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부동산일반

금리 하단 4% 올랐는데, 가계대출도 고공행진 '아파트 사려고'

국내 시장금리와 은행의 대출·예금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불과 한 달 전까지 3%대였던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하단이 4%대로 일제히 올라섰고, 상단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이어 고정금리와 신용대출 금리 등까지 7%대에 육박하고 있다.하지만 가계대출 증가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으면서 금융 위기에 대한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이달 들어 5대 은행에서만 3조원 이상의 가계대출이 불어나는 등 이사 철과 부동산 거래 회복 등의 여파로 증가 속도가 오히려 더 빨라지는 추세다.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20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4.240∼6.725% 수준이다.약 한 달 전 9월 22일(연 3.900∼6.490%)과 비교해 하단이 0.340%포인트(p) 뛰면서 4%대로 올라섰다.신용대출 금리(1등급·만기 1년·연 4.620∼6.620%)도 한 달 만에 상·하단이 모두 0.060%p씩 올랐다.같은 기간 두 금리가 주로 지표로 삼는 은행채 5년물, 1년물 금리가 각 0.270%p(4.471→4.741%), 0.060%p(4.048→4.108%) 상승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은행채 등 시장 금리는 최근 미국과 한국 긴축 장기화 전망과 은행채 발행 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꾸준히 올랐고, 지난 19일(현지 시간)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16년 만에 5%를 넘어서면서 상승세가 더 강해지는 분위기다.이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연 4.550∼7.143%) 역시 상단과 하단이 각 0.280%p, 0.044%p 높아졌다.시장금리와 예금금리 상승분이 뒤늦게 반영되면서. 변동금리의 주요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가 석 달 만에 0.160%p(신규취급액 기준 3.660→3.820%) 올랐기 때문이다.결국 최근 시장금리가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나 변동금리 모두를 밀어 올리면서, 하단의 3%대 금리는 사라지고 고정금리와 신용대출 금리까지 6%대 후반으로 7%대에 바싹 다가선 셈이다.더구나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 인상 폭이 지표금리인 은행채나 코픽스 상승 폭보다 큰 것은, 주요 시중은행이 가계대출 억제 차원에서 스스로 가산금리를 늘리고 우대금리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대출금리 수준을 더 높였기 때문이다.KB국민은행은 앞서 11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3%p 올렸고, 우리은행도 13일부터 같은 상품군의 금리를 최대 0.3%p 높였다. NH농협은행은 17일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를 최대 0.3%p 축소했다.하지만 이처럼 가파른 금리 상승과 추가 인상 전망과 상관없이, 최근 은행권 가계대출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7.143%인 A 은행의 시계열을 보면, 현재 금리는 지난해 12월(7.603%) 이후 약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작년 말 당시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고금리 여파로 1년 가까이 계속 뒷걸음치던 시기였다.하지만 현재 대출 창구의 분위기는 전혀 다르다.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0월 19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85조7321억원으로 9월 말(682조3294억원)보다 3조4027억원이나 더 늘었다.이달 들어 약 20일 만의 증가 규모가 이미 2021년 10월(+3조4380억원) 이후 2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특히 주택담보대출이 2조6814억원(517조8588억원→520조5402억원) 불었고, 지난달 1조762억원 줄었던 신용대출도 이달에는 8871억원 반등했다.만약 이 추세대로 10월 전체 신용대출이 9월보다 늘어날 경우, 2021년 11월(+3059억원) 이후 1년 11개월만에 첫 증가 기록이다.윤옥자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10월 가계대출에 대해 "9월 가계대출 둔화 요인(영업일 감소·상여금 유입 등)이 해소된 데다, 통상 가을 이사 철 효과도 있고 주택거래량이 7월보다 8월에 크게 확대된 부분도 있어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9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결정회의 직후 가계부채와 관련한 질문에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부동산과 연결된 것이 많아 결국 부동산 가격 문제와 같다"며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더라도, 자기 돈으로 투자하는 게 아니고 레버리지(차입)로 투자하는 분들이 많은데, 금융(이자) 부담이 금방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경고하겠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단기적으로 부동산을 산 뒤 금방 팔아 자본 이득을 얻고 나올 수 있을지에 대한 판단도 자기가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10.22 12:25
금융·보험·재테크

