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
[정덕현 요즘 뭐 봐?]‘더 커뮤니티’, 보다 나은 사회는 가능한지 묻는 신개념 서바이벌
사실 친한 친구들 간의 술자리에서도 정치적 성향 같은 건 드러내지 않는 게 불문율이다. 어차피 설득하려 해봤자 결코 바뀌지 않을 것이고, 다만 서로 다른 성향 차이로 분란만 만들 것이라는 걸 너무나 잘 알고 있어서다. 살아왔던 삶의 환경이 저마다 다른 우리들은, 그래서 자신과 다른 이들을 꼰대라고 비하하기도 하고, 빈부의 차이로 상대를 마치 괴물처럼 혐오하기도 한다. 정치는 바로 그런 차이들을 오히려 부각해 편을 가르고 그래서 선거를 통해 승자가 되면 마치 그들의 성향이야말로 모든 국민이 원하는 정의인 양 호도한다. 그런데 이런 막연한 분노와 배척이 만들어내는 사회의 골은 그저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일까.웨이브 오리지널 예능 ‘사상검증구역: 더 커뮤니티’(이하 ‘더 커뮤니티’)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보여주는 실험적인 신개념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정치, 젠더, 계급, 개방성의 네 가지 기준으로 진보와 보수, 페미니즘과 이퀄리즘, 서민과 부유, 개방과 전통으로 출연자들을 구분해 그 사상적 성향을 꼬리표처럼 채워놓은 건 마치 성향이 다른 출연자들의 치열한 설전과 생존경쟁이 벌어지는 자극적인 서바이벌을 보여주려는 판처럼 보인다. 하지만 금세 이런 예상은 이렇게 성향이 다른 이들이 서로 배척하고 경쟁하기보다는 모두가 생존할 수 있는 길이 있다며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깨져버린다. 물론 몇몇 현실주의자들은 이러한 공존을 꿈꾸는 일이 허망하기 이를 데 없는 환상이자 이상이라고 지적하지만, 그들 역시 커뮤니티의 일원으로서 토론을 통해 합의된 사안들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준다.서바이벌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제작진은 이들 사이에 분란이 생길 만한 여러 함정들을 세워 놓았다. 불순분자라는 존재를 심어 놓아 이들이 화합을 이끌어가려는 분위기에 ‘불신’의 불씨를 심어 놓았고, ‘사상검증’이라는 형태로 누군가의 성향을 맞추면 그를 탈락시키고 그 돈을 모두 획득할 수 있는 룰도 세워 놓았다. 하지만 커뮤니티라는 틀 안에서 모두가 서로를 바라보고 있고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공존’의 추구가 이상이라 여기는 현실주의자들조차 공론을 따르게 만든다. 물론 현실주의자들은 개별 인터뷰를 통해서는 이런 선택들이 개인적 욕망을 속이는 ‘위선’이라고 말하기를 주저하지 않지만, 그래도 서로가 서로를 바라봄으로써 통제되는 욕망에 의해 커뮤니티는 유지된다.서바이벌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떠올리곤 하던 치열한 경쟁과 배신 같은 자극적이지만 이제는 피로감마저 주는 흐름을 벗어나 예상 밖의 공존을 위한 선택들이 기발한 아이디어들과 함께 전개되면서 ‘더 커뮤니티’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높아졌다. 3, 4회가 공개되면서 전체 시청시간이 앞선 1주차 대비 120% 증가했고, 설 연휴에 4회차를 동시에 공개하는 파격편성은 추진력을 만들어 오픈 4주차에 첫 주 대비 420% 상승한 시청시간을 기록했다. 정치와 사상이라는 다소 어려울 수 있는 소재였지만 입소문을 탄 프로그램은 여러 커뮤니티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키면서 매 신규회차 오픈 당일인 금요일 웨이브 예능 장르 신규유료가입자 견인 1위를 기록했다. 특히 30대 여성 시청시간 비율은 30%에 달했다. 하지만 ‘더 커뮤니티’가 의외의 흐름을 보인 ‘공존의 시기’는 8회에 이르러 탈락자를 배출하는 보다 독한 미션들이 제시되면서 깨지기 시작했다. 반드시 탈락자가 발생한다는 사실이 공지되면서 공고했던 결속에 균열이 만들어졌고, 탈락면제권을 가진 이들도 불안감에 휩싸이며 타인에게 그걸 선뜻 양도하지 못하고 갈등하는 장면들이 등장했다. 애초부터 이런 공존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현실주의자들은 그간의 노력들이 그저 환상에 가까운 ‘위선’에 불과했다며 한탄했다. 그렇다면 ‘더 커뮤니티’가 보여준 ‘공존의 노력’은 무의미했을까. 아니다. 서로 다른 삶의 배경과 다른 사상을 갖고 있고 그래서 치열한 생존 상황을 맞이하게 되면 저마다의 본성이라고 할 수 있는 욕망이 드러나는 현실을 맞이할 수 있지만, 적어도 한 커뮤니티로 묶이게 되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공존을 대화를 통해 추구해나갈 수 있다는 걸 이 프로그램이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저 생존의 자극적인 지점만을 당연한 현실처럼 꺼내놓고 했던 여타의 서바이벌 프로그램들과 ‘더 커뮤니티’가 확연히 다른 지점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2024.03.04 0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