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자동차

휘발유·경유 '가격역전' 심화, 디젤차 운전자 한숨 깊어진다

디젤차 운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값싼 '서민의 기름'으로 인식됐던 경유 가격이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어서다. 업계에서는 전동화 열풍에 가까스로 명맥을 이어 가던 디젤차 시장의 '호흡기'가 떨어지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30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9시 기준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당 각각 1660.81원, 1866.73원을 각각 기록했다. 경유가 휘발유보다 205.92원 비싸게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유는 휘발유보다 싸게 판매됐다.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돼 휘발유보다 세금이 낮게 매겨지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월까지만 해도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1635.22원으로 경유(1453.53원)보다 180원가량 비쌌다. 그러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유럽을 중심으로 경유 공급이 부족해졌고, 이에 지난 5월 11일 경유 가격(1947.59원)이 휘발유 가격(1946.11원)을 추월했다. 국내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넘어선 것은 2008년 6월 이후 약 14년 만이다. 이후엔 등락을 반복하다 6월 13일부터 이날까지 4개월 넘게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이번 가격 역전 현상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경유 수급난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다. 유럽은 경유를 연료로 쓰는 디젤 차량이 많은데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이동이 줄자 현지 정유업체들이 경유 생산을 줄였다. 여기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경유 수급난이 가중된 것이다. 정유업계는 당분간 역전 현상 해소가 어렵다고 보고 있다. 경유는 난방유로도 쓰이는데, 겨울이 다가오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디젤차 운전자들의 부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디젤차 운전자 A 씨는 “최근 기름을 넣을 때마다 높아진 경유 가격에 깜짝깜짝 놀란다”며 “최대한 짧은 거리는 걸어 다니고, 아니면(거리가 멀면)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타고 다닌다”고 하소연했다. 업계에서는 치솟는 경유 가격에 전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까지 겹치며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차의 미래가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디젤차 등록 대수는 급감하는 추세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디젤차는 총 24만6674대가 등록됐다. 전년 동기 대비 27%나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전기차가 11만9841대로 73%가량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체적으로 차 판매량이 줄었는데 그중 디젤차의 판매량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며 “유가 상승으로 인해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으나 디젤차의 경우 환경 문제도 있다 보니 친환경 차량인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눈을 돌리는 운전자들이 많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0.31 07:00
산업

올해 국내 정유업체 수출액 '껑충'…작년 대비 2배↑

올해 1월에서 5월까지 국내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2배 수준으로 늘었다. 3일 대한석유협회와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계의 올해 1∼5월 누적 수출액은 242억6500만달러(약 31조4960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실적인 120억2800만달러(약 15조6123억원)의 2배가 넘는 수치다. 같은 기간 석유제품 누적 수출물량은 1억9771만배럴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7% 증가했다. 수출물량은 16% 정도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수출액은 100% 이상 늘어난 셈이다. 특히 5월 석유제품 수출액은 61억4700만달러(약 7조9788억원)로 집계돼 월별 수출액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5월 기준 석유제품 수출액은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반도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수출액 증가의 주된 배경은 고유가로 인한 수출단가 상승이 꼽힌다. 올해 1∼5월 석유제품 평균 수출단가는 배럴당 122.7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3% 상승했다. 5월의 석유제품 수출단가는 배럴당 142달러로,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았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통상 정유업계 매출액 중 수출액 비중은 54% 안팎"이라면서 "지금은 내수보다 수출에서 더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유사들이 공장 가동률을 높인 점도 수출액 증가에 영향을 줬다. 국내 정유업체의 1∼5월 기준 정제설비 가동률은 지난해 72.8%에서 올해 79.2%로 상승했다. 올해 5월까지 국내 석유제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나라는 호주다. 국내 정유사들의 호주 수출물량은 2957만4000배럴로 집계됐다. 이어 싱가포르에 2318만6000배럴, 중국에 2133만8000배럴을 수출했다. 호주는 최근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과 엑손모빌이 정제설비를 폐쇄해 석유제품 수급난을 겪고 있는데 국내 정유사가 이 기회를 활용해 발 빠르게 수출 물량을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07.03 15:11
경제

GS그룹, 친환경 강조하지만 '대세' 수소는 외면?

