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신사업 비중 50%까지 늘린다는 LS 구자은, 전기차 충전사업에 올인

대기업들이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면서 앞다퉈 전기차 충전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이제 막 열린 시장이라 주도권 싸움에 불이 붙고 있다. 재계 16위인 LS그룹도 구자은 회장을 필두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사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460조 전기차 충전시장 활짝 29일 업계에 따르면 SK, 현대차, LG, 롯데, 한화, GS, LS 등이 전기차 충전인프라 사업에 가세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경연장이 되고 있다. 전기차 보급이 급속도로 늘면서 충전인프라 시장이 향후 ‘블루칩’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되면서다. 전기차 생산, 전기차 배터리, 배터리 소재 경쟁에 이어 다음으로 전기차 충전인프라 시장이 각광받고 있는 모양새다. 현재 절대강자가 없는 상황이라 기업들이 과감하고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LS도 기존 사업의 인프라와 노하우를 내세워 전기차 충전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전기·전력 분야에서 국내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LS는 지난 4월 전기차 충전 신규 법인 LS E-Link(이링크)를 E1과 공동으로 설립했다. LS이링크가 LS그룹 전기차 충전 분야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며 그룹의 역량을 결집시킨다는 계획이다. LS전선과 LS일렉트릭이 국내 1위 전력 솔루션 회사로 꼽히고, E1은 전국에 350여개의 가스 충전소를 갖고 있다. LS가 자랑하는 전기·전력 기술력과 충전소 운영 노하우를 적극 활용한다면 전기차 충전인프라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LS그룹 관계자는 “전기차로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단위 충전소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충전 기술뿐 아니라 안정적·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력 엔지니어링의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차별적인 경쟁력을 자신했다. LS전선은 국내 최초 800V 고전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차용 권선을 양산 중이다. 지난 7월에는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액체냉각 방식(액랭식)의 초급속 충전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했다. 국내 전기차 기술 표준화에 따라 향후 보급될 400kW 이상 초급속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50kW~250kW)의 공랭식이 아닌 액랭식을 적용할 방침이다. LS전선 관계자는 “LS전선은 현재 현대차·기아에 독점적으로 전기차 케이블을 공급하고 있다. 전기차의 사양과 컨디션 등에 맞춰 800V 이상의 고전압 전기차용 권선도 개발할 예정”이라며 “초급속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에 비해 충전 시간이 2배 이상 빠르다. 액랭식은 충전케이블의 굵기와 무게를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LS일렉트릭도 배전 분야에서 안정적인 스마트 전력 설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LG전자는 GS에너지 등과 손을 잡고 전기차 충전기 업체인 애플망고를 인수하는 등 전기차 충전인프라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LG전자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충전인프라 시장은 2023년 550억 달러(약 78조원)에서 2030년 3250억 달러(약 46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LG가 GS와 손을 잡으면서 ‘범LG’가의 행보가 더욱 주목을 모으고 있다. LG에서 분리한 LS도 향후 ‘범LG'가에 합류해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을 전망이다. LS 관계자는 “전기차 충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LG, GS 등은 각자의 특장점을 갖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 기업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충전사업 계획을 발표한 만큼 하반기에 조금씩 성과들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전·반’ 생태계 미래 먹거리 기회 모색 구자은 회장은 올해 취임과 동시에 ‘전기화 시대의 가속’을 예측했다. 산업 전환기를 기회로 보고 전사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거대한 흐름은 전기화 시대를 더욱 가속할 것이다. 전기·전력·소재 분야 기술력을 앞세워 미래 종합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7월에는 그룹 임원 리더들을 모은 뒤 특강을 자청했다. 구 회장은 ‘왜 지금이 LS그룹에게 기회의 시간인지’에 대해 프리젠테이션 형태로 발표하며 특별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는 “전례 없는 기후 위기와 탄소 중립을 향한 전 세계적인 흐름은 전기화 시대를 더욱 앞당길 것이다. 이런 큰 변화의 시기는 LS에게 있어서 다시 없을 큰 기회”라며 “LS도 배터리, 전기차, 반도체 즉 '배·전·반'이 이끄는 산업 생태계 속 소재, 부품 등의 영역에서 숨은 기회들을 반드시 찾아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냉철한 자기성찰을 통해 변화를 당부하기도 했다. 신사업 비중을 2030년까지 50%까지 증가시켜야 한다는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며 채찍질을 가했다. 그는 “현재 LS는 안전한 육지와 같은 안정된 사업구조에 머물러 새로운 땅으로 도전하지 않으려는 것과 같은 모습이다. 우리가 가보지 않은 여정에 두려움 없이 뛰어들어야 한다”며 “구성원들은 새로운 도전과 성장에 대한 기회를 가장 갈망하고 있다. 리더들이 잘 이끈다면 충분히 가능한 미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 회장은 취임 후 ‘양손잡이 경영’을 통해 기존 주력 사업과 미래 신사업을 잡겠다는 의지를 피력해왔다. 이를 위해 본격적인 현장 경영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5~7월 충청·경상·전라 등 전국 14곳의 자회사·손자회사 사업장을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현안들을 보고받았다. LS그룹 관계자는 “회장님이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현장 경영도 구상하는 등 전기화 시대를 대비해 더욱 발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내년 1월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 가전 전시회인 CES에 계열사 대표들과 함께 참여하는 등 지속 성장 해법을 모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09.30 07:00
산업

