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IT

이재용·빌 게이츠, '화장실' 때문에 만났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설립자가 저개발 국가의 위생 화장실 보급 사업에서 첫 성과를 거뒀다. 삼성은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 16일 한국을 방문한 빌 게이츠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이사장을 만나 RT 프로젝트 개발 결과를 공유하고 글로벌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면담에서 빌 게이츠 이사장은 게이츠재단의 비전과 현재 추진 중인 사회공헌활동 현황을 설명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의 기술로 인류 난제 해결에 기여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RT 프로젝트는 게이츠재단이 저개발 국가를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신개념 위생 화장실 보급 프로젝트다. 물과 하수 처리 시설이 부족한 저개발 국가에는 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9억명 이상의 사람들이 야외에서 대소변을 해결한다. 이로 인한 수질 오염으로 매년 36만명 이상의 5세 이하 어린이들이 설사병 등으로 사망하고 있다. 게이츠재단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이나 하수 처리 시설이 필요 없는 신개념 화장실의 상용화를 추진해왔다. 재단은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 및 대학에 재정을 지원해 RT 구현을 시도했지만 기술적 난제와 원가 확보 한계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2018년 삼성에 개발 참여를 요청했다. RT 프로젝트를 보고받은 이재용 부회장은 곧장 삼성종합기술원에 기술 개발을 위한 조직 구성을 지시했다. 이메일·전화·화상회의 등으로 빌 게이츠와 진행 경과를 챙겼다. 삼성은 3년 동안의 연구·개발을 거쳐 구동 에너지 효율화·배출수 정화 능력 확보에 성공했다. 배기가스 배출량 저감·내구성 개선·RT 소형화 등 게이츠재단의 유출수 및 배기가스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기술도 완성했다. 삼성은 열처리 및 바이오 기술로 환경에 무해한 유출수를 배출하는 기술로 처리수 재활용률 100%를 달성했다. 삼성 측은 "개발한 가정용 RT는 실사용자 시험까지 마쳤으며, 게이츠재단은 앞으로 양산을 위한 효율화 과정을 거쳐 하수시설이 없거나 열악하고 물이 부족한 저개발 국가에 이를 제공할 계획이다"고 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08.25 15:45
경제

SK바이오 개발 두 번째 코로나19 백신, CEPI 프로젝트 지원 대상 선정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 차세대 백신 개발 프로젝트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9일 자사가 개발 중인 두 번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BP510'이 국제민간기구인 CEPI(감염병대비혁신연합)의 차세대 코로나19 백신 개발 프로젝트의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CEPI가 지난달 차세대 코로나19 백신 발굴을 위한 '웨이브2'(Wave2)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래 최초의 선정 사례다. 웨이브2 프로젝트는 CEPI가 차별화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발굴, 선정해 지원하고자 마련했다.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이하 게이츠재단)으로부터 보조금을 받았다. 현재 막바지 개발 단계에 이른 코로나19 백신과 비교해 보관방법이 용이하고 접종 횟수나 생산성, 면역반응이 개선된 보편적이고 경제적인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게 목표다. 이번에 웨이브2 프로젝트 대상으로 선정된 데 따라 SK바이오사이언스는 CEPI로부터 GBP510의 임상 1상 및 2상 시험에 활용할 100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개발 완료후에는 CEPI와 GAVI(세계백신면역연합), WHO(세계보건기구) 등 국제기구들의 주도하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180여 개국이 참여하는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전 세계에 공급될 예정이다. GBP510은 지난 5월 SK바이오사이언스가 게이츠 재단으로부터 지원금을 받아 미국 워싱턴대학 항원 디자인 연구소와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다. 연내 임상 진입을 목표로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 계획서를 제출했다. 이미 임상시험을 승인받은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NBP2001'과는 별개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12.09 17:47
경제

빌 게이츠 재단, 빈곤국 코로나 백신 공급에 1억5000만 달러 지원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빈곤국에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위해 1억5000만 달러(약 1782억원)의 자금을 지원한다.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이하 게이츠재단)은 7일(현지시간) 지구촌 백신 공급 연대인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인도의 백신 제조사 세럼인스티튜트(SII)와 함께 이르면 내년부터 중하위 경제국 92곳에 코로나19 백신 1억회분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게이츠 재단은 SII의 백신 후보 물질 생산과 향후 GAVI의 백신 유통에 쓰이게 될 1억500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게이츠 공동대표는 "이른 시일 내 모든 사람이 백신에 접근하려면 엄청난 생산 능력과 세계적인 유통망이 필요한데, GAVI와 SII의 협력을 통해 두 조건이 충족됐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향후 더 많은 백신을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신 공급에 다른 제약사들의 동참도 촉구했다. 앞서 GAVI는 백신을 독점하려는 일부 부유한 국가들의 행보가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세계보건기구(WHO), 감염병혁신연합(CEPI)과 손잡고 공정하게 백신을 공급하자는 취지의 '코백스(COVAX)' 구상을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78개국이 코백스에 관심을 표명했으며, 이에 따라 중하위 경제국 92곳이 백신 접근권을 확보했다. SII는 게이츠 재단, CEPI 등의 투자를 바탕으로 백신 상한가를 회당 3달러 미만으로 책정했다. SII는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에서 개발 중인 백신의 생산 자금을 지원 받게 되며, 인허가 취득과 WHO의 사전심사 통과 이후 세계 각지로 백신을 조달하게 될 전망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8.09 09:2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