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고궁·민화…럭셔리 브랜드에 '한국의 미' 담는 아모레·LG생건

한국 간판 뷰티 기업들이 '한국적 미와 전통'이라는 DNA를 럭셔리 브랜드에 심고 있다. 가장 한국적인 제품이 글로벌에서도 통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LG생활건강이 뷰티 기업과는 별 연관이 없어 보이는 유물 공개전을 후원하고, 아모레퍼시픽이 제품 패키징에 조선시대 민화를 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LG생건은 최근 럭셔리 브랜드 '더 히스토리 오브 후(이하 후)'가 올해까지 진행하는 특별전시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을 후원한다고 9일 밝혔다. 국립고궁박물관이 개최하는 이 전시는 지난 6월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에서 발굴한 유물 1755점을 모두 선보이는 자리다. 금속활자와 물 시계 등 조선시대 유물을 고루 엿볼 수 있다. LG생건의 남다른 문화재 사랑은 업계 널리 알려져 있다. LG생건의 후는 2015년부터 문화재청과 문화재 지킴이 협약을 맺고 궁궐의 보존관리와 궁중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후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2018년에는 후의 장수 모델인 이영애까지 나서 문화재청과 '왕실 여성 문화지킴이 후원 약정식'까지 가졌다. 업계는 이런 LG생건의 문화재를 향한 관심을 후의 콘셉트에서 찾는다. 후는 한국 궁중화장품을 모티브로 한다. 한국 왕실에서 쓰는 고급스러운 한방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를 안고 있는 후는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단순한 한방을 원료로 한 것이 아닌 한국 궁중 여인들의 럭셔리한 이미지가 덧입혀지면서 후를 찾는 소비자도 크게 늘었다. 후는 2018년 단일 브랜드로 2조 매출을 올린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후는 '한국 궁중의 여인들이 쓰는 제품'이라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LG생건의 효자가 됐다"며 "화장품 기업이 문화재를 지속해서 후원하고, 궁중문화 전파에 공을 들이는 이유도 후의 이런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LG생건 측은 앞으로도 궁중문화 캠페인을 펼치면서 궁중 화장품 브랜드로서 왕실 여성 문화를 알리겠다는 계획이다. 아모레는 럭셔리 브랜드 설화수에 한국의 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데 방점을 찍고 있다. 후처럼 궁중 그대로를 보여주기보다는 현대적으로 다시 풀어낸다는 것이다. 설화수가 최근 선보인 '언락 더 시크릿 챔버' 콜렉션이 대표적이다. 이번 홀리데이 시즌 한정판으로 출시된 이번 콜렉션은 조선 시대 민화를 모티브로 삼고 있다. '비밀의 방, 비밀의 서재'라는 콘셉트로 조선 시대 민화 '책가도'를 세련되게 녹아낸 패키지가 특징이다. 설화수는 이번 콜렉션 홍보를 위해 SNS 등에 홍보 영상을 올렸는데, 장면마다 한국 전통 자개장이나 서책, 한복 등을 소품으로 녹여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 '오징어 게임' 등 K드라마와 영화가 글로벌에서 빅히트를 치면서 한국 문화와 패션·뷰티에 대한 관심도 다시 증가세다. 뷰티 대기업들이 제품에 한국 전통의 DNA를 심으려는 노력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설화수는 한국 전통문화와 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시간의 지혜로 빛나는 아름다움'이라는 철학을 실현하고 있다"며 "조선시대 민화를 설화수의 이번 홀리데이 콜렉션의 오브제로 삼고 패키징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1.11.13 07:00
연예

