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이자비용 감당 못하는 기업 역대 최대...대기업 매출 증가율 -2.8%

고금리 부담 속에서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국내 기업들이 역대 최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3만2032곳)의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 비용)은 지난해 219.5%로 전년의 443.7%보다 대폭 하락했다. 이는 2013년 관련 통계 편제 후 역대 최저 수준이다.같은 기간 영업이익보다 이자 비용이 더 많은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의 기업 비중은 34.6%에서 40.1%로 늘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반대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양호한 이자보상비율 500% 이상의 기업 비중은 38.9%에서 31.7%로 줄어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강영관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대출 금리가 상승하면서 기업들의 차입금 평균 이자율이 상승하고 금융비용 부담률도 상승했다"며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율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조사 대상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도 모두 나빠졌다. 먼저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 증가율은 2022년 16.9%에서 지난해 -2.0%로 크게 하락했다. 지난 2020년(-3.2%), 2015년(-2.4%)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낮은 수치다.제조업은 전자·영상·통신장비, 석유정제·코크스를 중심으로 2.7%, 비제조업은 운수·창고업,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1.2% 각각 매출액이 줄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18.1→-2.8%)과 중소기업(12.3→1.4%)의 매출액 증가율이 나란히 떨어졌다.연간 총자산증가율도 2022년 7.8%에서 지난해 5.4%로 낮아졌다. 수익성 지표를 보면, 지난해 기업들의 영업이익률(3.8%)과 세전 순이익률(4.4%)은 2022년의 5.3%, 5.1%와 비교해 모두 하락했다. 이 중 영업이익률은 2013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제조업은 영업이익률이 6.3%에서 3.2%로, 세전 순이익률이 5.1%에서 4.4%로 각각 하락했다. 비제조업은 영업이익률이 4.1%에서 4.4%로 올랐으나, 세전 순이익률이 3.7%에서 3.6%로 떨어졌다.조사 대상 기업들의 부채 비율은 2022년 105.0%에서 지난해 102.6%로 다소 낮아졌고, 차입금 의존도(28.8%)는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강 팀장은 향후 전망에 대해 "2024년에는 전반적으로 금리 부담이 완화되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개선되면서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6.12 13:32
산업

30대 그룹 중 지난 14년간 자산 증가율 1위 기업은 신세계

신세계그룹이 최근 10년간 국내 30대 그룹 중 자산 증가율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27일 2008∼2022년 자산(공정자산) 기준 상위 30대 그룹의 자산과 매출액, 고용인원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밝혔다. 자산 기준으로 지난 14년간 가장 덩치를 키운 그룹은 신세계였다. 신세계그룹의 자산 총액은 2008년 11조9560억원에서 지난해 60조4870억원으로 405.9% 증가했다.신세계그룹은 스타벅스와 지마켓, W컨셉, 야구단 인수합병 등으로 덩치를 지속적으로 키워왔다. 최근에는 지마켓을 인수하는데 3조원 이상을 쏟아붓기도 했다. 신세계 다음으로 자산 증가율이 컸던 그룹은 SK그룹(281.0%), 한화그룹(239.3%), CJ그룹(230.2%), 현대자동차그룹(211.5%) 순이었다.또 국내 30대 그룹에서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이 차지하는 자산 비중이 꾸준히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30대 그룹의 자산 총액은 2373조7230억원으로 2008년(931조7330억원)보다 154.8% 증가했다. 같은 기간 4대 그룹들의 자산 총액은 416조90억원에서 1255조7050억원으로 201.8% 증가했다.4대 그룹이 30대 그룹에서 차지하는 자산 비중은 2008년 44.6%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해 2013년(50.9%) 50%를 돌파했다. 이후 2020년 54.7%까지 올랐다가 2021년 54.2%, 2022년 52.9%로 소폭 하락했다.30대 그룹의 매출액은 2008년 939조6190억원에서 지난해 1871조7110억원으로 99.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상위 4대 그룹의 매출액은 474조3460억원에서 1032조3860억원으로 117.6% 증가했다. 4대 그룹이 30대 그룹에서 차지하는 매출액 비중도 2008년 50.5%에서 2022년 55.2%로 4.7% 높아졌다.하지만 자산이나 매출 증가세와 비교하면 고용이 크게 늘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그룹의 고용인원은 2008년 93만2485명에서 지난해 140만724명으로 5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자산 증가율(154.8%), 매출 증가율(99.2%)에 훨씬 못 미쳤다.4대 그룹이 30대 그룹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3.2%로 2008년(47.7%)보다 5.5% 상승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6.27 10:04
경제