친환경 차세대 에너지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대기업들이 저마다 ‘수소 경제’ 실현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경쟁사와는 달리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수소 경제에 특별한 움직임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GS그룹에서 정유·화학 계열인 GS칼텍스의 매출 비중이 60%에 육박한다. 정유·화학의 이미지가 강하다 보니 친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로 인해 GS는 이사회 산하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ESG 경영을 본격화하고 있다. GS그룹 각 계열사의 최고환경책임자(CGO)로 구성된 친환경협의체를 출범하기도 했다. 탄소중립을 위해 수소와 전기가 친환경 에너지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화학뿐 아니라 정유업체들도 앞다퉈 수소 분야에서 미래 산업을 물색하고 있다. GS칼텍스의 경쟁사인 현대오일뱅크는 미국 수소기업 에어프로덕츠와 손을 잡았다. 원유 부산물과 직도입 천연가스로 수소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까지 블루수소 10만톤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도 자회사 SK인천석유화학과 SK E&S에서 나오는 수소를 액화수소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S-OIL은 연료전지 기반 청정에너지 솔루션 기업인 에프씨아이 지분 20%를 인수하는 등 수소산업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GS칼텍스는 특별한 수소산업 계획이 없다. 현대차와 수소충전소 구축에 협력을 한다는 것 외에 직접적인 수소 관련 사업에 대한 움직임이 없다. GS칼텍스는 전남 여수 제2공장에 2조7000억원을 들여 올레핀생산시설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GS칼텍스에 따르면 석유화학 제품의 기초 유분인 에틸렌을 연간 70만t, 폴리에틸렌 50만t의 생산이 가능한 시설이다. 에틸렌의 생산 확대로 정유의 비중을 점차 줄여나간다는 구상이다. 석유화학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겠지만 친환경과는 거리가 멀다. 허태수 회장은 신년사에서 “핵심사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다양한 분야로 신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GS와 GS칼텍스의 신사업에는 수소가 포함되지 않고 있다. GS그룹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그룹에서 수소와 관련한 새로운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건 특별히 없다. 벤처 발굴과 오픈이노베이션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탄소중립 기조 등 친환경이 강조되면서 에너지 대전환의 기로에 서 있지만 GS는 수소 사업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GS칼텍스의 경우 해외의 매출 비중이 크다. 여전히 개발도상국 등에서는 석유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높다”고 설명했다. GS그룹은 지난해 8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벤처 투자법인 ‘GS퓨처스’를 설립했다. 벤처 투자로 미래 사업의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GS는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해 ‘더 지에스 챌린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달 더 지에스 챌린지에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6개사를 선정하고 스타트업 캠프를 개최했다. 허태수 회장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은 사회와 고객의 요구다. 기존 사업의 에너지 절감 및 효율화와 함께 신사업을 추진할 때에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5.14 07:01
연예

정유업체, 지난 해 석유제품 수출 최대치 기록

지난해 정유업계가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29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체가 2016년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은 2015년보다 0.7%증가한 4억5524만6000배럴로 사상 최대치를 이어간 것으로 밝혀졌다.국내 정유사는 최근 수년간 원유도입량의 약 50% 석유제품으로 정제해 수출하고 있다. 수출상대국 수도 지난 해 67개국이었다. 지난해 한국의 최대 석유제품 수출국은 중국으로 전체 수출량의 19%인 약 8700만 배럴을 수출했다. 그 뒤로 싱가포르(16%), 호주(10%), 일본(9%), 대만(6%), 미국(6%) 순이다. 석유제품별로는 경유가 전체의 37%인 1억6827만 배럴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항공유(21%), 휘발유(16%), 나프타(10%) 순으로 고부가가치 경질유 위주로 수출하고 있다. 2017.01.29 14:5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