'15년째' LG그룹 최장수 CEO 차석용 LG생건 부회장 재신임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이 또 한번 재신임을 받았다. 이로써 차 부회장은 15년째 LG생건을 이끌어 가게 됐다. LG생건은 또 1980년대생 30대 여성 상무 2명을 발탁하며 관심을 받았다. LG생건은 28일 이사회를 열고 전무 승진 3명, 상무 승진 10명 등을 포함한 2020년도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했다.상무에서 전무로 승진한 이들은 최연희 생활용품사업부장, 박성원 프리미엄화장품사업부장, 박헌영 대외협력부문장 등 총 3명이다.이번 정기인사에서 상무로 신규 선임된 10명 중 3명은 여성이며, 이들 중 2명은 30대다.퍼스널케어 사업을 총괄하게 된 심미진 상무는 미국 UC버클리대학에서 경영학 석사를 마치고 2007년 LG그룹에 입사했다. 심 상무와 입사 동기인 임이란 상무는 오휘마케팅부문장을 맡을 예정이다.상무로 승진된 여성 인재 중 한명인 배미애 상무는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석사 졸업 후 1998년 LG그룹에 입사했다. 2018년부터 현재 한방마케팅부문장을 맡아왔다. 배 상무는 궁중화장품 '더 히스토리 오브 후'의 차별화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후'를 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연 매출 2조원대 브랜드로 성장시키고, 글로벌 브랜드로서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LG생활건강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성과주의와 조직 내 성장기회를 감안한 승진인사를 실시했다"며 "젊은 사업가 및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상무로 신규 선임했다"고 말했다.차 부회장은 이번 정기 인사에서 유임되며 15년째 LG생활건강 수장 자리를 지키게 됐다. 한국P&G 총괄사장 등을 역임한 차 부회장은 2005년까지 해태제과 사장으로 근무했다. 이후 LG생활건강으로 자리를 옮긴 뒤 2012년 부회장으로 승진했다.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19.11.29 11:39
경제

LG생건 '후'로 2조원 매출…K뷰티 새 역사 썼다

LG생활건강이 'K뷰티'의 새 역사를 썼다. LG생건은 궁중화장품 브랜드 '더 히스토리 오브 후(이하 후)'가 올해 누적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단일 브랜드로 매출 2조원을 돌파한 것은 '후'가 처음이다. 후는 대륙의 여심을 훔치는 데 성공했다. 궁중 한방화장품을 표방해 2003년 출시된 후는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마케팅으로 럭셔리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초기만 해도 경쟁사인 아모레퍼시픽의 럭셔리 라인인 '설화수'에 다소 밀린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2006년 드라마 '대장금'으로 아시아 스타로 거듭난 이영애를 모델로 기용했고 이후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하기 시작했다. 2013년 2000억원대 매출을 올린 뒤로는, 2016년 국내 화장품 단일 브랜드 가운데 가장 빨리 매출 1조원에 도달했다.'사드' 후폭풍도 피해 갔다. 2017년 K뷰티 업계 전반이 중국 관광객 감소로 휘청였지만 후만은 끄떡없었다. 차별화된 컨셉트와 화려한 디자인의 용기, 모델 이영애의 힘이 중국 내 마니아층을 형성한 덕분이다. 후는 지난해 1조4200억원을 팔아 치운 데 이어 올해도 한국 화장품 업계 사상 최초로 2조원 매출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후는 글로벌 화장품 업체를 위협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판매가 기준으로 후의 매출을 환산하면 약 3조원에 달한다.LG생건 측은 "글로벌 톱3 럭셔리 화장품인 랑콤(5조3000억원), 시세이도(4조7000억원), 에스티 로더(4조4000억원) 등 글로벌 브랜드들과도 어깨를 견줄 수 있는 브랜드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LG생건의 질주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후의 대를 이을 제품으로 평가받는 '숨'의 성적도 좋다. 지난 2007년 출시된 숨은 올해 44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매출(3800억원)보다 15.8% 증가한 것으로 소비자판매가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7000억원에 이른다. '자연·발효' 컨셉트를 접목하면서 순하고 효과가 좋은 제품으로 입소문이 났다.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권에 빠르게 번지고 있다.LG생건 측은 "후와 숨 두 브랜드의 올해 매출을 합하면 약 2조44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9년 전인 2009년 LG생건 전사 매출인 2조2165억원을 훌쩍 웃도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tbc.co.kr 2018.12.28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