카카오뱅크 vs 케이뱅크, 주담대 어디서 받을까

5년 전 경기도 동탄의 아파트를 산 H 씨는 최근 높은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로 하루하루가 벅차다. 그는 "집값은 떨어지고 대출 이자는 두 배 수준으로 올랐다. 이러다 진짜 파산 직전까지 가게 생겼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지금보다 조금이라도 이자를 덜려고 이 은행, 저 은행을 찾아보고 있는데 인터넷은행이 그나마 저렴하다는 얘기를 들어서 알아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면서 은행권 대출금리가 1년 만에 껑충 뛰었다. 이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에 나선 이들의 이자 부담은 두 배 가까이 불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아직 대출 금리의 정점이 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미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8%를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고, 내년까지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두 자릿수를 보일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조금이라도 금리가 낮은 은행에서 대출을 받고자 금융소비자들은 이곳저곳을 기웃대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금리가 기존 1금융권 은행들보다 낮아 고려하는 이들이 많다. 시중은행보다 인터넷은행 22일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 한눈에'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변동형(신규 코픽스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저 연 5.28~7.80%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중순(6월 14일) 이들 은행의 변동형 대출 금리는 연 2.35~3.99%였는데, 1년 5개월 만에 상단 금리가 8%에 근접한 것이다. 반면 아파트 담보대출을 제공하는 두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각각 연 4.27~5.39%와 연 4.22~6.01%의 금리로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시중은행보다 하단은 1.06%포인트, 상단은 1.79%포인트나 낮다.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가진 인터넷은행 두 곳이 시중은행과 비교해 낮은 금리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형성돼 있는 것이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 상품은 취급액이 꾸준히 늘어 지난 9월 기준 월 취급액이 1500억원을 돌파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연말 기준 잔액 1조원이 목표"라고 말했다. 케이뱅크도 마찬가지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케이뱅크 아파트 담보대출 상품은 대환대출이 3분기 평균 대비 10월에 6배 정도 늘었다"고 말했다. 게다가 이날 케이뱅크는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를 또 한 번 인하하며 경쟁력을 높였다. 케이뱅크 측은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 급등으로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고객 부담을 덜기 위해 아파트 담보대출 변동금리 중 대환의 금리를 크게 낮췄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환대출 상품 금리는 0.7%포인트 인하된 연 4.19∼5.31%(21일 기준)가 적용된다. 구입자금과 생활안정자금은 0.2%포인트 낮춘 연 4.27∼5.39% 금리로 제공한다. 구입자금과 대환, 생활안정자금 고정금리는 0.05%포인트 인하해 연 5.01∼5.52%로 대출이 가능하다. 더구나 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는 고객은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챗봇 기능을 통해 서류 제출, 대출 심사, 실행까지 대화하듯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케이뱅크 역시 대출 과정을 크게 간소화해 대출 신청부터 승인까지 최소 2일 만에 이뤄진다는 게 강점이다. 이처럼 두 인터넷은행은 '비대면'이라는 편리함에 더해 시중은행 대비 낮은 금리로 대출 고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의 금리가 낮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대출 고객이 몰리는 해프닝도 있었다. 실제 지난달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 한도조회를 이용한 사람이 10만명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은 9년 만에 코픽스 3%로 처음 올라서며,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7%를 넘긴 달이다. 이에 평소 5만~6만건을 유지하던 숫자가 지난달 10만6630건으로 나타나며 75%나 증가했다. 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은행과의 금리 차이에 대해 "인터넷은행과 일반 시중은행의 운영 행태가 다르다. 제일 큰 차이는 영업점이 없다는 것"이라며 "서류 처리에서도 인력이 들지 않으니 비용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은행에서 자신이 받을 수 있는 한도와 금리를 확인한 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년 주택담보대출 금리 연 10% 전망도 더 큰 문제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이 여기서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내년에도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을 고려하면 연 10%까지 금리가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15일 은행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10월 코픽스가 한 달 만에 0.58%포인트 뛰어 3.98%를 기록했다. 코픽스가 적용된 2010년 2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만약 주택담보대출 4억원을 연 4% 금리, 30년 만기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으로 빌렸을 때, 그동안 한 달에 191만원을 상환하던 것이 이제는 금리 연 8%를 적용했을 때 월 상환액은 294만원으로 100만원가량 뛰게 된다. 게다가 당장 2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최소 0.25%포인트 더 올릴 예정이라서 올해 안에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가뿐히 8%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상승분은 11월 코픽스에 반영된다. 이미 하나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근 은행채 1년물 기준 6.764~8.064%로 금리 상단이 8%를 돌파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8%를 넘어선 것이다. 이런 대출금리 상승세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최종 수준이 내년 상반기 3.75%까지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내년 상반기에는 연 9%, 최대 10%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는다. 내년까지 대출 차주들이 배로 불어난 이자를 감당할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높아진 대출금리 탓에 주택 구입을 고려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변동금리 대출이 대부분이던 것도 금리가 더 오를까 봐 우려돼 고정금리로 대출받는 분위기도 보인다"고 말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2023년 금융 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저금리 시대에 거듭 더해진 취약성이 고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와 부동산 경기 악화 등으로 표면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상승으로 인한 가계 채무부담의 급증, 부동산 경기 침체로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이 늘어날 우려가 높다”고 경고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2.11.23 07:00
부동산