K배터리, 중국과 격차 점차 벌어지는 이유 '중국업체 독점 파트너십'

‘제2의 반도체’라고 불리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폭증하면서 중국 배터리사들도 결정적인 수혜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CATL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69GWh를 판매해 1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보다 111% 성장하면서 점유율이 29.9%에서 34%로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증가한 428만5000대로 잠정 집계되면서 배터리사들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다만 중국 업체들의 규모 확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판매량에서 전년 동기보다 4% 증가한 28GWh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BYD(24GWh), 4위는 일본 파나소닉(20GWh)이 차지했다. 한국의 SK온(14GWh)과 삼성SDI(10GWh)는 각 작년 동기보다 124%, 50% 판매량이 증가하며 5위와 6위에 랭크됐다. 국내 배터리사의 사용량이 증가하긴 했지만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큰 폭으로 떨어졌다. K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26%로, 전년 동기 대비 9%나 하락했다. K배터리 3사 합계 판매량(52GWh)이 CATL의 69GWh에도 미치지 못했다. 2020년 상반기에만 해도 LG에너지솔루션의 시장 점유율이 23.1%로 세계 1위였다. 당시 중국의 CATL과 BYD는 각각 22.7%, 5.7%에 불과했다. 그러나 BYD의 올해 상반기 점유율도 12%까지 올라와 중국 상위 2사의 점유율이 46%까지 오르며 전체 시장의 절반에 육박하게 됐다. 한국과 중국 배터리 업체의 전세 역전 상황은 자국의 전기차 판매량에서 기인한 것이다. 중국이 자국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21% 증가한 247만4000대를 판매했다. 반면 K배터리의 주요 고객사가 있는 미국과 유럽 시장은 각 59%와 5% 성장에 그쳤다. 중국 전기차 업체는 대부분 자국 배터리 업체와 계약을 맺고 있다. 중국 CATL과 BYD는 자국의 전기차 업체와 독점적인 파트너십을 발판으로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제조사이기도 한 BYD는 64만7000대를 판매해 테슬라(57만5000대)를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랐다. 여기에 중국의 상하이자동차(SAIC)도 올해 상반기에 37만대나 판매하며 3위에 올랐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24만8000대로 5위를 기록했다. 현대·기아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07.20 07:03
연예

르노삼성, SM3 Z.E. 사전판매 시작

하반기부터 국내 전기차시장을 둘러싼 국내외 업체들의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내외의 완성차 업체들이 올 하반기에 속속 전기차를 선보이며 시장 선점에 나설 예정이기 때문이다. 가장 발빠르게 움직인 곳은 르노삼성차. 르노삼성은 올 10월 양산예정인 전기차 ‘SM3 Z.E’를 업계 최초로 일반 소비자들에게 사전판매한다고 15일 밝혔다.SM3 Z.E.는 국내 첫 준중형급 전기차로 1회 충전시 135km를 달릴 수 있다. 완속 충전 방식의 경우 일반 220V를 이용해 최대 6~9시간 이내 완충이 가능하며, 급속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면 30분만에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르노삼성측의 설명이다.SM3 Z.E. 가격은 당초 6000만원대로 예상됐지만 4500만원(SE Plus 모델 기준)으로 낮아졌다. 르노삼성차가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과감하게 가격을 낮춘 것이다. 여기에 환경부 보조금 1500만원과 각 지자체의 별도 보조금의 추가 지원을 받게 되면 실 구매가는 더욱 낮아지게 된다. 일례로 제주도의 경우 개인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어 1900만원이면 SM3 Z.E.를 구매할 수 있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접근하기 쉬운 준중형급 전기차 모델을 국내에 가장 먼저 선보였기 때문에 전기차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고 본다”며 “전기차 선도도시를 판매거점으로 올해 500~1000대 가량의 판매목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르노삼성차 뿐만아니라 기아차와 한국GM 등 다른 업체들도 하반기 전기차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기아차는 관공서에 시범적으로 공급된 전기차 모델인 ‘레이 EV’의 일반 판매를 9월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가격은 기존 4500만원에서 3500만원으로 1000만원 가량 가격을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 또 기아차는 한국지엠도 오는 9~10월께 전기차 ‘스파크 EV’를 출시할 예정이다. 가격은 업계 최저 가격으로 책정할 것으로 알려졌다.국내 업체뿐만 아니라 수입차 업체들도 전기차 모델을 출시한다. BMW코리아는 내년 초에 전기차 ‘i3’와 ‘i8’을 선보일 계획이며 폭스바겐코리아도 내년 상반기에 골프 6세대의 전기차 모델 출시를 준비 중이다. 특히 BMW의 i3는 기존 모델에 전기차 베터리를 장착하는 다른 브랜드들과 달리 처음부터 전기차를 위해 설계된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자동차업계가 경쟁적으로 전기차 가격을 내리고 출시를 서두르는 까닭은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익을 다소 덜 내더라도 자사의 전기차가 많이 운영될 경우 향후 충전 규격이나 인프라 확충, 보조금 책정 등의 관련 정책을 자사에게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형구 기자 ninelee@joongang.co.kr 2013.07.17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