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카카오, 3년 연속으로 네이버에 평균 연봉 앞섰다

카카오가 평균 연봉 부문에서 3년 연속으로 경쟁사인 네이버를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국내 양대 포털 인 ‘네카오’의 임직원 평균 연봉은 1억3000만원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카카오는 임직원 평균 연봉 1억3900만원으로 1억3449만원의 네이버에 우위를 점했다. 이는 등기 임원을 제외한 전체 직원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 행사 차익을 반영한 평균치다. 카카오는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네이버보다 직원 평균 연봉이 높아졌다.2019년 임직원 평균 연봉에서 카카오는 8000만원으로 네이버(8400만원)에 뒤졌다. 그러나 2020년 1억800만원으로 네이버의 1억248만원을 제쳤다. 이어 2021년도 1억7200만원으로 1억2915만원의 네이버를 따돌렸다. 대표이사 보수도 지난해 카카오가 앞선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29억7500만원을 기록해 네이버의 최수연 총괄 대표(11억원)와 채선주 ESG·대외 정책 대표(21억6200만원)보다 높은 보수를 기록했다. 이는 네이버보다 카카오가 인건비에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카카오의 인건비는 2020년 9119억원에서 지난해 1조6871억원으로 급격히 늘었다.카카오와 네이버의 임금 격차는 올해 더 벌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퇴직한 남궁훈 카카오 당시 대표는 당해 연봉을 15%, 올해 연봉을 6% 올리기로 노조와 합의했다. 이에 비해 네이버 노사는 올해 임금을 4.8% 올리는 데 잠정 합의하는 데 그쳤다. 다만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차익 등을 제외한 '실제 임직원의 평균 급여'는 네이버가 카카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준으로 지난해 카카오의 평균 급여는 9500만원으로 집계됐지만 네이버는 1억2025만원에 달했다. 아울러 네이버의 임직원 평균 연봉은 꾸준히 오른 반면 지난해 카카오는 전년 대비 19.2%(3300만원) 떨어졌다.여기에 카카오는 지난해 전체 계열사 평균 연봉 순위에서 카카오뱅크에 임직원 평균연봉 1위 자리를 내줬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임직원 평균 연봉은 1억6400만원이었다.성별로 보면 네이버는 카카오와 비교할 때 남녀 임금 격차가 상대적으로 작고, 여성의 임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으로 성별 임금 격차는 카카오의 경우 남성(2억1700만원)이 여성(1억800만원)보다 1억900만원 높았다. 하지만 네이버는 남성(1억3588만원)이 여성(1억1742만원)보다 1846만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5.14 12:30
경제

올 하반기 채용할 대졸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얼마?

올 하반기에 채용할 대졸 신입사원이 받는 연봉은 평균 2,355만원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올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을 확정한 기업 94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초임 수준’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평균 2355만원(기본상여 포함, 인센티브 제외)으로 집계되었다.구간별 비율을 보면, ‘2200~2400만원 미만’(22.3%), ‘2000~2200만원 미만’(17%), ‘1800~2000만원 미만’(13.8%), ‘2400~2600만원 미만’(8.5%) 등의 순이었다. 기업형태별로는 ‘대기업’(평균 3,140만원), ‘중견기업’(2,986만원), ‘중소기업’(2,196만원) 순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연봉차이가 1,000만원 가량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해당 연봉을 받을 대졸 신입사원은 언제 뽑는 것일까? 채용 예정 시기는 ‘8월'(31.9%), ‘7월’(25.5%), ‘9월’(21.3%), ‘10월’(10.6%), ‘11월’(6.4%), ‘12월’(4.3%) 순이었다. 기업형태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은 ‘9월’(40%), 중견기업은 ‘9월, 10월’(각각 28.6%), 중소기업은 ‘8월’(33.8%)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혀 차이를 보였다. 채용 분야는 주로 ‘영업/영업관리’(30.9%, 복수응답), ‘제조/생산’(27.7%), ‘연구개발’(22.3%) 분야에서 활발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재무/회계’(12.8%), ‘마케팅’(11.7%), ‘디자인’(11.7%), ‘구매/자재’(10.6%), ‘서비스’(9.6%), ‘IT/정보통신’(8.5%) 등이 있었다.한편, 채용 시 자기소개서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는 ‘생활신조, 가치관’(19.2%)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지원동기’(14.9%), ‘성격 및 장단점’(12.8%), ‘팀워크 발휘 경험’(9.6%), ‘목표 달성 및 성과 경험’(8.5%), ‘입사 후 포부’(6.4%), ‘성장과정’(5.3%), ‘리더십 능력 발휘 경험’(5.3%) 등이 뒤를 이었다.이소은 기자 luckysso@joongang.co.kr 2014.07.30 09:2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