연준 보고서 "주담대 금리 부담에 미국 집값 20% 하락 가능성"

미국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 상승의 여파로 집값이 최대 20%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전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엔리케 마르티네스-가르시아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15일(현지시간) 세계 금융위기 전인 2005∼2007년의 집값 거품과 최근의 집값 상승 폭을 비교하며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집값은 2022년 2분기에 10년 전인 2013년 1분기보다 94.5% 상승했다. 이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도 60.8%에 달하는 상승률이다. 2022년 팬데믹 이후 집값 상승세는 더 가팔라져서 최근 10년간의 집값 상승분 중 약 40%가 2020년 1분기부터 2022년 2분기 기간에 올랐다. 확장 재정과 초저금리로 인해 가처분 소득이 늘어난 소비자들의 주택 수요가 늘어났고, 세계 공급망 경색과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인건비와 건설 자재 가격 상승은 주택 공급을 줄였다. 그러자 집값에 거품이 끼기 시작했고 집값 상승에서 자신만 소외되고 있다는 소비자들의 두려움, 이른바 'FOMO'(Fear Of Missing Out)도 이를 자극했다. 개인 가처분소득에서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지급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분기 기준 3.9%로 사상 최저였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4회 연속 0.75%포인트씩 높인 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인해 이 비중은 이번 3분기 말 6% 이상으로 급격히 높아질 것으로 추산됐다. 미국의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미 지난달 20년 만에 7% 선을 넘어섰다. 이처럼 주택담보대출 금리 급등에 따른 가계 부담 증가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급감하고 주택 매매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 결과 비관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집값이 15∼20% 떨어지고 이에 따라 개인 실질 소비지출도 0.5∼0.7% 감소할 수 있다고 마르티네스 가르시아는 전망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11.16 17:28
부동산

정부, 재건축부담금 대폭 완화…'면제기준 1억' 상향

정부가 재건축 부담금을 대폭 낮춘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재건축 부담금 합리화 방안'을 발표했다. 재건축부담금은 제도는 과다한 이익환수를 위해 지난 2006년 도입돼 두 차례 유예를 거쳐 올해부터 부과할 예정이다. 그러나 과다한 부담금으로 재건축사업이 지연되거나 보류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정부는 재건축부담금 면제 기준을 올리기로 했다. 현재는 재건축을 통한 조합원 초과이익이 3000만원 이하인 경우 부담금을 면제하고 있으나 초과이익 기준을 1억원 이하인 경우까지 면제하도록 개선한다. 부과율 결정의 기준이 되는 부과구간도 기존 2000만원 단위에서 7000만원 단위로 확대한다. 부과요율은 10~50%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종전 초과이익 3000만~5000만원 구간에서 10%이던 부과율이 앞으로 1억~1억7000만원 구간에서 10%, 5000만~7000만원 구간에서 20%이던 부과율이 1억7000만~2억4000만원 구간에서 20% 등으로 바뀐다. 재건축 부담금 산정 기준시점도 지금보다 늦춘다. 현재는 부담금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초과이익은 정비사업을 위한 임시 조직인 추진위원회 구성 승인일부터 산정하고 있다. 이 시점을 재건축 사업이 시작된 시기로 간주하고 이후의 집값 상승분을 반영해 초과이익을 산정해 왔다. 하지만 정비사업의 권리와 의무를 부여받은 실질적인 사업주체는 조합이고, 부담금 납부 주체도 추진위원회가 아닌 조합이라는 점을 고려해 초과이익 산정 개시시점을 조합설립 인가일로 조정하기로 했다. 또 1주택 장기보유자에 대해선 재건축 부담금을 추가로 감면하기로 했다. 현재는 주택보유 기간이나 구입 목적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부담금을 부과하고 있다. 앞으로는 1세대1주택자로서 해당 주택을 준공시점부터 역산해 6년 이상 보유한 경우에 부담금을 10% 감면한다. 또 7년 이상은 20%, 8년 이상은 30%, 9년 이상은 40% 감면하고, 10년 이상은 50%까지 감면한다. 다만 준공시점에 1세대1주택자여야 하고, 보유기간은 1세대1주택자로서 해당 주택을 보유한 기간만 포함한다. 정부는 지난 7월 기준으로 예정 부담금이 통보된 84곳 단지에 대해 개선방안을 적용할 경우 38곳은 부담금이 면제되고, 특히 지방은 32개 단지 중 21곳이 면제되는 등 지방을 중심으로 부담금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1000만원 이하 부과 예정 단지는 30곳에서 62곳으로 증가하는 반면, 1억원 이상 부과예정 단지는 19곳에서 5곳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1세대1주택 장기보유자 감면으로 실수요자의 경우 예정액 1억원이 통보된 단지는 부과기준 현실화로 7000만원이 줄어들어 3000만원이 되고, 이에 더해 10년 이상 장기보유 최대 50% 감면을 받을 경우 1500만원이 돼 최종 85%의 감면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국토부 권혁진 주택토지실장은 "이번 개선방안으로 과도한 재건축 부담금 규제가 합리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9.29 12:47
부동산

