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야구

강했던 타선에도 고전...KT 국내 선발진이 수상하다

'디펜딩 챔피언' KT 위즈가 2022시즌 개막 초반 고전하고 있다. 리그 최강으로 평가받던 국내 선발진이 흔들렸다. KT는 개막 7경기에서 5패(2승)를 당했다. 팀 득점(22점)은 8위, 득점권 타율(0.189)은 9위에 그쳤다. 주포 강백호가 개막 전 부상으로 이탈한 탓에 공격력이 저하됐다. 이강철 KT 감독은 지난 7일 SSG 랜더스전을 앞두고 "투·타 엇박자가 있지만, 투수진은 제 몫을 해주고 있기 때문에 곧 반등할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앞선 4경기에서 KT 선발 투수들은 10개 구단 중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하며 제 몫을 다했다. 그러나 7일 SSG전에 나선 선발 투수 소형준이 부진했다. 6이닝을 버텼지만, 10안타를 맞고 4점을 내줬다. KT는 3-4로 패했다. 소형준은 통산 9번 등판한 SSG전에서 7승을 챙겼다. 평균자책점은 1.72. 피안타율은 0.202를 기록했다. SSG전에 매우 강했다. 이강철 KT 감독이 소형준의 등판 일정을 의도적으로 SSG전에 맞출 정도였다. KT의 정규시즌 1위, SSG의 5강 진출권이 걸려 있던 지난해 10월 30일 정규시즌 최종전에서도 소형준은 호투(5이닝 2실점)하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 그런 소형준이 SSG 타선에 고전했다. 특히 추신수와 최지훈, 테이블세터를 막지 못했다. 최지훈은 이전 23번 승부에서 단 한 개의 안타도 허용하지 않았던 상대다. 이날(7일 SSG전)은 주 무기 투심 패스트볼이 통하지 않았고, 모두 실점으로 연결되는 안타를 허용했다. 소형준은 시범경기에서 포심 패스트볼(직구) 구속이 크게 향상된 투구를 보여줬다. 최고 스피드는 시속 151㎞. 투심도 147~8㎞까지 찍혔다. 그러나 시즌 첫 등판에서는 직구와 투심, 컷 패스트볼(커터) 모두 구속이 크게 떨어졌다. 컨디션 조절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4선발 배제성도 9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부진했다. 4이닝 동안 5피안타 4실점 하며 조기강판됐다. 배제성은 3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7이닝 무실점하며 호투했다. 넓어진 스트라이크존을 한껏 활용했고, 볼넷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화전에서는 가운데로 몰린 공이 많았다. 임종찬과 김태연, 한화 '거포' 기대주 두 타자에게 홈런을 맞았다. 배제성이 2홈런 이상 허용한 건 2020년 8월 27일 키움 히어로즈전 이후 40경기 만이다. 배제성은 지난 3시즌(2019~2021) 10번 등판한 한화전에서 평균자책점 1.72를 기록했다. 피안타율은 0.194. 40이닝 이상 소화한 상대 5팀 중 가장 좋은 성적을 남겼다. 그런 배제성도 일격을 당했다. 제구 난조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지만, 한화 타선에 자신감을 심어준 건 꽤 큰 손실이다. 리그 전반적으로 개막 초반 투고타저 현상이 두드러진다. 마운드의 힘이 초반 순위 경쟁을 좌우할 전망이다. KT는 믿었던 국내 선발진이 흔들리고 있다. 소형준, 배제성이 빨리 정상 궤도에 진입해야 한다.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 2022.04.11 05:59
야구

KT, 안방·왼손 대타·선발 한 자리 두고 '내부 경쟁'

"단기전에 투입할 백업 선수를 물색하고 있다." 이강철 KT 감독이 정규리그 남은 경기에서 주시하고 있는 지점이다. 보강이 필요한 포지션을 맡아줄 적임자를 찾아야 한다. KT는 4일 기준으로 69승 6무 48패를 기록하며 KBO리그 1위를 지키고 있다. 지난주 4패(1무 2승)를 당하며 2위 LG에 3.5경기 차 추격을 허용한 상황. 하지만 현재 KT의 전력과 경기력을 감안하면, 급격하게 무너질 가능성은 낮다. 이 감독도 "연패를 경계할 것"이라고 했다. 선수단 사이에서도 가장 높은 자리를 지키는 노하우가 쌓이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시리즈(KS)로 직행은 최상의 시나리오다. 팀 창단 8년 만에 처음으로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올릴 수 있고, 장기 레이스(페넌트레이스)로 지친 몸 관리도 도모할 수 있다. 반면 기다리고 있는 팀이 가진 불안 요소도 감수해야 한다. 실전을 통해 확인하고 조율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 이강철 감독이 백업 요원들에게 출전 기회를 주고 주시하는 이유다. 단기전에서 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강심장'을 찾고 있다. 투·타 가리지 않는다. 실제로 KT는 남은 20경기를 통해 몇몇 포지션과 선수 활용법을 정해야 한다. 우선 안방 한 자리. KT는 4일 기존 포수 이홍구를 1군 엔트리에서 말소하고 김준태를 등록했다. 김준태는 지난 7월 유망주 투수 이강준을 보내고, 내야수 오윤석과 함께 영입한 포수다. 롯데에서 한동안 주전을 맡기도 했다. 현재 KT 안방은 주전 장성우, 백업 허도환이 1·2옵션을 지키고 있다. 베테랑 허도환은 올 시즌 득점권에서 좋은 타격을 하며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결국 남은 포수 한 자리는 경기 후반 1~2이닝을 안방에서 지켜줄 포수다. 정규리그 폐막을 앞두고 김준태가 시험받을 기회를 얻었다. 왼손 대타 요원도 한 명 더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오른손 대타는 상대적으로 많다. 오윤석과 박경수가 선발과 대타를 번갈아 맡으면 된다. 좌타는 외야수 김민혁, 내야수 천성호와 권동진이 현재 시험대에 있다. 김민혁은 주전급이다. 최근 타격감도 좋다. 대수비로 투입할 상황도 대비해야 한다. 한 자리를 맡을 전망이다. 이 경우 1~2년 차 좌타 내야수인 천성호와 권동진이 가을야구 엔트리 진입을 두고 경쟁할 전망이다. 선발 투수도 보이지 않는 경쟁이 이뤄질 전망이다. 단기전에서는 5선발 대신 4선발 로테이션을 가동할 가능성이 크다. KT가 KS에 직행한다면 더욱 그렇다. 에이스로 거듭난 고영표, 외국인 투수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는 1·2선발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배제성도 불펜 등판은 익숙하지 않다. 기복이 있는 윌리엄 쿠에바스와 소형준 중 한 명은 불펜에서 포스트시즌을 치를 가능성이 있다. 두 투수는 지난해 두산과의 플레이오프(PO)에서 선발 1번, 구원 등판 1번씩 경험했다. 쿠에바스는 올 시즌 삼성(리그 3위)전 4경기에서 평균자책점 2.63을 기록했다. 소형준은 통산 두산(리드 4위)전 8경기에서 1점(1.77)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맞상대에 따라 보직이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정규리그 남은 등판에서의 투구 내용에 따라 선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 2021.10.06 06:2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