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

[투데이IS] '프듀 투표 조작' 안PD·김CP, 항소심 공판준비기일

Mnet '프로듀스' 시리즈 투표 조작 등으로 1삼에서 징역을 선고받은 제작진에 대한 항소심 공판이 시작된다. 28일 오전 11시 서울 고등법원 제1형사부는 사기 등의 혐의를 받은 안PD, 김CP, 보조PD 이씨에 대한 공판준비기일을 연다. 부정청탁 등의 혐의를 받는 소속사 관계자들도 항소심 재판에 출석할 전망이다. 안PD와 김CP 등은 지난 5월 서울중앙지법 제21형사부 심리로 열린 사기의 공동정범 혐의 및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의 공동정범 혐의, 배임수재 혐의, 부정청탁금지법 위반 혐의 1심 선고공판에서 각각 징역 2년, 징역 1년 8개월 등을 선고 받았다. 하지만 판결에 불복한 안PD 측이 항소장을 제출하면서 검찰도 항소했고, 쌍방 항소로 2심 재판부의 판단을 받게 됐다. 안PD와 김CP 등은 2016년부터 시작된 ’프로듀스 101’ 시즌 1~4 생방송 경연에서 특정 후보자에게 유리하도록 시청자들의 유료 문자 투표 결과를 조작한 혐의로 기소됐다. 안PD는 연예기획사 관계자들에게 유흥업소에서 수백만 원대 접대를 받은 혐의가 추가돼 재판에 넘겨졌다. 1심 재판부는 재판부는 "피고 안준영은 메인 프로듀서로서 순위조작에 적극 가담했고 방송 전후 1년 6개월여 동안 연예 기획사 관계자들에게 부정 청탁을 목적으로 3700만원을 받았다"며 양형이유를 밝혔다. 다만 "술자리 접대 향응 대가로 실제 순위조작과 같은 부정행위가 이뤄진 점이 인정되지 않는 점 등 참작 사유를 고려했다"고 했다. 징역 2년을 구형받았던 조연출 이PD는 지시에 비판 없이 동조하며 범행에 가담한 잘못이 있지만 가담 정도가 비교적 적고 자수서를 제출하며 수사에 협조한 점이 참작돼 벌금 1000만원을 받았다. 검찰이 징역 1년을 구형했던 연예기획사 관계자 5명의 경우 "술자리 접대를 통해 공정경쟁 대신 부정한 이익을 얻으려 했다는 점에 대한 비난을 면할 수 없지만 안준영의 요청에 따라 주로 술자리가 이뤄졌고, 술자리 거부가 어려웠던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연예기획사 관계자 5명 중 3명은 벌금 700만원, 2명은 벌금 500만원을 선고받았다. 안준영PD는 부정청탁금지법 위반에 따라 추징금 3699만7500원도 내야 한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ng@jtbc.co.kr 2020.08.28 07:28
연예

[현장IS] '프듀' 안준영·김용범 측, 부정청탁 부인.."데뷔조 원치 않는 연습생 의사 확인 후 순위 바꿔"

