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서 인기는 꽤 있었다. 누나들이 교실 앞에 찾아왔고 사물함엔 선물이 꼭 있었다. 그때만해도 노는 걸 좋아했을 뿐 연기에 뜻은 없었다. 그러다 고등학교 2학년, 진로 결정을 앞둔 중요한 시기에서 배우라는 직업을 만났다. 어렸을 때부터 영화광 아버지를 따라 접한 수많은 명작들이 미래를 점지해준 듯 했다.
"입시 연기학원을 다니겠다고 말씀드렸을 때 가족들의 반대는 전혀 없었어요. 행복하게 꿈을 키워갈 수 있었죠. 지금도 가족들이 정말 든든한 지원군이에요. 모니터도 열심히 해주시고 쓴소리도 당연히 해주시죠."
데뷔작은 2011년 tvN '꽃미남 라면가게'다. 타고난 외모를 바탕으로 안방극장 미남 캐릭터를 섭렵했다. KBS2 '화랑'에서도 가장 미모가 돋보이는 여울 캐릭터를 맡았다. 그러나 조윤우는 연기력으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모계가 중시되는 신라에서 사생아 소리 안 듣고 잘 자랐지만 속으로는 아버지 없는 상처를 안고 있는 조윤우표 여울을 완성했다. 날카로운 독설을 날리던 모습에서 점차 화랑을 만나 마음을 여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주변의 칭찬에 조윤우는 "사전제작이니까 좋은 말 해주시는 게 아닐까요? 1년 동안 정말 다같이 고생해서 찍은 작품이니까 재미있게 봐주시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요"라며 겸손해 했다.
-연기하면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여울의 콤플렉스에 집중했다. 더 올라가고 싶어도 올라갈 수 없는 아픔도 있고 아버지가 없다는 상처도 있다. 그런 것들 때문에 자신을 더욱 화려하게 꾸미고 치장하는 친구라고 생각했다. 독설을 할 때도 여울이라면 어떻게 내뱉었을까 고민했다. 거친 욕 보다는 새침하게 표현했다."
-배우들과 드라마 보면서 무슨 말을 하나. "메신저창 켜놓고 대화하면서 본다. 웃기는 장면 나올 때마다 서로 인증하고 놀리느라 바쁘다. 메신저창이 굉장히 활발하다. 치고박고 싸우는 장면 찍을 때 고생했는데 다행이라고 서로 응원도 해줬다."
-21세기랑 접목된 명칭들이 많다. "옥타각(현 옥타곤) 수타박수(현 스타벅스) 다이서(현 다이서) 등 재미있는 명칭들이 대본에 적혀 있었다. 사전제작이라 유치하다는 반응이 나올까봐 걱정도 됐다. 찍을 땐 세트들이 정말 예뻐서 재미있었다."
-특히 마음에 드는 세트는. "상선방이 제일 마음에 들었다. 거기서 모여 찍을 때 굉장히 재미있었다."
-힘들었던 곳은. "지현당이라고 항상 성동일 선배님이 계신 곳이 있는데 거기 정말 더웠다. 사방에서 조명까지 쏘니까 정말 더웠다. 거기만 들어가면 땀이 줄줄 났다. 겨울에 방송하는데 우리가 땀흘리고 앉아있으면 몰입에 방해될까봐 걱정도 됐다. 다행히 더운 티는 안 나더라."
-단체 샤워장면이 가장 화제였다. 누구 몸이 좋나. "(박)서준이 형이랑 민호 몸이 굉장히 잘 만들어져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이 장면 들어가기 전에 푸쉬업을 많이 했다. 특히 민호가 제일 열심히 했다. 나랑 (도)지한과 (박)형식은 군살없이 뼈대가 좋은 몸이라고 보시면 된다. 몸 이야기를 하고 나니 굉장히 쑥스럽다."
-운동을 평소 많이 했나. "'화랑' 끝나고 열심히 하고 있다. 헬스만 한다. 스포츠 중에선 당구나 볼링 좋아한다. 아직 정해진 차기작은 없지만 몸은 꾸준히 관리하고 있다."
-하고 싶은 작품이 있다면. "20대 중반에 맞는 역할의 현대극이었으면 좋겠다. 로맨스를 보여줄 때도 되지 않았나(웃음). 브로맨스는 '화랑'을 끝으로 하겠다."
-이상형이 있나. "그냥 대화가 잘 통하는 분이었으면 좋겠다. 얼굴이 아무리 예뻐도 대화가 안 통하면 시간이 지루하지 않나. 본인의 모습을 감추기 보다는 조금 꺼내놓고 대화할 수 있는 분이면 좋겠다."