"우리 집 또 올라요?" 정부, 23일부터 공시가격 순차 공개

정부가 표준 단독주택부터 내년도 공시가격을 순차적으로 공개한다. 노원구 일대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이달 23일 표준 단독주택 23만여가구 공시가격 예정가 열람을 시작으로 내년도(1월 1일자) 부동산 공시가격을 속속 공개한다고 15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공시가격 로드맵에서 단독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2035년까지 시세의 90%에 맞추기로 하고, 내년도 단독주택 현실화율 목표치를 평균 58.1%로 잡은 바 있다. 이는 올해 현실화율(55.8%) 대비 평균 2.3%p(포인트) 상향되는 것이다. 이중 시세 9억원 이상의 고가주택은 현실화율 제고에 따른 연간 상승률이 3.6∼4.5%p로 더 높다. 9억원 이상은 현실화율 목표치 도달 기간을 15년이 아닌 7∼10년으로 앞당겨 놨기 때문이다, 내년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집값 상승률 이상 오르는 곳이 속출할 전망이다. 실제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작년 한 해 단독주택 매매가격이 전국 2.50%, 서울이 4.17% 올랐는데 올해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이 6.68%, 서울이 10.13% 상승했다. 집값 상승분보다 공시가격이 더 뛴 것이다. 올해도 10월까지 단독주택 매매가 상승률은 전국 2.68%, 서울이 4.01%로 이미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정부는 내년도 표준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일부 집값 급등지역이나 고가주택은 평균 이상으로 크게 오를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표준단독주택은 내년 3월부터 지자체가 산정하는 개별단독주택의 기초가 돼 개별단독주택의 공시가격 인상으로 이어진다. 내년 3월 공개될 아파트·연립·빌라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역대급' 상승이 예고된다. 벌써 올해 10월까지 전국의 아파트값은 12.82% 뛰어 작년 한 해 상승률(7.57%)을 크게 웃돈다. 특히 서울(7.12%)은 물론 경기(20.91%)·인천(22.41%)과 부산(13.10%)·대전(13.71%) 등 지방 광역시 아파트값까지 급등하면서 수도권에 이어 지방의 공시가격도 큰 폭으로 뛸 전망이다. 내년도 공시가격이 올해 이상으로 급등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종합부동산세를 비롯한 보유세 부담도 그만큼 커질 전망이다. 공시가격 6억원 초과 주택 2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라면 1주택자보다 훨씬 높은 중과세율이 적용돼 세부담은 더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 여당 일각에서 공시가격 속도조절론이 제기되는 이유다. 정치권에서는 현재 재산세에 60%, 종부세에 95%(내년 100%)가 적용되는 공정시장가액비율 등 과표를 낮추거나 코로나19를 재난상황으로 보고 재산세를 감면해주는 방안 등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1.12.15 10:4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