안준영 PD와 김용범 CP가 부정청탁을 부인하고 Mnet '프로듀스 101(이하 프듀)' 시리즈 투표 조작과 관련해 개인적인 이익과는 상관없었다고 밝혔다. 7일 오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김미리 부장판사)는 '프듀' 투표 조작 혐의를 받는 안준영 PD, 김용범 CP 등 8명에 대한 첫 공판기일이 열렸다. 안 PD와 김 CP가 사기의 공동정범 혐의 및 위계에 의한 업무방행의 공동정범 혐의, 배임수재혐의, 부정청탁금지법 위반 혐의 등에 기소된 가운데 변호인은 "특정 연습생이 데뷔조에 들고 싶지 않는다는 걸 직·간접적으로 확인했고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한 끝에 해당 연습생을 (데뷔조)순위에서 배제하고 차순을 올렸다. 개인적인 욕심과 이익을 위한 건 아니었다. 청탁과도 무관"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준영 PD가 수 천만 원 상당의 술자리 접대를 받은 것에 대해서 변호인은 "김영란법을 어긴 건 인정한다. 술을 먹었지만 부정한 청탁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순위 조작과는 상관없었다"고 덧붙였다. 안준영 PD에게 술자리를 접대한 연예기획사 측 변호인도 "회사 규모를 봤을 때 프로그램에 나가는 게 오히려 손해(연습생이 프로그램과 방송사 계약에 묶이기 때문)였다. 사적 친분으로 자리를 했을 뿐이다. 어떤 부정한 청탁도 없었다"고 같은 의견을 냈다. 검사는 부정청탁을 부인하는 것에 대해 "객관적인 증거가 없고 정황상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안준영의 카드 내역서를 통해 술자리가 일상 생활이었는지 특별히 청탁을 받은 자리였는지 추후 재판을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 왜 고가의 술접대를 받았는지 공판을 통해 밝혀내겠다"고 꼬집었다. 이어 "순위 조작은 더 실력이 뛰어난 이를 데뷔시키게 하려는 순수한 동기였다고 (제작진은) 주장하지만 데뷔조를 통해 추후 CJ ENM이 얻는 경제적 가치 등 여러가지를 고려했을 때 프로그램을 위해서 또 실력이 뛰어난 이를 데뷔시키기 위한 순수한 동기였다고는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검사는 CJ ENM이 프로그램 문자 투표 과정에서 1인 1투표만 반영된다고 하고 시스템상 중복 투표가 진행돼 수익까지 얻었으나 이에 대해 막지 않은 점, 투표 결과를 어떻게 반영했는지 정확하게 시청자에게 설명하지 않은 점 등도 지적했다. 프로그램 시스템을 잘 모른 시청자들이 복수 투표를 한 것과 관련한 피해를 어떻게 보상할지도 CJ ENM이 고민해야할 숙제다. 이날 공판 말미에 안준영 PD와 김용범 CP는 다음 공판을 비공개로 진행하고 싶다고 요청했다. 변호인은 "연습생이 증언해야할 수도 있고 이 과정에서 연습생 이름이 거론될 수 있어서 피해가 우려된다. 비공개로 진행했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냈다. 다음 공판은 3월에 열린다. 김연지 기자 kim.yeonji@jtbc.co.kr 2020.02.07 15:18
연예

[투데이IS] '프듀' 투표 조작 혐의 첫 공판..한동철 PD 등 증인 신문

Mnet '프로듀스 101(이하 프듀)' 시리즈 투표 조작 혐의에 대한 첫 공판이 열린다. 7일 오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김미리 부장판사)는 '프듀' 투표 조작 혐의를 받는 안준영 PD, 김용범 CP 등 8명에 대한 첫 공판기일을 연다. 안준영 PD 등 제작진은 사기의 공동정범 혐의 및 위계에 의한 업무방행의 공동정범 혐의, 배임수재혐의, 부정청탁금지법 위반 혐의 등에 기소됐다. 연예기획사 관계자 5명은 부정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이날 재판부는 '프듀' 시리즈를 처음 기획했던 한동철 PD와 박 모 메인작가를 증인으로 채택, 신문할 예정이다. 지난달 열린 공판준비기일에서 재판부는 안 PD와 김 CP 변호인에게 "피고인 측이 사기의 고의가 없다고 주장했는데 방송의 성공을 위해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고의가 없다는 것이 이해가 안된다. 숭고한 동기가 있다면 범행의 고의가 없어질 수 있는 건지 그런 주장은 납득이 안된다"며 "공소사실을 다 인정한다고 한 다음 죄가 안된다고 하고 있는데 공소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무죄를 주장하든가 전략을 어떻게 할지 결정하라. 유의미한 주장이면 따져볼 수 있는데 이런 식으로 변론하면 인상만 흐려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프듀' 투표 조작 논란으로 시즌4에서 탄생한 엑스원은 최근 해체를 공식화했다. 이에 따라 팬들이 CJ ENM 앞에서 시위를 하는 등 CJ ENM에 책임있는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김연지 기자 kim.yeonji@jtbc.co.kr 2020.02.07 10:0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