작년 카페베네 매장 폐점률 '최고', 빽다방 매장은 17배 '폭증'

지난해 커피 프랜차이즈 가운데 폐점률이 가장 높은 곳은 카페베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빽다방은 2014년에 비해 매장이 17배 이상 증가했다. 문 닫은 카페베네 매장 140개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이하 조정원)은 10개 커피 프랜차이즈의 지난해 가맹본부 현황과 가맹사업 관련 정보를 담은 '프랜차이즈 비교정보'를 19일 발표했다.조사 대상은 이디야커피·카페베네·빽다방 등이었으며, 직영점만 운영하는 스타벅스는 비교 대상에서 제외됐다.이에 따르면 카페베네는 가맹점 폐점률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카페베네와 가맹점 계약을 종료했거나 해지한 곳은 총 140개로 폐점률은 14.6%였다. 새로 카페베네 매장을 연 곳은 75개에 불과해 전체 가맹점수는 821개로 전년보다 7.3% 줄었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카페베네의 적자 수준과 불안정한 재무건전성 등 때문에 가맹점주들이 카페베네와 손을 잡길 꺼린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 당기순손실만 해도 4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인 18억원보다 그 폭이 더욱 커졌다.지난해 실적도 좋지 않았다. 카페베네의 지난해 영업손실은 43억8199만원으로, 10개 브랜드 가운데 유일하게 마이너스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 2013년부터 적자 전환한 당기순손실 규모는 지난해 더욱 커졌다.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339억9861만원으로, 전년 74억9741만원보다 78% 급증했다.카페베네는 지난해말 사모펀드에 최대주주 자리를 내주며 부채비율을 줄여나갔지만 지난해까지만 해도 부채비율이 1000%를 넘었다.지난해 카페베네의 부채비율은 1158%로 10대 브랜드 가운데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에 비해 자기자본비율은 7.95%에 불과했다. 이에 카페베네는 작년 12월말 재무건전성을 위해 사모펀드 K3제5호가 보유한 전환상환우선주 149만1300주를 전량 보통주로 전환시켰다. 올 상반기 카페베네의 부채비율은 413%, 자기자본비율은 19.5%였다. 빽다방 매장은 '폭풍 증가'빽다방은 지난해 무서운 기세로 매장 수를 늘렸다. 빽다방의 가맹점 수는 1년 사이 17배 증가했다. 지난해 빽다방 가맹점은 총 412개로, 전년 24개에서 크게 증가했다. 현재 빽다방 매장의 94%가 지난해 새로 문을 연 곳인 셈이다. 빽다방의 창업비용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했지만 3.3㎡당 인테리어·간판·집기 및 설비 등 비용은 805만원으로 10개 브랜드 중 가장 높았다.성장성 측면에서 빽다방의 영업이익 증가율은 73.7%로 10대 브랜드 가운데 가장 높았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이 가장 높은 곳은 4억8289만원의 투썸플레이스였다. 하지만 창업비용은 가장 비쌌다. 가맹금·교육비·보증금 등이 포함된 최초 가맹금 3915만원과 인테리어·설비 및 집기 등 비용 2억8771만원으로 약 3억2686만원이 필요했다.연평균 매출액은 가맹점 면적이 넓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투썸플레이스를 비롯해 카페베네·엔제리너스·파스쿠찌 등 가맹점 면적이 130㎡(약 39평)를 넘는 브랜드의 연평균 매출액은 3억원이 넘었다. 30㎡(약 9평) 이하인 요거프레소·커피베이는 약 1억원 가량이었다.자산증가율은 이디야커피가 119.2%로 가장 높았다. 매출액 증가율은 35.2%의 할리스커피로 나타났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이디야커피가 영업이익률 12.1%, 매출액 순이익률 9.7%, 자기자본순이익률 45%로 가장 높았고, 요거프레소는 부채비율 35%에 자본비율은 74%로 가장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고 있었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 2016.09.20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