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신한금융, 2027년까지 5000만주 소각...주주환원율 50% 목표

신한금융그룹이 자사주 5000만주 소각을 포함한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내놨다.신한금융지주가 26일 공시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2027년까지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13%로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유형자기자본이익률(ROTCE)을 각 10%, 11.5%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국내 금융사 최초로 도입한 ROTCE는 그룹 자본에서 영업권 등 무형자산을 뺀 유형 자기자본을 활용해 실질적 자본 수익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아울러 신한금융은 주당 현금 배당액과 전체 배당 규모를 해마다 늘리고 지속적으로 자사주를 소각해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현금배당액·자사주매입액/당기순이익)을 50%까지 높이기로 했다.특히 현재 5억주인 주식 수를 2027년 말까지 4억5000만주 이하 규모로 감축해 주당 가치를 키울 계획이다.신한금융은 투자자와의 소통 강화 차원에서 이달 26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그룹 홈페이지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과 관련한 개인투자자의 질문을 취합한 뒤 같은 달 21일 그룹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답변을 내놓을 예정이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7.26 12:10
금융·보험·재테크

금융 수장들 수익 껑충...진옥동 수익률 최고, 양종희 장기성과급 최대

지난해 주주가치 제고 목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했던 금융사 수장들이 함박미소를 짓고 있다. 올해 기업밸류업 프로그램으로 금융주가 최대 수혜주로 꼽히며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4대 금융주의 주가가 20% 이상 급등하면서 수장들의 자사주는 물론이고 장기성과 연동주식 가치도 수직상승하고 있다. 진옥동, 자사주 매입 수익률 42% 최고 2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저평가의 금융주들이 올해 일제히 상승하면서 자사주를 매입했던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이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 주가 하락 국면에서 자사주를 사들였던 CEO들이 많게는 40% 이상 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진 회장은 지난해 6월 3만4350원에 5000주를 매수했다. 매수금액은 1억7175만원이었다. 신한지주 주가는 진 회장의 매수 이후 상승하기 시작했고, 연말에는 4만원선을 뚫고 상승했다. 정부의 기업밸류업의 수혜주로 지목된 금융주 열풍에 신한지주 주가는 지난 14일에는 5만원을 넘어섰다. 20일 기준으로 진 회장의 수익률은 42%에 달한다. 이승열 하나은행장도 하나금융지주 주가가 급등하면서 쏠쏠한 수익을 거뒀다. 이 은행장은 지난해 9월 주당 3만9500원에 하나금융지주 주식을 1000주 매입했다. 하나금융지주는 금융주 중 상승률이 가장 두드러지면서 이 은행장의 주식가치도 급등했다. 3만원대의 주가는 올해 2월 단숨에 5만원선을 넘었다. 주가가 수직상승했지만 이 은행장은 아쉽게도 지난 2월 21일 5만3000원에 주가를 매도했다. 기존 1100주 수량을 더해 모두 2100주의 주식을 매도했고, 수익률 35%를 기록했다. 만약 비상임이사 자리에서 퇴임하는 절차가 진행되지 않았다면 더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었다. 하나금융지주는 지난 13일 6만원선도 뚫고 고공행진 중이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도 자사주 매입 이후 수익률이 준수하다. 지난해 9월 임 회장은 1만1880원 가격에 우리금융지주 주식 1만주를 매입했다. 우리금융지주가 4대 금융지주 중 상승률이 가장 떨어졌지만 20일 기준으로 1만4710원까지 오르며 수익률 24%가 넘어섰다.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21일 1만5000원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정부가 지난 1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계획’을 발표하면서 금융사 주가는 상승곡선을 그려왔다. 지난 19일에는 정부가 밸류업 정책의 일환으로 기업의 자사주 소각분이나 주주배당 증가분에 대해 법인세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배당을 받는 주주에게 세제 혜택을 줄 것이라는 호재가 이어져 금융사 CEO들의 수익률은 계속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양종희, 장기성과보상 주식 최대 보유 4대 금융 수장들은 자사주 매입 외에도 장기성과보상 연동주식도 보유하고 있어 주가 반등을 반기고 있다. 4대 금융사 모두 장기성과보상 연동주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단기성과보상과는 달리 주로 재임 기간 3년의 장기성과평가를 통해 지급 수량과 지급 금액이 최종 결정되는 보상이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의 경우 2023년 11월부터 2026년 11월까지 평가에 따라 지급 시점 기준 주가를 반영해 장기성과급이 지급될 예정이다. 금융사 수장들은 주가가 오를수록 더 많은 장기성과급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인 셈이다. 양 회장은 5만5548주의 장기성과보상 연동주식이 책정돼 4대 금융그룹 수장 중 가장 많다. 1년 기준으로 1만8516주의 성과 연동주식이 책정됐다. 두 번째로 많은 보상주식을 갖고 있는 수장은 임종룡 회장으로, 모두 4만9997주가 지급될 예정이다. 진옥동 회장이 2만982주,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2만454주의 장기성과 연동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양 회장은 주주가치 제고와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지난 19일 5000주를 매입했다. KB금융 매입가격이 주당 7만7000원으로 총 3억8500만원 규모다. 기업밸류업 수혜주로 최근 주가가 급등했지만 ‘아직 고점이 아니다’는 신호를 주고 있는 셈이다. 주가순자산비율(PBR)로 따지면 금융주들은 타업종 대비 주가가 낮은 편이다. PBR은 주가의 저평가, 고평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데 1.0배 이하면 저평가 수준으로 인식된다. 금융주들은 PBR 0.3~0.5배에 몰려있다. 4대 금융사 중 KB금융지주가 0.51배로 가장 높고, 우리금융지주가 0.36배로 가장 낮다. 시총 1위 삼성전자는 PBR 1.52배 수준이다. 은행 관계자는 “금융주들은 오래 전부터 저평가, 방어주 성향이 강했다. PBR로 따지면 주가는 여전히 타업종의 종목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말도 안 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일본의 경우 지난해 3월 PBR 개선 정책 시행 이후 일본은행들의 주주환원율이 상향됐다”며 “당시 PBR 0.5배대에 거래되고 있던 일본 은행주들은 현재 PBR이 0.7배를 상회하고 있고, 주요 3개 대형은행은 1년 만에 주가가 평균 50% 이상 상승했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3.22 07:00
금융·보험·재테크

