 개선, 특히 석유제품 수출물량의 대폭 증가로 연간 실적은 전년 대비 대폭 개선됐다"고 설명했다.작년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목에서 석유제품은 전년보다 3단계 뛴 2위에 올랐다. SK이노베이션의 작년 석유제품 수출 물량은 1조4000억배럴로 전년 대비 37.7% 증가했다.석유사업을 포함한 SK이노베이션의 화학, 윤활유, 배터리, 배터리 소재 사업의 지난해 수출 실적(해외법인 매출액 포함)은 전체 매출의 72%를 차지하고 있다.사업별 연간 실적을 보면 석유사업은 매출 52조5817억원, 영업이익 3조3911억원을, 화학 사업은 매출 11조269억원, 영업이익 1271억원을 기록했다. 윤활유 사업도 4조9815억원, 영업이익 1조712억원을 기록했다.배터리 사업(SK온)은 매출 7조6177억원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9912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다만 올해 해외 신규 공장의 생산량 증대로 배터리 사업의 매출 성장세는 유지될 전망이다. 지난달 말 기준 SK온의 누적 수주액은 작년 연 매출액의 40배를 넘는 290조원을 돌파했다.SK온은 한국과 미국, 헝가리 등 국내외에서 배터리 생산공장 8개를 가동하면서 연간 88.7GWh의 생산 능력을 갖췄다. 현재 건설 중인 5개 공장이 완공되는 2025년 이후 생산 규모는 220GWh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SK이노베이션은 배당 성향 30% 수준의 2022년 기말배당 시행을 결정했다. 대규모 투자 지출 등을 고려해 자기주식을 활용한 현물배당을 진행할 계획이고, 배당에 대한 최종 결정은 주주총회에서 이뤄질 예정이다.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은 "올해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재무구조 아래 운영 최적화를 통해 수익을 지속해서 창출하겠다"며 "전기 중심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청정 에너지 생산과 순환경제 중심의 친환경 포트폴리오 개발·투자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2.07 10:22
산업

LG디스플레이 영업손실 2조 육박...생산직 이어 사무직도 자율 휴직제 시행

LG디스플레이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자율 휴직 제도를 시행한다.20일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조만간 사무직 전원을 대상으로 희망 휴직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희망자에 한해 3∼12개월간 쉬는 방식으로 고정급의 50%를 지급한다. 사무직 인원 휴직 규모는 100여명 수준으로 예상된다.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11월부터는 생산직 직원을 대상으로 유급 휴직도 시행하고 있다. 또 사업구조 개편에 따라 일부 인원을 계열사로 전환 배치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이 같은 조처는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무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풀이된다.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2분기 4883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데 이어 3분기에도 759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증권가에서는 4분기에도 LG디스플레이가 6000억원대 영업적자를 기록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LG디스플레이는 오는 27일 결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2022년 3분기 누적 영업손실만 1조2093억원에 달한다. 이로 인해 2022년 전체 누적 영업손실이 2조원에 가까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2021년에는 글로벌 호황에 힘입어 2조230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바 있다. LG디스플레이는 LCD 업황 악화에 따라 지난해 말 경기도 파주의 7세대 TV용 LCD 생산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사업구조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실적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고부가 분야 집중을 통한 사업구조 혁신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1.20 09:03
산업

'배민' 필두로 배달앱 올해 '찐 흑자 시대' 열리나

배달앱이 올해는 '흑자 성적표'를 받아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대표 배달앱 배달의민족이 그 선두에 서서 분위기 반전을 꾀한다. 이어 요기요 역시 수익성 개선에 나서며 유의미한 실적을 받아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27일 배달앱 업계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0월 배민 MAU는 1992만명으로 전년 동기(2070만명) 대비 3.8%가량 감소했다. 같은 기간 요기요 14%(776만명→667만명), 쿠팡이츠 33%(545만명→364만명)로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이처럼 배달의민족은 큰 이용자 이탈 없이 무난한 한 해를 보냈고, 힘주던 배민1 단건배달비 프로모션을 종료하면서 프로모션 비용 지출도 감소했다. 배달의민족은 지난 3월부터 건당 1000원씩만 받던 요금을 정상화한 바 있다. 배민1 주문은 배달의민족 전체 주문의 15% 수준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동안 프로모션 기간에는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손실이 쌓이는 구조였다. 특히 지난해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의장이 직원들에게 개인 주식 999억원을 지급하며 '주식보상 비용'으로 처리됐던 것과 같은 예기치 못한 비용도 올해는 없다. 작년 해당 주식보상 비용으로 배민의 영업적자는 756억원이었는데, 이를 제외했다면 사실상 24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는 게 업계 내 계산이다. 게다가 지난해에는 단건 배달 경쟁이 치열해지며 라이더를 모셔오려는 프로모션 경쟁으로 출혈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한때 서울 강남 일부 지역에서는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건당 배달비가 2만~3만원에 이를 정도였다. 배달의민족은 지난 2018년 52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뒤 2019년 364억원, 2020년 112억원의 적자를 냈는데, 지난해 돌연 적자 폭이 커진 이유기도 하다. 하지만 거리두기 종료와 함께 시장 상황이 급변하면서, 경쟁이 소강상태가 되면서 업계는 배달앱이 예년보다 마케팅 등 비용이 줄어들며 수익성이 개선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거리두기 해제 등에 따른 거래액 규모 영향에 대해서는 공개할 수 없으나, 올해는 전년과 달리 특별한 비용 이슈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수익성 개선에 나선 곳은 주인이 바뀐 요기요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8월 딜리버리히어로에서 GS리테일 등이 참여한 CDPI컨소시엄으로 소속을 옮기면서 서비스를 매만지는 한 해를 보냈다. 요기요는 지난 4월 중요하게 내세웠던 구독 서비스 '요기패스'의 구독료를 4900원에서 9900원으로 인상했고, 다음달에는 GS리테일의 유통 체인을 활용한 퀵커머스 '요마트'에 힘을 줬다. 정리할 서비스는 과감하게 종료했다. 지난 10월 말 요기패스 구독자를 대상으로 제휴 할인 멤버십 혜택을 제공하던 '요기패스라운지'를 접었고, 소상공인 대상 교육 컨설팅 프로그램인 '요기요클래스'도 없앴다. 요기요는 인수 후 별도 실적을 내놓고 있지 않지만, 인수되기 이전 매출은 2300억원(2019년)에서 3530억원(2020년)으로 올랐고, 같은 기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600억원에서 470억원으로 훌쩍 뛴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요기요가 매물로 나왔을 당시 EBITDA 개선에 집중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줄이는 등 긴축 운영으로 수익성을 높여놓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어 올해 성적표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이 나온다. 배달앱 업계 관계자는 "배달앱이 격변하는 상황 속에서도 큰 이탈 없이 이용자를 꾸준히 가지고 가고 있다는 점에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있다"면서도 "흑자 전환할지는 아직 미지수"라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12.28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