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금융·보험·재테크

은행권 '비리 백화점' 지목, 금융당국 CEO 책임제 도입 속도

금융당국이 ‘비리 백화점’으로 지목되고 있는 은행권의 비리를 근절시키기 위해 최고경영자(CEO)에게 책임을 물리게 하는 제도 도입을 예고하고 있다. 최근 은행권에서 수백억원대 횡령 및 고객 계좌 무단 개설 등 내부통제 부실로 인한 각종 사건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내부통제 강화 대책을 일환으로 임원별 책임 범위를 사전 확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을 의원 입법으로 추진하기로 했다.통상 정부 입법보다 의원 입법이 법안 처리 속도가 빠르고 시행 시기도 앞당길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최근 은행권 대형 비위가 하루가 멀다고 터져 나옴에 따라 내부통제 강화 '속도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안은 내부통제 관련 임원별 책임 범위를 사전 확정해두는 '책무 구조도' 도입이 핵심이다. 특히 책무 구조도에는 CEO의 책임도 명시된다. 대형 금융사고나 횡령 같은 조직적·반복적 사고 시 CEO도 문책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현행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는 내부통제 기준 마련 의무 등만 명시돼 있고 임원별 구체적 책무가 정해져 있지 않아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개정안은 임원별 책무를 구체적으로 지정해 문서화하도록 했다.이러한 책무 구조도가 미리 도입됐다면 최근 발생한 대형 금융 사고에도 더 명확한 책임 규명이 가능했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경남은행에서 560억원대 횡령이 발생한 데 이어 KB국민은행 직원들은 업무상 알게 된 고객사들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27억원 규모의 주식 매매 차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지방은행 중 처음으로 시중은행 전환을 노리고 있는 DGB대구은행은 고객 몰래 문서를 꾸며 증권계좌 1천여개를 개설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모두 내부통제 시스템을 통해서는 감지되지 않았고, 외부 민원이나 수사를 통해 덜미가 잡혔다.금융당국 관계자는 "만약 책무 구조도가 사전 도입됐더라면 최근 터진 사건들에 대해 내부통제 실패 책임을 더 간명하고 명확하게 물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앞으로는 훨씬 상식적인 수준의 '내부통제 실패'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8.13 13:39
연예

김광수 코어콘텐츠미디어 대표, 여배우 H 및 CJ E&M과 돈거래 적발되어 기소

티아라의 소속사 코어콘텐츠미디어 김광수 대표가 사기 혐의에 이어 여배우 H와 돈거래를 했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15일 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부장 장영섭)는 김광진 전 현대스위스저축은행 회장이 아들 김종욱의 가수 데뷔 및 활동 자금으로 써달라며 건넨 40억 원 중 20억여 원을 유용한 혐의(사기 혐의)로 김광수 대표를 조사하던 중 수상한 흔적을 발견했다. 그가 여배우 H, CJ그룹 계열사인 CJ E&M 등과 거액의 수상한 돈거래를 한 정황을 포착해 관련 계좌의 입출금 내역 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있는 것. 일부에서는 이를 두고 연예계 비리 전반으로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앞서 대검찰청 산하 저축은행비리 합동수사단은 김광진 전 회장이 고교 후배를 내세워 설립한 회사의 자금 32억 원을 아들의 가수 활동을 위해 횡령한 혐의를 적발해 기소했다. 이 자금은 신촌뮤직 홍보 비용, 김광수 대표 업무추진비, 매니저 급여, 엠넷미디어 광고선전비, 뮤직비디오 촬영비 등의 명목으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수사에서 김광진 전 회장은 김광수 대표의 사기 혐의를 포착했고 검찰은 이를 둘러싼 자금의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김광수 대표는 티아라 씨야 다비치 SG워너비 등을 발굴하며 연예계 '마이더스의 손'으로 불린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4.09.15 09:1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