'자사주 소각 물결' 왜? …현대차, 올해 1위

국내 상장사 사이에서 ‘자사주 소각 물결’이 일고 있다. 최근 3년여 간 11조원의 자사주가 매입된 뒤 소각됐다. 금융회사들이 이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가 올해 자사주 소각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20년부터 현재까지(올해 공시 기준) 3년여 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 상장사의 자사주 소각 규모가 11조원에 육박한다. 자사주 소각 공시 건수는 2021년 32건에서 2022년 64건으로 두 배로 늘어났다. 금액 규모는 같은 기간 2조5407억원에서 3조1350억원으로 23% 증가했다.올해 자사주 소각은 공시 기준으로 11건과 1조2724억원 수준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상장사들은 최근 주가 하락기와 맞물려 주주들의 주주환원 확대 목소리가 커지자 주가 부양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부각됐고, 이와 관련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올해 현대차의 자사주 소각 움직임이 가장 눈에 띈다. 현대차는 올해 3154억원으로 가장 많은 자사주 소각을 공시했다. 현대차는 2022년 9월 20만원대까지 올랐지만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 악재를 만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12일 현재 17만3400원에 머물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주주환원을 위해 배당 외에도 자사주 소각을 시행하며 주주들의 마음을 달래고 있다. 현대차 다음으로는 올해 KB금융지주가 3000억원 자사주 소각을 공시하며 뒤를 잇고 있다. 또 금융사 중에서는 신한지주와 하나금융지주도 각 1500억원의 자사주 소각을 공시했다. 이어 메리츠화재 1792억원, KT 1000억원, 콜마홀딩스 537억원, 풍산홀딩스 86억원 순이다. 상장사의 자사주 취득과 소각은 주가 하락기에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지난해 자사주 소각이 배로 늘어난 것도 증시가 2021년 고점을 찍고 약세로 돌아서자 상장사들이 주주들의 주가 부양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상장사들의 자사주 순취득액은 주가 하락기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이익 소각 증가세는 주주환원 확대 차원에서 고무적"이라고 말했다.자사주 이익 소각은 기업이 이익잉여금으로 자사주를 매입 후 없애는 것으로 자본금은 줄어들지 않는다. 대신 유통 주식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주가 부양 효과가 있다.선진국에서는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배당보다 주가 부양 효과가 큰 주주환원 정책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은 그동안 자사주 소각에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김우진 서울대·임지은 한성대 교수의 '자사주 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자사주 매입, 소각 현황을 살펴본 결과 37.44%가 자사주를 매입했다. 하지만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2.44%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이 기업가치 제고와 지배구조 개선 측면에서 국내 상장사들도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올해 한국 증시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주주 권익 보호를 위해 '자사주 취득·처분 공시 강화' 등의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2.13 06:5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