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지고 있어도 질 것 같지 않은 팀이 된 건 놀라운 집중력 덕분이다. 올 시즌 역전승이 14승으로 팀이 거둔 26승의 절반이 넘는다. 그 집중력의 밑바탕엔 8회까지만 앞서면 이길 수 있다는 확신이 자리하고 있다. 마무리 투수 봉중근(33)이 심어준 확신이다.
봉중근은 철벽이다. 20경기에 나와 14세이브를 거두는 동안 평균자책점이 0.44에 불과하다. 최고 마무리로 평가받는 삼성 오승환(0.50)보다 점수를 덜 주고 있다. 작년 1.18에 26세이브로 성공적인 마무리 1년 차를 보냈고 2년 차가 되면서 완벽해졌다. 블론세이브는 단 1개도 없다.
그는 오승환처럼 상대 타자를 압도하는 유형은 아니다. 직구 최고 시속이 140㎞ 중반 대다. 타자들이 타이밍을 맞추지 못할 정도로 공이 빠르진 않다. 올 시즌 피안타율은 0.188. 특급 수준이지만 오승환의 0.129와 비교하면 떨어진다. 그런데도 자책점은 오승환과 같은 1점이다. 상대 팀은 오승환만큼 봉중근으로부터 점수 내기가 힘들다.
차명석 LG 투수코치는 봉중근의 특출난 견제 능력를 그 이유로 들었다. "워낙 주자를 잘 묶어둬 상대 팀에서 작전을 못 낸다. 움직이지 못하니 히트앤드런 작전도 보지 못한 것 같다. 결국 연속 3안타를 쳐야하는데 그게 쉽지는 않을 일"이라고 설명했다.
LG가 기적의 역전승을 거둔 4일 광주 KIA전이 봉중근의 실점 억제력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사례다. 봉중근은 5-4로 앞선 10회 말 선두 타자 김선빈에 안타를 맞았다. LG 포수는 임시 포수 문선재. 스피드가 빠른 김선빈이 당장 2루를 훔칠 법도 했지만 봉중근의 견제에 발이 묶였다. 김선빈을 1루 베이스에 최대한 붙게 한 봉중근은 다음 타자 김주찬으로부터 2루수 땅볼을 유도해 병살타로 처리했다. 차 코치 말대로 KIA는 도루는커녕 히트앤드런 작전도 걸지 못했다.
5일 잠실 LG전 9회 1사 뒤 봉중근을 상대로 안타를 치고 1루에 나간 두산 민병헌은 차 코치와 비슷한 설명을 했다. "견제 타이밍이 비슷하니 주자가 뛸 생각 자체를 못한다. 죽을까봐 리드 폭을 한발 줄여야 했다"고 말했다. 민병헌은 다음 타자 김현수의 유격수 땅볼로 2루에서 포스아웃됐다. 슬라이딩을 했지만 베이스까지 거리가 멀어 상대 송구를 방해하지도 못했다.
봉중근은 왼손 투수에 퀵 모션이 매우 빠르다. 또 오른 다리를 들었을 때 공을 타자에게 던지는지, 1루로 던지는지 분간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상대 타자들은 말했다. 주자를 위축시켜 견제 폭을 줄어들게 해 병살타 유도율도 높다. 염경엽 넥센 감독은 "견제만 잘해도 평균자책점을 0.5점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예로 든 투수가 바로 봉중근이었다. 여기에 봉중근은 스트라이크 존 양 끄트머리와 아래쪽을 폭넓게 활용해 장타를 좀처럼 내주지 않고 있다. 올 시즌 20⅔이닝 동안 내준 13피안타 중 11개가 단타, 2개가 2루타로 피홈런이 단 한 개도 없다. 상대는 장타를 치기 힘들고, 안타를 쳐도 기동력을 살리지 못하니 점수 뽑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올 시즌 봉중근으로부터 점수를 뽑은 팀은 KIA가 유일하다. 4월17일 광주 LG전 8회 말 2점을 냈다. 안타는 단 1개뿐이었는데 봉중근이 흔들렸다. 4-6으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와 볼넷 2개와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 폭투를 범했다. 수비 실책도 겹쳤다. 불운한 날이었다.
봉중근은 철벽 마무리가 된 데에 특별한 비결이 없다고 했다. "'1이닝은 막을 수 있다', '아웃카운트 3개 잡으러 가자'는 생각으로 마운드에 오른다. 2,3일 쉴 때나 등판하기 전 준비가 작년보다 잘돼 있는 게 이유라면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0점대 평균자책점 유지나 세이브 숫자엔 연연하지 않았다. 동료와 팬들의 믿음을 얻으면 그걸로 족하다고 했다. 그는 "최근 친한 친구로부터 '요즘 9회 되면 다들 이겼다고 좋아한다'는 문자를 받았다. 기분이 정말 좋았다"고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